• 제목/요약/키워드: IAP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LED 조명색상이 정서자극의 평정과 재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ED lighting hues on the rating and recognition of affective stimulus)

  • 박현수;이찬수;장자순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371-384
    • /
    • 2011
  • LED 조명의 색상이 정서자극의 평정과 재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과 2에서는 IAPS 정서사진을 사용하여 각각 Red, Green, Blue, 및 White와 Cyan, Magenta, Yellow, 및 White의 조명색상조건에서 정서평정(정서가, 각성차원) 과제와 재인기억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정서단어를 사용하여 Red, Green, Blue, 및 White 조명색상조건에서 두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정서평정과제에서는 일차 색상(RGB)의 경우, LED조명 색상이 Red일 때는 흥분을, Green일 때는 유쾌 정서를 유발하였고, 이차 색상(CMY)의 경우, Magenta와 Cyan은 Red와 Green과 유사한 패턴의 정서 반응을 유발하였으나 그 강도는 약하였다. 재인기억과제에서는 실험 1과 실험 2의 경우, Green과 Cyan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사진자극들에 대한 반응이 다른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사진자극들에 비해 약간 빠른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실험 3에서는 Green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정서단어들에 대한 재인기억반응이 유의미하게 빨랐다. 이러한 결과로 Red나 Magenta와 같은 난색들은 불쾌나 흥분과 관련된 감성을 유발하는 반면, Green이나 Cyan과 같은 한색들은 유쾌나 이완과 같은 감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차 색상들이 이차 색상들보다 강한 정적 내지 부적 감성을 유발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험 3의 재인 기억과제에서 나타난 결과는 시각 자극보다 언어 자극의 기억수행에 Green 색상의 LED 조명이 더 유리함을 시사한다.

  • PDF

청년기·노년기 성인의 신체활동 참여가 정서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of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ce and Senescence Adults on Affective Cognition)

  • 윤병탁;류광민;김진구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41-54
    • /
    • 2017
  • 신체활동은 노화로 의한 인지기능 저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신체활동 참여가 정서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밝혀 낸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와 노년기 성인의 정서인지 기능에 신체활동 참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뇌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피험자는 D 광역시 성인 남성 6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청년 운동 집단(25~35살), 청년 비 운동 집단(26~35살), 노년 운동 집단(60~70살), 노년 비 운동집단(60~70살) 4개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도구는 EEG 측정 장비와 국제정서사진체계(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과제는 사진으로 제시하는 세 가지 정서자극(긍정적, 중립, 부정적)에 적합한 버튼을 눌러 정서적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EEG 측정은 8개(Fp1, Fp2, Fz, C3, C4, Cz, T3, T4)의 영역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4(집단)${\times}$3(자극)${\times}$8(영역)에 대한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반응시간과 반응정확률 그리고 P3 잠재기는 집단간 주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P3 진폭은 집단과 자극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결론: 신체활동은 청년층과 노년층의 정서적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박변화율(HRV)에 의한 시각감성의 구분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Discrimination of Visual Emotion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오상훈;황민철;임재중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73-476
    • /
    • 1997
  • Human visual emotion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HRV from ECG signals, which were varied by the visual stimuli. In this paper, twelv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visual emotion by pictures from IAPS. ECG and subjective rating were obtained for human emotion evaluation. For determination of HRV, ECG was extracted into HF and LF via power spectrum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HRV is good for discrimination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 PDF

뇌파를 활용한 사용자의 감정 분류 알고리즘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Users' Emotion Using Brain-Wave)

  • 이현주;신동일;신동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2호
    • /
    • pp.122-1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서 취득한 뇌파의 감정분류를 시행하였고,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K-means 알고리즘으로 분류실험을 하였다. 뇌파 신호는 측정 한 32개의 채널 중에서, 이전 연구에서 감정분류가 뚜렷하게 나타났던 CP6, Cz, FC2, T7, PO4, AF3, CP1, CP2, C3, F3, FC6, C4, Oz, T8, F8의 총 15개의 채널을 사용하였다. 감정유도는 DVD 시청과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라는 사진 자극 방법을 사용하였고, 감정분류는 SAM(Self-Assessment Manikin)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였다. 취득된 사용자의 뇌파신호는 FIR filter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하였고, ICA(Independence Component Analysis)를 사용하여 인공산물(eye-blink)을 제거하였다. 전처리된 데이터를 FFT를 통하여 주파수 분석을 하여 특징추출(feature extraction)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류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K-means는 70%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SVM은 71.85%의 결과를 도출하여 정확도가 더 우수하였으며, 이전의 SVM을 사용했던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을 유도하는 실시간 반응형 감성 이미지 콘텐츠 플레이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reactive emotion image contents player system to induce the user's emotion)

  • 이해나;김동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55-161
    • /
    • 2014
  • 본 연구는 사용자의 감성을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실시간 감성 이미지 콘텐츠 플레이어를 제안한다. 감성 이미지 콘텐츠 플레이어는 실시간으로 이미지 콘텐츠의 명도, 채도에 변화를 줌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감성 유도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감성인식 부분은 자율신경계 기반의 맥파, 피부온도, 피부저항의 생체신호를 활용하였다. 사용된 감성 콘텐츠 이미지는 국제적 정서체계(IAPS)에서 분류된 9가지 감성영역의 이미지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로 감성 이미지 콘텐츠 플레이어를 통해 이미지의 감성 상태에 맞는 사용자의 감성이 10% 더 정확하게 유도되었다. 감성 콘텐츠 플레이어는 실시간으로 감성 반영을 통해 사용자와 콘텐츠간의 감성적 교감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정서 점화가 제품의 지각된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priming on the product perceived usability)

  • 김명식;김효선;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75-584
    • /
    • 2012
  • 사용성은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지각되는 학습 용이성, 효율성, 만족성 등이 포함되는 복합적인 개념이며, 사용성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할 때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평가자의 내적 요인, 그 중에서도 평가자의 정서를 관심 변인으로 하여, 점화에 의해 유도된 정서가 제품의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IAPS에서 추출된 사진 자극을 점화자극으로 제시하여 참가자들에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긍정적 정서로 유도된 집단은 부정적 정서로 유도된 집단에 비해 지각된 사용성을 더 높게 평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이미지 자극의 정서를 긍정-부정 차원과 각성-이완의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정서의 두 가지 차원 중 어느 차원이 지각된 사용성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유도된 정서가 사용성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용성 관련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평가자는 현재의 정서가 미치는 영향을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 PDF

자극과 맥락의 정서성이 기억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 ERP 연구 (The Effect of Emotional Content and Context on Memory Encoding: ERP Studies)

  • 박선희;박태진
    • 인지과학
    • /
    • 제21권2호
    • /
    • pp.387-408
    • /
    • 2010
  • 이 연구는 자극의 정서성에 따른 부호화 기전의 차이와 맥락의 정서성이 중립 단어의 부호화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정서자극의 우수한 기억 수행이 주의자원 배분에 기인한 것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서자극과 비정서적 단어를 연속으로 제시하여 자극과 맥락의 정서성이 기억 수행과 ERP 평균 진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서자극으로는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자극을 사용하였으며, 긍정, 중립, 부정자극을 제시하였다. 행동 분석결과, 정서자극이 중립자극보다 우수한 기억 수행을 보인 반면, 정서맥락 내 단어는 중립맥락 내 단어에 비해 저조한 기억 수행을 보였다. 또한 ERP의 LPC(Late Positive Complex) 진폭분석 결과, 정서자극이 중립자극에 비해 높은 진폭을 보인 반면, 정서맥락 내 단어는 중립맥락 내 단어에 비해 낮은 진폭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 선점이 정서맥락 내 단어의 기억 수행을 방해한다는 자원할당 모형의 설명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정서자극에 대한 주의자원 배분 설명을 지지하는 것이다.

  • PDF

시각 자극에 의하여 유발된 긍/부정 정서의 뇌파 및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 (Physiological Differentiation of Emotional States Induced by Pictorial Stimuli of Positive And Negative Valence in Passive Viewing Mode)

  • Imgap Yi;Lee, Kyung-Hwa;Estate Sokhadze;Park, Sangsup;Sohn, Jin-Hun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143-147
    • /
    • 1998
  • Autonomic and EEG responses of 38 college students were studied during 60-sec long presentation of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slides evoking, according to subjective reports, negative (disgust, sadness, surprise) and positive (happiness, exciting) emotional. states. Observed were significant heart rate (HR) deceleration, large skin conductance responses (SCR), moderate respiration frequency slowing, reduction of frontal (F 3, F 4 ) and occipital (O 1, O 2 ) fast alpha, and increases of theta, delta and beta relative spectral power values during the first 30 sec of exposure of IAPS pictures. Analysis carried out to differentiate emotion categories according to autonomic responses indicated that observed HR deceleration was larger in magnitude in surprise and sadness than in disgust, SCR amplitude higher in sadness than in disgust. EE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ta (F 3, F 4 ) and delta (O 1) power increase in disgust vs. happiness, fast alpha (F 3, F 4 ) power was lower in surprise than in happiness, and slow beta power higher. in happiness than in disgust (0 1). Despite some differences. observed within discrete emotion conditions, overall responses pattern of monitored parameters exhibited similar profiles with few variations, most. obvious. in disgust state, which suggests that affective visual stimulation elicits stereotypical responses in a given passive viewing paradigm. However, the magnitude of physiological responses may vary to certain extent across discrete emotional states making it possible to differentiate among particular experimentally-induced emotional states, e.g., disgust vs. sadness by ANS responses or disgust vs. happiness by EEG measures.

  • PDF

Reproducibility of physiological patterns in disgust visual stimulation design

  • Lee, Kyung-Hwa;E. Sokhadze;Jang, Eun-Hye;Yang, Gyung-Hye;Sohn, Jin-Hun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80
    • /
    • 2000
  • The paper is addressed to the topic of physiological response-specificity in disgust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of physiological reactivity pattern during disgust elicited by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s System (IAPS) in 2 experiments. Twenty-nin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first experiment with 3 visual stimulation sessions with disgust-eliciting slides (3 slides in each 1 min long session). In the second experiment disgust-eliciting slides from the IAPS were presented to 42 subjects in 2 sessions (one slide for 1 min). Spectral power of frontal EEG, skin conductance (SCL, SCR and NS.SCR), heart rate(HR), heart period variability(HPV) and respiration rate were recorded. Visual stimulation evoked 1:.n deceleration, higher power of high frequency component of HPV, increased SCL and NS.SCR frequency, frontal slow alpha blocking and moderate increase in fast beta power in most of the sessions in both experiments. However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EEG pattern associated with disgust showed inconsistent shifts in fast alpha and slow beta bands, but was marked by higher power of theta activity. Our data in both experiments emphasizes presence of disgust-specific profiles of autonomic and at the less extent EEG responses in visual stimulation context. Discussed are potential behavioral mechanisms leading to observed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in disgust elicited by visual stimulation. The results support the consideration that disgust is an withdrawal type negative valence emotion associated with relatively low autonomic arousal (low HR, low amplitude SCRs with relatively high NS.SCR frequency) and moderate EEG activation signs. Obtained data showed more consistent reproducibility of disgust-specific autonomic rather than EEG response patterns during visual stimulation design.

  • PDF

러셀 모델의 확장을 통한 감정차원 모델링 방법 연구 (A Novel Method for Modeling Emotional Dimensions using Expansion of Russell's Model)

  • 한의환;차형태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75-8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Russell (1980)의 감정차원 모델(Circumplex Model)을 확장하여 새로운 감정차원 모델링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감정차원 중 가장 대표적인 Russell의 모델은 각성(Arousal), 정서가(Valence)의 2개의 축을 이용하여 감정을 나타낸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Russell의 감정차원은 감정을 하나의 점으로만 표현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라고 할 수 없으며 감성과학, HCI, Ergonomics 등의 공학 분야에서 사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ussell의 감정차원 위에 감정들을 하나의 점으로 표현하지 않고, 데이터 분포를 가정하여 영역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타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영역을 수식화하였다. 또한, 마지막 장에서 실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는 ANEW와 IAPS 데이터를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에 적용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모델링 방법을 통해 기존의 연구자들에게 지적된 Russell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 모델을 공학 분야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