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ALA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항로표지 리스크 평가에 기초한 시설운영률 산정에 관한 연구

  • Jeon,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36-338
    • /
    • 2014
  • 항로표지시설은 선박안전통항 유도시설로서 등광, 형상, 색채, 음향, 전파 등을 수단으로 선박에 지표가 되는 시설로서 그 설치는 주변의 해양환경, 해상교통 및 위험정도에 따른 객관적 판단에 의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의 신설 및 평가 시 적용가능한 리스크평가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 방법을 제안한다. 정량적 리스크평가에 대한 IMO(국제해사기구), 및 IALA(국제항로표지협회)의 관련 기준을 연구하여 아국 항로표지시설의 리스크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항로표지 시설의 설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는 해양수산부의 시설물 평가에 효율적인 판단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저전압에서도 충전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용 충방전조절기 개발기술 연구

  • Gang, Chil-Se;Kim, Ji-Yeong;Park,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41-143
    • /
    • 2018
  • 세계적으로 해양자원의 개발, 해양과학자료 조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해양구조물은 증가되고 있다. 해양구조물의 안전과 선박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IALA, IMO등 국제기구에서는 해양구조믈에 등부표, 등대, 전기폰, 레이콘 등 해양안전유도장비의 설치를 권고하고 있다. 해양안전유도 장비의 설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안정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필요하다. 고립된 해상에서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때, 그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않던 일정 전압 이하의 에너지를 최대한 충전 가능전압으로 승압하는 에너지 수확(Energy Harvest)형 충방전조절기 개발 기술을 연구하였다.

  • PDF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 표준 S/W 개발

  • Yeo, Ji-Min;Yu, Yong-Su;Han, Ju-Seop;Kim,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92-94
    • /
    • 2018
  •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은 항로표지 상태정보 및 해양기상정보의 감시제어 및 정보 제공 등을 위하여 지방청별로 설치 시기 및 용역사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운영하고 있다.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을 도입한 지방청들은 표준화되지 않은 관리운영 S/W 및 데이터 베이스를 현장 상황에 맞게 변경하여 각 지방청별로 관리운영 S/W의 유지보수 예산의 중복투자 및 관리자의 관리 운영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IALA(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해사 안전 분야 데이터 교환 국제표준인 S-100에 따른 항로표지 정보 표준인 S-201 규격의 개발이 진행중이다. 이에 e-Navigation 도입을 대비하여 고도화된 항로표지 정보의 체계적이고 원활한 제공을 위해 S-201을 적용한 일원화된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의 표준 S/W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201을 적용한 DB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개선한 새로운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 S/W를 개발하고 있다.

  • PDF

The study on the base investigation to industrial situation for e-Navigation (e-Navigation관련 산업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 Kang, Byoung-Je;Choung, Kwang-Gyo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4
    • /
    • pp.57-73
    • /
    • 2008
  • The United Kingdom proposed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ic vision for e-Navigation at MSC 81 held in 2006. As the development is under way, the concept has not been specified yet. Moreover, It has not come to agreement what information is important and treated in priority for e-Navigation. Korea has been studying it in the various points of view, but no achievement until now. This study looks into the development methods for e-Navigation in Korea through examining international movement and industrial situation as to e-Navigation.

  • PDF

Using the Main Authentication Server and the IVEF in VTS System for Improve of Client Authentication (메인 인증 서버와 IVEF를 이용한 VTS 시스템간 사용자 인증 개선방안)

  • Cho, Seunghyun;Jung, Jae-Wook;Park, Namje;Lee, Byung-Gil;Wo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43-344
    • /
    • 2012
  •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진행하는 "e-Navigation" 프로젝트의 구성요소인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을 정의하고, VTS 시스템간 정보교류를 위한 기술로 IVEF(Inter-system VTS Exchange Format)를 소개한다. 현재까지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 개발한 IVEF에는 접속자에 대한 신뢰도 높은 인증 기술이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해상교통정보는 국가적으로 보안수위가 높은 정보이므로 정보 요청 자에 대한 신뢰 높은 인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인 인증 서버와 IVEF를 이용하여 VTS 시스템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The analysis of beam divergence and the effective intensity of extinction light signals on aids to marine navigation (항로표지용 점멸식 등명기의 배광 및 유효광도 특성분석)

  • Jeong, Jae-Hoon;Song, Sang-Bin;Heo, Young-Kyu;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9-194
    • /
    • 2004
  • 항로표지용 광파표지는 섬광을 통해 관측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부동광도 값을 기준으로 성능(광달거리)를 산출하면 안 된다. 그러나 실제로 유효광도 값은 측정하기 어려우며, 계산식 또한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항로표지용 광파표지의 유효광도에 대한 IALA(국제항로표지협회)와 해양수산부의 권고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국내 항로표지용 점멸식 소형등명기의 배광 및 유효광도를 배광측정기로 측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해상교통관제사 교육용 시뮬레이터의 평가 기능 구현

  • Kim, Seok-Jae;An, B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60-362
    • /
    • 2013
  • 해상교통관제사의 능력 향상을 위해 해양수산부에서는 자격인증에 관한 훈령을 제정한 후 기본과정, OJT 강사과정, 선임관제사 과정, 재교육과정 등의 교육을 시행하면서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왔다. 또한, 항만의 안전과 보안을 우선 담보하는 해상 교통관제사로서 능력을 발휘하고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 IALA V-103에서 언급된 대로 여러 부분의 지식을 함양하고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간접경험으로 훈련을 충실히 하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터는 항만의 선박교통상황을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며 긴급하고 위험한 상황 또한 제한적으로 구현할 수밖에 없는 등 교육용 시뮬레이터의 약점을 보완하기위해 VTS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기능강화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기준을 검토하였다. 특히, 해상교통관제사의 훈련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분석 검토하였다.

  • PDF

IMO e-Navigation SIP의 Gap 분석을 고려한 MSP 구조 연구

  • Yu, Yeong-Ho;Gong, Gil-Yeong;Lee, Bo-Gyeong;Kim, Dae-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01-303
    • /
    • 2013
  • IMO는 선박의 안전항해와 해양환경보호를 위해 e-Navigation의 개념을 채택하였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행계획(SIP, Strategic Implementation Plan)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IALA는 IMO의 NAV의 e-Navigation 실행계획을 완성하기 위해 7개의 작업반(WG)을 운용하고 있다. e-Navigation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첨단 IT 전자장비의 개발도 필요하지만 이러한 장비를 이용하여 항해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IT 서비스, 즉 MSP(Maritime Service Portfolio)가 필요하다. 모든 선박에서 MSP을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MSP의 구조와 데이터가 표준화되어야 한다. 또한 항해안전에 효과적인가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며, MSP가 남용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사고사례와 기존 항해통신시스템과 e-Navigation SIP의 갭 목록, 갭 분석 및 갭 해결책을 활용하여 선박의 안전과 보안에 입각한 MSP 구조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 PDF

항로표지 카테고리 및 운영률의 도입에 관한 연구

  • Jeon, Min-Su;Kim, Gi-D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09-310
    • /
    • 2012
  • 우리나라의 항로표지는 육지초인표지, 연안표지, 항만인지표지, 유도표지 및 장해표지 등으로 구분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로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고 항로표지의 카테고리 및 운영률 기준에 근거한 항로표지의 관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를 육지초인표지 및 연안표지 등으로 구분하고 이와 관련한 계산근거를 제시하여 보다 체계적인 항로표지의 구분 및 이에 따른 관련 국제기준(IALA)에서 제시하는 카테고리 및 운영률을 우리나라의 항로표지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체계적인 항로표지의 관리 및 설계시 기준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로표지 시뮬레이터 적용을 위한 속성 분석

  • Kim, Jong-Uk;Ji, Hyeong-Min;Han, Ju-Seop;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74-376
    • /
    • 2012
  • 우리나라 항만 입출항 통항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에 따른 해양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항만 연안 해역에서의 해상교통 안전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 항로표지 설계와 배치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항로표지 전문 기능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주요 항로의 항로표지 설계 및 계획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항로의 항로표지 설계와 적정 배치 여부 등을 검증하고 보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필요하며 3차원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항로표지의 신설 및 이설에 따른 여러 가지 효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대상 해역의 특성이 고려된 다양한 해상교통환경 변화에 따른 항로표지의 신설 및 이설 효과를 선박 운항자 관점에서 검증하거나, 새로운 항만 항로 건설시 최적 항로표지 배치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항로표지용 시뮬레이터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항로표지 시뮬레이터 개발에 필요한 항로표지 관련 속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