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131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36초

Study on iodine Labelling (II) Efficient of Labelling Rose Bengal, Hippuran, and Human Serum Albumin in Small Scale

  • Kim, Jaer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86-193
    • /
    • 1972
  • Rose $Bengal-^{131}$ /I, $Hippuran-^{131}$ /I, $H.S.A-^{131}$ /I 등을 효과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표지 반응액의 pH, 염의함량, 반응액중의 완충용액의 부피 및 합성장치등에 따르는 표지 반응수율을 검토하였다. Rose $Bengal-^131{ }$I 및 $Hippuran-^{131}$ /I 의 반응수율은 PH 5.6에서, $H.S.A-^{131}$ /I 반응수율은 pH 8.5에서 각각 가장 좋았다. 반응액중에 함유된 염은 $Hippuran-^{131}$ /I의 생성반응을 크게 저해 시켰으며 H.S.A.의 표지수율은 어느 범위안에서 오히려 약간 향상시켰다. Rose $Bengal-^{131}$ /I 나 $Hippuran-^{131}$ /I 를 소규모 합성할 경우는 밀폐된 용기가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더 높은 표지수율과 좋은 재현성을 얻을 수 있는 반응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환원제가 함유된 국산 $Na^{131}$ /I를 사용하더라도 Rose $Bengal-^{131}$ /I과 $Hippurn=^{131}$ /I의 표지수율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Study on Iodine Labelling (I) Influence of Reducing Agent and Iodate-$^{131}I$ in Sodium iodide-$^{131}I$ solution on Labelling

  • Kim, Jaer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권3호
    • /
    • pp.141-147
    • /
    • 1971
  • Tetrachloro-p-tetraiodo-R-Fluorescein 및 sodium orthoiodohippurate등 요오드화 합물과 요오드화합물이 아닌 human serum Albumin을 요오드 표지함에 있어서 표지속도와 수율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위의 각각의 화합물들을 여러가지 다른 조건하에 있는 $Na^{131}$ I, 즉, 환원제를 함유한것, 환원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거의 순수하게 131 I$^{-}$형으로 있는것, 및 환원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상당량이 131 IO$_3$$^{-}$형으로 있는것 등을 써서 표지 반응시켰다. 환원제인 $Na_2$S$_2$O$_3$를 함유한 $Na^{131}$ I를 쓰는 경우는 위의 세가지 화합물들의 표지수율이 10% 내외로 매우 저조하였으며 환원제는 없지만 상당량이 $Na^{131}$ I$^{-}$로 존재하는 $Na^{131}$ I를 쓰는 경우도 50~60%의 낮은 수율이었다. 환원제가 없으며 대부분 $Na^{131}$ I$^{-}$로 존재하는 $Na^{131}$ I를 쓰는 경우에만 70~90%의 높은 표지수율을 보였다. 이들 반응에 관여하는 중간체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

  • PDF

방사성 옥소 치료 후 분화된 갑상선암 추적관찰에서 Thallium-201 스캔, Tc-99m MIBI 스캔과 I-131 스캔 검사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allium-201, Tc-99m MIBI and I-131 Scan in the Follow-up Assessment after I-131 Ablative 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권재성;이성근;김도민;박세종;장경순;김은실;김종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3-501
    • /
    • 1999
  • 목적 : 분화된 갑상선암에서 암 절제술 및 방사성 옥소 치료 후 추적관찰 중 재발이나 전이병소를 찾기 위한 효과적인 검사 방법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T1-201 스캔, Tc-99m MIBI 스캔, I-131 스캔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화된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및 방사성 옥소로 치료 후 추적관찰 중 국소 재발 또는 전이로 생각되어 한번이상의 방사성 옥소 재 치료를 시행한 20명(총 33예)의 환자를 대상하여 T1-201 스캔, Tc-99m MIBI 스캔, 진단적 및 치료적 I-131 스캔을 시행하여 각 스캔에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갑상선글로불린을 측정하였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검사로 암의 재발 및 전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4가지 검사의 비교에서 병소를 발견할 수 있는 양성률은 Tc-99m MIBI 스캔, T1-201 스캔, 진단적 I-131 스캔, 치료적 I-131 스캔에서 각각 70% (19/27), 54% (15/28), 35% (17/48), 63% (30/48)였다. T1-201 스캔과 I-131 스캔을 같이 시행한 군(20 예, 28병소)에서는 병소의 양성률은 치료적 I-131 스캔, T1-201 스캔, 진단적 I-131 스캔 순으로 높았으나(71%, 54%, 36%), T1-201 스캔과 진단적 I-131 스캔간의 차이는 없었다(p>0.05). Tc-99m MIBI 스캔을 I-131 스캔과 같이 시행한 군(20예, 27병소)에 서는 Tc-99m MIBI, 치료적 I-131 스캔, 진단적 I-131 스캔의 순으로 높았고(70%, 52%, 33%), Tc-99m MIBI는 진단적 I-131 스캔보다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분화된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 후 추적 관찰에서 국소 재발 및 전이 병소를 찾는데 Tc-99m MIBI 스캔은 진단적 I-131 스캔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치료 전에 진단적 I-131 스캔을 시행하기보다는 갑상선 호르몬제를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Tc-99m MIBI 스캔을 시행한 후 결과에 따라서 치료용량의 방사성 옥소를 투여하고 치료적 I-131 스캔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재발한 악성 갈색세포종 환자에서 $^{131}I$-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치료 후 $^{131}I$-MIBG와 $^{18}F$-FDG PET/CT 영상의 차이점 (A Discrepancy between $^{131}I$-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Scintigraphy and $^{18}F$-FDG PET/CT after $^{131}I$-MIBG Therapy in a Patient with Recurred Malignant Pheochromocytoma)

  • 김근호;김성민;서영덕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6호
    • /
    • pp.582-587
    • /
    • 2009
  • A 59-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malignant pheochromocytoma underwent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18}F$-FDG PET/CT). She had undergone left adrenalectomy for pheochromocytoma 4 years previously. Recent multiple metastatic pulmonary nodules were noted on the chest X-ray. After treatment with $^{131}I$-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with 7.4 GBq, post-therapy $^{131}I$-MIBG scintigraphy depicted multiple distant metastases including lung, liver, abdominal para-aortic and mesenteric lymph nodes. $^{18}F$-FDG PET/CT also depicted multiple metastases in lung, liver, and abdominal para-aortic lymph nodes, but some lesions were not shown. In this case, $^{131}I$-MIBG scintigraphy found additional lesions in metastatic malignant pheochromocytoma.

부인암(婦人癌)에 있어서 $^{131}I$-Hippuran Renogram, $^{131}I$-Hippuran 뇨배설율(尿排泄率) 및 정맥성신우상(靜脈性腎盂像)의 비교관찰(比較觀察) (A Comparative Study of $^{131}I$-hippuran Renogram, $^{131}I$-Hippuran Urinary Excretion Test and Intravenous Pyelogram in Obstructive Uropathy due to Cancerous Invasion)

  • 박복기;이종헌;홍창기;박수성;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3-48
    • /
    • 1968
  • A comparative study of $^{131}I$-hippuran renogram, $^{131}I$-hippuran excretion test and intravenous pyelogram were performed in 61 cases of gynecological cancer.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1. Among 40 cases of cervix cancer showing normal excretory urography 7 cases (17.5%) were found to have unilateral or bilateral delayed excretory pattern on $^{131}I$-hippuran renogram and on the contrary only 2 cases (5.7%) showed a mild caliectatic change on excretory urography among 35 cases of gynecological cancer showing normal pattern of $^{131}I$-hippuran renogram. 2. In the group showing unilateral or bilateral delayed excretory pattern on $^{131}I$-hippuran renogram there was a reduction of $^{131}I$-hippuran excretion in the first 20 minut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131}I$-hippuran excretion in 60 minutes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renogram group. 3. In the group showing unilateral non-functioning pattern of $^{131}I$-hippuran renogram in one side and normal pattern in the other side ther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in $^{131}I$-hippuran excretion amount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renogram group. 4. It was evident from these experimental study that $^{131}I$-hippuran renogram was considered as a good examin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obstructive uropathy, and if one side kidney was intact it might compensate for the other diseased kidney so far as to renal excretory funct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more severe the cancerous spread in the pelvic wall the more changes on $^{131}I$-hippuran renogram.

  • PDF

일측(一側) 갑상선(甲狀腺) 제거(除去)가 I131의 대사(代謝)에 미치는 영향 (Metabolic Change of I131 in Unilatearl Thyrodectmized Rabbits)

  • 장병표;권종국;이영소;정영채;이대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5-41
    • /
    • 1967
  • In these studies, the relationship of the thyroid function of normal and unilateral thyroidectomized rabbit, were st studied. $I^{131}$ uptake rate of the thyroid gl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BI^{131}$ and $I^{131}$ in the blood, erum $PBI^{131}$ conversion ratio, and the thyroidal $I^{131}$ release rate in ten rabbits were mesured following a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of $10{\mu}ci$ of $I^{131}$. 1. The thyroidal $I^{131}$ uptake rate in the treated group were 5.06, 8.58, 6.46, and 6.54% in 12, 36, 60 and 85 hrs., respectively, after injection of $I^{(3)}$. The uptake rate were significantly differrenciat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2. The $PBI^{(3)}$ conversion ratios were 9.87, 15.63, 41.01, 66.25 and 66.25% in 12, 36, 132, 180 hrs., respectively, after injection of $I^{13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3. The concentration of $PBI^{131}$ and $I^{131}$ in the blood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4. The excretion rate of $I^{131}$ in urin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but the excretion of $I^{131}$ in the treat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5. The exrcetion rate of $I^{131}$ in feces in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0.01)

  • PDF

Chromatographical Determination of Radiochemical Purity of Hippuran $^131 I$

  • Kim, Jaerok;Kim, Tae-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234-239
    • /
    • 1973
  •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o-iodohippuric acid-$^{131}$ I와 o-iodobenzoic acid-$^{131}$ I의 분리에 관한 기보된 방법은 착오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두 유사 화합물들의 효과적 분리를 위하여 제시된 용매는 균일하게 섞여지지 않을뿐 아니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이들 두 화합물은 분리되지 않았다. o-iodohippuric acid-$^{131}$ I의 동위원소 교환법에 의한 제조과정에서 o-iodohippuric acid가 o-iodobenzoic acid로 변환되지 알음을 확인하였으며 Hippuran-$^{131}$ I의 방사화학적 순도 결정을 위한 간편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종양 이식 백서에서 3-[$^{131}I$iodo-O-methyl-L-${\alpha}$-methyltyrosine의 체내 동태 연구: L-3-[$^{131}I$iodo-${\alpha}$-methyltyrosine와 비교 (Biodistribution of 3-[$^{131}I$]iodo-O-methyl-L-${\alpha}$-methyltyrosine in Tumor Bearing Rats: A Comparison Study with L-3-[$^{131}I$]iodo-${\alpha}$-methyltyrosine)

  • 최창운;양승대;우광선;정위섭;임수정;서용섭;전권수;안순혁;이종두;홍성운;임상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0-297
    • /
    • 1998
  • 목적 : 본 연구는 3-[$^{131}I$]iodo-O-methyl-L-${\alpha}$-methyltyrosine ([$^{131}I$]OMIMT)의 종양영상용 방사성의 약품으로서의 유용성을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31}I$]OMIMT는 4-0-methyl-L-${\alpha}$-methyltyrosine (OMAMT)를 lodogen 방법으로 [$^{131}I$]를 표지하여 얻었다. 9 L gliosarcoma 세포주를 배양한 다음 in vitro에서 [$^{131}I$]OMIMT와 L-3-[$^{131}I$]iodo-${\alpha}$-methyltyrosine ([$^{131}I$]IMT)의 세포섭취율을 4시간까지 구하였다. 같은 세포주를 Fischer 백서의 우대퇴부에 이식하여 종괴를 형성한 다음 [$^{131}I$]OMIMT와 [$^{131}I$]IMT를 각각 주사하고 30분, 2시간, 24시간에 동물을 희생하여 종양내의 섭취와 체내분포를 조직gram당 주사량의 백분율(% ID/g)을 구하였다. 또한 종양이식 백서에 [$^{131}I$]OMIMT 1.11 MBq을 정맥주사하고 30분, 2시간, 24시간 후 감마카메라로 영상을 얻었다. 결과: 9 L glioma 세포의 [$^{131}I$]OMIMT 섭취는 30분에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 후 4시간까지 감소하였으며, [$^{131}I$]IMT에 비하여 배양 후 30분에서 3.3배(6.7% vs 2.3% uptake) 높았으나 4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131}I$]OMIMT의 체내 종양내의 섭취를 [$^{131}I$]IMT와 비교하였을 때, 주사 후 30분과($3.74{\pm}0.48$ vs $0.38{\pm}0.17%$ ID/g, p<0.01), 2시간($2.40{\pm}0.17$ vs $0.24{\pm}0.03%$ ID/g, p<0.01)에 유의하게 높은 섭취를 보였고, 24시간($0.04{\pm}0.01%$ ID/g)까지 감소하였다. 종양이식백서에서 [$^{131}I$]OMIMT 주사 후 30분 영상에서 종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131}I$] 또는 [$^{131}I$]OMIMT는 종양의 아미노산 대사 영상제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후 잔여갑상선조직 및 전이병소의 진단: Tc-99m Pertechnetate 스캔과 고용량 옥소 치료 후 I-131 스캔의 비교 (Detection for Residual Thyroid Tissue and Metastatic Lesion after Total 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between Tc-99m Pertechnetate Sean and High Dose I-131 Therapy Sean)

  • 이주령;안병철;정신영;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7
    • /
    • 2003
  • 목적: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잔여 갑상선 조직이나 전이 병소를 찾기 위해서는 진단적 I-131 스캔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I-131 스캔은 갑상선 호르몬 중지가 필요하고, 방사성 옥소 투여후 $2{\sim}3$일에 영상을 얻어야 하며, 기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Tc-99m 스캔은 검사가 용이하고 영상의 질이 좋아 진단적 I-131 스캔을 대체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용량 방사성 옥소 치료 후 시행한 I-131 스캔을 기준으로 하여 치료전 시행한 Tc-99m 스캔의 진단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 135명을 대상 (여: 114, 연령: $45{\pm}15.3$세)으로 하였고, 방사성옥소 치료 병력이 있는 환자는 23명 (1회 16명, 2회 4명, 3회 3명)이었다. 갑상선 호르몬 복용을 4주간 중단한 후 370 MBq의 Tc-99m pertechnetate를 정맥주사 한 20분 후에 전경부의 평면 및 바늘구멍 Tc-99m 스캔 영상을 얻었고, $3.7{\sim}7.4GBq$의 I-131 옥소를 경구 복용한 3일후 전경부 평면 및 바늘구멍 I-131 스캔 영상을 얻었다.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은 최대 7일 간격 이내에 시행되었다. 영상의 판독은 두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함께 합의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섭취여부 및 섭취부위의 개수를 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모두는 혈청 TSH는 30 mlU/L 이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상태에 있었다. 전체 환자 135명 가운데 65명 (48.1%)에서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두 스캔사이에 불일치를 보인 환자 가운데 23명 (35.4%)은 Tc-99m 스캔에서는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된 경우이며, 42명 (64.6%)은 Tc-99m 스캔보다 I-131 스캔에서 전경부 옥소 섭취부위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이 없는 환자 112명 가운데 51명 (45.5%)은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이들 가운데 Tc-99m 스캔에서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던 11명 가운데 9명 (81.8%)은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되었다. 수술후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전체 23명은 Tc-99m 스캔상 전경부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들 중 14명 (60.9%)은 I-131 스캔에서 전경부의 옥소 섭취부위가 나타났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잔여 갑상선조직이나 전이병소를 평가시 Tc-99m 스캔은 고용량의 방사성 옥소 치료후 얻은 I-131 스캔을 기준으로 볼때 진단적 예민도가 낮았으며, 특히,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을 가진 환자의 경우, 진단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선암 환자에서 전절제술 후 I-131 치료에서 미만성 간침착 정도의 분석 (Analysis of Diffuse Hepatic Visualization after Iodine-131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 정진형;배금석;강성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6-211
    • /
    • 2000
  • Objectives: Any uptake of I-131 after total thyroidectomy means the remant thyroid tissue or distant metastasis of the thyroid cancer. However diffuse hepatic uptake of I-131 without abnormal uptake was showen in many cases on I-131 whole body sca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iver uptake after I-131 scan and to evaluate the analysis of this findin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2 and 1998, 104 patients(l4 males, 90 females) with normal liver function underwent I-131 scan after total thyroidectomy. Prospectively we reviewed the films of the whole body scan and analysed the correlations between results of radioiodine uptake, pathologic diagnosis, prognostic factors, lymphatic metastasis, and thyroid function test. Result: Diffuse hepatic uptake was found in 44 of 104(42%) patients. 10 of 39(26%) patients on I-131 100mCi, and 34 of 63(54%) on I-131 150mCi showed hepatic uptake. 52 of 104(50%) patients was locally invasive thyroid cancer. The rate of the hepatic uptak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thyroid hormone levels(T3, Free T4) and thyroglobulin between uptake group and non-uptake group. Conclusion: The rate of I-131 uptake was high in high-dose radioiodine treatment group. However, we can not find any correlation among the thyroid functions, the extent of metastasis or the extent of local invasion. We need further study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hepatic uptake of I-131 after total thyroidectomy, besides liver metabolism of I-131 attached thyroid hormo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