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hantria cunea NPV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a Novel Baculovirus Isolated from Fall Webworm in Korea

  • Heo, Won-Il;Choi, Jae-Bang;Bae, Sung-Min;Shin, Tae-Young;Woo, Soo-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2권2호
    • /
    • pp.75-82
    • /
    • 2011
  • To elucidate the novelty of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HcNPV) isolated in Korea, polyhedrin and inhibitor of apoptosis (iap) gen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f HcNPV polyhedrin showed a little difference with 97.6% at the nucleotide level but no difference at the amino acid level when compared with that of previously reported H. cunea NPV (HycuNPV). On the other hand, iap genes showed variable differences with 89.0-99.6% nucleotide and 90.0-99.6% amino acid sequence identities. Especially, the 5' and 3' non-coding flanking sequences of iap1 gene had lower degree of identity with those of HycuNPV. Although the phylogenetic analyses using polyhedrin and iap genes showed that HcNPV is closely related with HycuNPV, we could provide that HcNPV is a novel isolate having novel gene structures.

한국에서 분리한 미국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체 분석 (Complete Genome Analysis of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Isolated in Korea)

  • 최재방;김현수;우수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5-412
    • /
    • 2023
  • 광식성 난방제 해충인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의 친환경 방제를 위한 바이러스 살충제의 소재 활용을 위해서 국내에서 분리된 미국흰불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H. cunea nucleopolyhedrovirus W1: HycuNPV-W1)의 다각체 형태 및 전장 유전체 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HycuNPV-W1의 다각체는 1.5-2.2 um 크기의 사면체에 가까운 부정형으로 확인되었다. 전장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HycuNPV와 비교할 때 1,606 bp 더 짧은 131,353 bp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G+C 함량은 45%였으며 상동반복영역은 6개로 기존에 보고된 HycuNPV와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ORF 분석에서는 HycuNPV-W1은 기존의 HycuNPV와 비교할 때 3개의 ORF가 더 적은 145개를 가졌으나, HycuNPV-W1에만 존재하는 2개의 ORF가 확인되었다. 이들 ORF의 기능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체의 vista 분석 결과에서는 HycuNPV-W1과 기존 HycuNPV의 전체 염기서열 유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석한 HycuNPV-W1의 전장 유전체는 기존의 HycuNPV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자적인 특성을 가진 서로 다른 분리주로 국내 고유자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봉입형의 핵다면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과 인식항원의 결정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Major Polyhedra Inclusion Body of the Occluded Form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장성호;홍순복;이형환;김종배;조명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6-413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duce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major polyhedral inclusion body (PIB) antigen of the occluded form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HcNPV). PIB proteinS were purfied from the Spodoptera frugiperda cell infected with HcNPVs. Using the purified PIB protein, BALB/C mice were immunized 3 times with 2 weeks intervals. The spleen were removed and fused with Sp2/0-Ag14, mouse myeloma cells.

  • PDF

흰불나방 핵다각체바이러스 다각체단백질 유전자포함 절편의 클로닝 (Cloning of the Polyhedrin Gene-Containing DNA Fragment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박호영;진병래;박순식;김정일;깅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60
    • /
    • 1993
  • 흰 불나방 핵 다각체바이러스(Hyphantria cunea nuclear Palyhedrosis virus: HcNPV)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포함 절편의 탐색과 클로닝을 행하였다. Autographa cahfornica NPV EeoRI-I 절편 (약 7.3 kb), Bombyx mori NPV PstI-F 절편 (약 7 kb) 및 합성 oligonucleotide ( 3D-mer) 를 probe로 한 sou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여 HcNPV PstI - L 절편 (5.3 kb)을 탐색하고, pUC18을 이용하여 E. coli에 형질전환시켜 클로닝하였다. 클로닝한 plasmid의 EeoRI, SaIl, Kpnl, HindIII, SacI 및 AvaI의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고 pHeP-L(8.0 kb)이라 명명히였으며, 이를 다시 pHcP-Ll(4.7 kb), pHcP-L2(7.1 kb), pHcP-L3(5.3 kb), pHcP-L4(4.2 kb) 및 pHeP-L5(4.5 kb)로 subeloning 하였다.

  • PD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특성 및 병원성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근광;김명곤;박일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35-439
    • /
    • 1995
  • 바이러스 살충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HcNPV)의 일부 특성과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HcNPV는 Spodoptera frugiperda (Sf)세포의 핵에서 복제 되었으며, 바이러스를 감염 시켰을 경우 감염 24시간 후에 prepolyhedra 형성이 관찰 되었고, 감염 48시간 후에는 성숙된 많은 polyhedra가 전체세포에서 관찰 되었으며, 감염 72시간 후에는 polyhedra가 세포밖으로 방출 되었다. 또한 세포는 부유 배양에서 잘 성장 하였으며,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전의 세포 배양액은 pH가 6.35이었으나 이주 점차 증가하여 감염 120시간 후에는 pH가 6.77이었다. Polyhedra inclusion body(PIB)를 설탕 밀도구배 원심 분리한 결과 $50{\sim}55%$ 부근에서 벤드가 형성 되었고, polyhedra는 도립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하에서 관찰한 결과 대부분 4변형의 6면체(tetragonal hexahedron) 이었고, PIB의 크기는 평균 $2.5{\mu}m$이었다. 또한 감염 48시간 후에 polyhedra 속에는 다발을 형성한 비리온이 봉입 되어 있었다. 흰불나방 유충에대한 병원성 시험에서는 4령에서 보다는 2령과 3령의 유충에서 치사율이 높았고, $1.5{\times}10^{9}{\sim}l.5{\times}10^{7}PIB/ml$로 섭식시킨 구룹에서는 2령과 3령 유충에서 9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 내었다.

  • PD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p10유전자와 프로모터의 염기서열 결정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of p10 Gene and its Promoter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박선아;차성철;장재혁;이형환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137
    • /
    • 1996
  •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p10유전자와 프로모터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고, p10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유도했다. pBP10재조합클론 (Cha et. al., 1991)에 삽입이 되어있는 p10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p10유전자의 ORF는 285 bp였고, p10단백질은 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되었으며, 분자량은 10.26 kDa이었다. 프로모터내에는 TATA box와 전사개시부위인 TAAG 염기가 발견되었다. poly (A) signal부위인 AATAAA염기서열은 3'-말단상류의 65염기부위에 위치했다. p10단백질의 N-말단은 소수성이었으며, C-말단은 고도로 친수성이었다. p10단백질에는 cysteine, histidine, tryptophane, tyrosine, glutamine, asparagine잔기가 없었다.

  • PDF

누에와 흰불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Nuclear Polyhedrosis Viruses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and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현욱;박범석;진병래;임대준;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5-112
    • /
    • 1989
  • 누에(Bombyx mori)와 흰불나방(Hyphantria cunea)으로 부터 분리된 핵다각체병바이러스(nuclear polyhedrosis virus: NPV)를 동정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관찰한 결과, BmNPV 다각체의 크기는 $3 \mu\textrm{m}$ 정도의 18면체로 외형이 균일하였으나, HcNPV는 1.5-$2 \mu\textrm{m}$ 정도이며 부정형이었다. Alkaline protease를 부활화시킨 후 SDS-PAGE한 다각체 단백질의 分子물은 BmNPV가 30 KD, HcNPV는 31 KD인 major band와 이들의 중합체(polymer)로 생각되는 57 KD, 112 KD의 minor band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virion 단백질을 SDS-PAGE한 후 은염색한 결과, BmNPV는 분자량 9.6~112 KD인 47개의 band, HcNPV 경우는 분자량 9.4~l11 KD인 48개는 band가 관찰되었다. BmNPV와 HcNPV DNA의 제한효소 처이에 의한 전기영동 패턴을 관찰했으며, 각각의 genome 크기는 BmNPV가 약 116.4 Kb, HcNPV의 약 114.6 Kb였다.

  • PDF

A Productive Replication of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in Lymantria dispar Cell Line

  • Demir, Ismail;Demirbag, Zihn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485-1490
    • /
    • 2006
  • In this study, comparative replicational properties of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HycuNPV) in Lymantria dispar (IPLB-LdElta) and Spodoptera frugiperda (IPLB-Sf21)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Our microscopic observations showed that cytopathic effects (CPEs) in LdElta cells appeared 12 h later than those in Sf21 cells. Whereas polyhedral inclusion bodies (PIBs) formed at 48 h postinfection (p.i.) in LdElta cells, it formed at 36 h p.i. in Sf21 cells. Extracellular virus produc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TCID_{50}$) method in LdElta cells started about 12 h later when compared with Sf21 cells. Titers of extracellular virus in LdElta and Sf21 cells were calculated as $1.77{\times}10^9$ plaque forming units (PFU)/ml and $5.6{\times}10^9PFU/ml$, respectively, at 72 h p.i. We also showed that viral DNA replication began at 12 h p.i. in both cell lines. Viral protein synthesis was deter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 and polyhedrin synthesis was observed at 12 h p.i. in both cell lines.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synthesis of macromolecules is 12 h later and production of extracellular virus is almost 3-fold lower in LdElta cells compared with those in Sf21 cells, the LdElta cell line is still a productive cell line for infection of HycuNPV.

수종 나비목 해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다각체 단백질 특성과 그에 대한 Alkaline Proteaes의 영향 (Influence of Alkaline Protease on Polyhedral Proteins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es Isolated from Three Lepidopterous Insects)

  • 박범석;김현욱;진병래;임대중;김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1-218
    • /
    • 1988
  •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SI), 누에(Bombyx mori: Bm) 및 흰불나방(Hyphantria cunea : Hc)으로부터 분리된 핵다각체병 바이러스(nuclear polyhedrosis virus : NPV)의 다각체의 단백질의 특성과 그에 대한 alkaline protease의 영향을 SDS-PAGE 및 혈정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Alkaline protease를 부활화시킨 후 다가체 단백질을 SDS-PAGE한 결과, BmNPV의 경우 30kD, SINPV와 HcNPV는 31kD의 단일 major band 및 이것들의 종합체(polymer)인 57kD와 66kD의 minor band들이 관찰되었다. Alkaline protease의 부활화를 성략한 SI NPV 다각체를 알칼리 용액으로 시간 차이를 두고 처리한 후 SDS-PAGE한 결고, 알칼리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alkaline protease활성에 의해 다각체 단백질이 일정한 pattern으로 저분자화됨이 뚜렷하였다. SINPV 와 BmNPV 다각체 단백질의 항체를 제조하여 SINPV, BmNPV및 HcNPV 다각체 단백질간의 혈정학적 상동성을 이중형역광산법과 Western blot으로 비교한 결과는 3종 모두에서 공통 antigenic determinants의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major 다각체 단백질의 종합체 형성과 alkaline protease에 의한 분해를 확인했다.

  • PDF

Construction of a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Using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for Eukaryotic Cells

  • Lee, Hyung-Hoan;Kang, Bong-Joo;Park, Kap-Ju;Cha, Soung-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676-684
    • /
    • 1998
  • Baculovirus transfer and expression vectors with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HcNPV) were constructed. An initial transfer vector, pHcEV, constructed using HcNPV was previously reported (Park et al. 1993. J. Kor. Soc. Viral. 23: 141-151). Herein, the size of the vector was properly reduced, and a functionally perfect vector was constructed and named pHcEV-IV (6.7 kb). The vector has a 2.2-kb HcNPV DNA sequence in the 5'-flanking region of the vector's polyhedrin gene promoter. The 1.8-kb HcNPV DNA sequence, poly A signal sequence, T3 primer sequence, and 13 multicloning site sequences, in order, were ligated in front of the translation start codon of the polyhedrin gene. The cloning indicating marker lacZ gene was inserted into the pHcEV-IV, named pHcEV-IV-lacZ, and transferred into the wild-type virus. Recombinant expression virus, lacZ-HcNPV, was constructed by replacing the lacZ gene in the pHcEV-IV-lacZ with the polyhedrin gene of the wild-type virus. The recombinant virus was isolated from blue plaques that produce $\beta$-galactosidase without polyhedra. The lacZ gene insertion was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is. The expression of the lacZ gene in Spodoptera frugiperda cells infected with the lacZ-HcNPV was examined by SDS-PAGE and colorimetric assay. One 116-kDa LacZ protein band appeared on the PAGE. The production rate of the $\beta$-galactosidase was approximately 50 international units (IU) per min per ml between 2 to 5 days postinfection (p.i.). The highest activity occurred at five days p.i. was 170 IU/min/$m\ell$. The enzyme activity first appeared about 20 h p.i. as measured by colorimetric ass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