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trophic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2초

비대섬 골이형성증의 진단 영상 (Hypertrophic Osteodystrophy in a Dog)

  • 최지혜;조태현;김현욱;박성민;최민철;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90-494
    • /
    • 2000
  • 2달령의 수컷 로트와 일러가 4일간 설사와 통증.보행 실조 등의 증상을 보여 (주)해 마루 소동물 임상 의자 연구소에 의뢰되었다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폐야 전반에 걸친 페포성 침윤과 흉벽의 심란 비후가 관찰되어 흉막폐렴으로 진단하였으며 복강 초음파 검사에서 상 복부에서 소량의 복수가 관찰되었고 전반적인 간 echogenicity가 증가되어 있었다. 치료 후 설사 증상은 사라지고 전신 상태가 다소 호전되어 내원 후 7일째에 흉부 방사선 검사를 재 실시하였다. 흉막과 폐의 병변은 변화가 없었으나 상완골과 요골의 골간단 부분에 이상 소견 이 발견되어 골격계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상완골, 요골, 대퇴골 그리고 경골의 골간단에 경화성 변화와 무정형의 골막 반응이 관찰되었고 요골, 척골과 경골의 골간단 부분에 성 장판 외의 방사선 투과성 선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특이적인 방사선 소견을 바탕으로 비록 본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밝힐 수 없었으나, 감염성 원인에 의한 비대성 골이형성증으로 진단하였다.

  • PDF

서낙동강에서 분리된 남조 Microcystis의 처리상태에 따른 세균의 성장 및 형태변화 (Changes of growth and morphology of bacteria by the treatment of Microcystis isolated from the Seo-Nakdong River)

  • 박재림;하경;권윤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9호
    • /
    • pp.935-941
    • /
    • 2003
  •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bacteria and Microcystis isolated from a hypertrophic reservoir(Seo-Nakdong River), the response of five bacteria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treatment of Microcystis and microcystin production by addition of dominant bacteria Staphylococcus sciuri were examined. Five bacteria (S. sciuri, S. capitis, S. epidermis, Pseudomonas aeruginosa and Aeromonas aimonicida) were identified from the reservoir. In the experiment of bacterial response, two types of bacterial growth pattern were observed. All bacteria showed active growth in heated Microcystis-added media. Especially, three species of bacteria (S. sciuri, S. capitis and P. aeruginosa) among them showed active growth in live Microcystis-added media. In Microcystis response, increase of microcystin production showed when dominant bacteria, S. sciuri was added.

Pathogenetic Overlapping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Developed in a Child with Takayasu Arteritis: 'One-clip, One and Half-kidney Model'

  • Lee, Su Jeong;Baek, Hee Sun;Jang, Hea Min;Kim, Hyung-Kee;Huh, Seung;Cho, Min Hy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0권1호
    • /
    • pp.33-36
    • /
    • 2016
  • There are two pathogenic models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RVH) originating from renal artery stenosis. We noted a case of a boy who had severe hypertension with atrophic left kidney, hypertrophic right kidney, a segmental stricture of the abdominal aorta, and total occlusion of the right renal artery. Due to the atrophic change of the contralateral, unclipped left kidney, this patient presented with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related to both models of pathogenesis of RVH occurring at the same time. We conclude that this patient presented with the middle stage of the two RVH pathogenetic models, so called the 'one-clip, one and half-kidney model.'

Management of keloid scars: noninvasive and invasive treatments

  • Kim, Sang Wh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2호
    • /
    • pp.149-157
    • /
    • 2021
  • Scars vary from mature linear scars to abnormal excessive scars such as hypertrophic scars and keloid scars. Keloid scars are fibro-proliferative disease entities that reflect an abnormal process of wound healing. They can cause pain, itching, stiff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ll of which can affect quality of life. Various treatment options have been advocated as ways to prevent and treat keloid scars. These include noninvasive treatments such as use of silicone gel sheeting and compression therapy, and invasive treatments such as intralesional corticosteroid injections, surgery, and radiotherapy. Novel treatments include chemotherapy, immunotherapy, and anti-inflammatory therapies. Unfortunately, keloids continue to pose a significant challenge due to the lack of efficacious treatments. Therefore, clinicians should be familiar with various therapeutic options and apply the most suitable treatment plan for patients.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current therapeutic options for the management of keloid scars.

Gastrointestinal Emergency in Neonates and Infants: A Pictorial Essay

  • Gayoung Choi;Bo-Kyung Je;Yu Ji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호
    • /
    • pp.124-138
    • /
    • 2022
  • Gastrointestinal (GI) emergencies in neonates and infants encompas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GI tract. Both congenital and acquired conditions can cause various GI emergencies in neonates and infants. Given the overlapping or nonspecific clinical findings of many different neonatal and infantile GI emergenci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s age group, appropriate imaging is key to accurate and timely diagnosis while avoiding unnecessary radiation hazard and medical cost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adiological findings of essential neonatal and infantile GI emergencies, including esophageal atresia and tracheoesophageal fistula,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duodenal atresia, malrotation, midgut volvulus for upper GI emergencies, and jejunoileal atresia, meconium ileus, meconium plug syndrome, meconium peritonitis, Hirschsprung disease, anorectal malformation,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intussusception for lower GI emergencies.

영아 비후성 유문협착증 - 대한소아외과학회 정회원을 대상으로 한 전국조사 -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김인구;김상윤;김신곤;김우기;김재억;김재천;김현학;박귀원;박영식;박우현;송영택;양정우;오수명;유수영;이두선;이명덕;이석구;이성철;장수일;정상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2호
    • /
    • pp.149-155
    • /
    • 1998
  • Thirty three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urrent management of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IHPS). The members completed a registration form and a questionnaire that indicated their treatment preferences for patients treated during 1996. The response rate was 84.8 %, and 23 institutions participated. Three hundred and sixty-three cases of IHPS were analyse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5.15: 1.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nonbilious vomiting in 363 cases(100 %), palpable mass in the upper abdomen in 200 cases (55.1 %) and visible peristaltic waves in 67 cases(18.5 %). Fluid therapy was done in 161 cases(44.4 %) for preoperative preparation. Twenty patients(5.5 %) were premature. There were 27 low birth weight babies(7.7 %). The onset of symptoms ranged from 1 to 14 weeks of age with a peak occurrence at 2 to 4 weeks of age. Two hundred and thirty-six cases(66.6 %) presented within 4 weeks of age. There was one set of male twins and a family history of twins. The modes of feedings were: breast feeding; 69 cases(24.5 %), formula feeding; 176 cases(62.4 %) and mixed feeding; 37 cases(13.1 %). The preferred diagnostic modalities were ultrasonography (US) 229 cases(63.1 %), UGI series 27 cases(7.4%) and US and UGI series combined 86 cases(23.7 %). Only 21 cases(5.8 %) were operated on without imaging study, ie. with positive physical finding. Perforation of the mucosa during pyloromytomy occurred in 5 cases. All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primary closure. Persistent vomiting over 2 weeks after operation were reported in 5 cases. Three wound infections, one aspiration pneumonia and one postoperative bleeding were reported. There was no mortality in 363 cases.

  • PDF

비대성 심근증이 있는 고양이에서 혈장 D-dimer 농도의 평가 (Evaluation of Plasma D-dimer Concentration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김태영;한숙희;최란;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5-89
    • /
    • 2014
  • 동맥 혈전색전증은 비대성 심근증이 있는 고양이에서의 흔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그러므로 금번 연구에서 비대성 심근증의 고양이에서 좌심방 확장 및 심부전의 중등도에 따른 응고 항진 (혈장 D-dimer의 농도 측정을 사용)을 평가하였고, 심장초음파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조사 하였다 (이완기 좌심실 자유벽 두께, 이완기 중격의 두께, 좌심실 대 대동맥의 비율, 심부전 단계, 이첨판막의 수축기 전방운동의 존재). 이번 연구 집단에서 평균 혈장 D-dimer 농도는 대조군에서 $0.51{\pm}0.70$ (range 0 to 2.50) ug/mL, HCM 고양이 집단에서 $1.47{\pm}1.29$ (range 0.3 to 5.79) ug/mL, ISACHC I군에서 $1.48{\pm}1.65$ (range 0.3 to 5.79) ug/mL, ISACHC II군에서 $1.62{\pm}0.4$ (range 1.31 to 2.07) ug/mL, ISACHC III군에서 $1.36{\pm}0.91$ (range 0.3 to 2.31) 였으며, 좌심방확장이 있는 고양이에서 $1.90{\pm}1.60$ (range 0.3 to 5.79) ug/mL, SEC-T이 있는 고양이에서 $1.72{\pm}0.72$ (range 0.6 to 2.31) ug/mL, SAM이 있는 고양이에서 $1.19{\pm}0.70$ (range 0.3 to 2.31) ug/mL 그리고 ATE가 있는 고양이에서 $1.63{\pm}0.80$ (range 0.6 to 2.31) ug/mL 였다. 본 연구에서 D-dimer의 농도치가 좌심방 확장과 심부전 유무와 절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HCM, ATE, SECT 그리고 SAM이 있는 고양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혈장 D-dimer의 중간값과 평균 농도치가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HCM이 있는 고양이에서 응고 항진이 나타난다는 명확한 증거이다. 이번 연구는 한국에서 HCM이 있는 고양이의 응고 항진을 평가한 첫 연구이다.

영아 비후성 유문 협착증 - 35례 보고 -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 Report of 35 cases -)

  • 허영수;김규락;신손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99-210
    • /
    • 1996
  • 1993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최근 만 3년 10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에서 영아 비후성 유문협착증으로 수술받은 환아 35명을 대상으로 임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35례 중 남아 32례, 여아 3례로 남아에서 10.7배 호발하였으며, 내원시 연령은 생후 2주에서 8주 사이가 80%로 가장 많았다. 2. 총 35례 중 미숙아 2례(5.7%), 저체중아 3례(8.6%)이었으며, 형제 중 발생순위는 초산아가 23례(65.7%)로 가장 많았다. 3. 총 35례 중 모유를 수유한 경우가 23례(65.7%), 우유를 수유한 경우가 9례 (25.7%)로 모유를 수유한 경우에서 많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4. 입원시 체중 percentile은 전례에서 50 percentile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증상발현시기는 생후 1주에서 2주 사이가 11례(31.4%)로 가장 많았으며, 총 35례 중 27례(73.1%)가 신생아기에 발생하였다. 병력기간은 증상 발현후 1주내에 내원한 경우가 17례(48.6%)로 가장 많았다. 6. 임상증상으로는 무담즙성 분출성구토가 가장 중요한 증상으로 35례 전 예에서 나타났다. 7. 이학적 소견상 초진시 13례(37.1%)에서 우상복부 종괴가 촉지되었고 15례(42.9%)에서 가시성 위 유동파가 있었으며 1례(2.9%)에서 황달을 볼 수 있었다. 8. 혈중전해질의 변화는 저염소혈증 14례(40.0%), 저칼륨혈증 9례(25.7%)에서 관찰되었다. 9. 타 병원에서 상부위장관조영술 시행후 전원되었던 4례를 제외한 나머지 31례에서 시행한 복부초음파상 종괴크기의 평균치는 유문근두께 6.2mm, 유문직경 12.1mm, 유문관길이 17.9mm로 측정되었으며, IHPS의 가장 중요한 초음파상 진단적 척도의 기준인 유문근두께가 4mm이상인 경우는 29례(93.6%), 5mm이상인 경우는 26례(83.9%)로 관찰되었다. 10. 총 35례 중 6례(17.1%)에서 7개의 기형이 동반되었다. 11. 전례에서 Fredet-Ramstedt씨 유문근절개술을 시행하였다. 12. 술후 합병증으로 창상간염이 2례에서 나타났으며, 총 35례 중 8례(22.9%)에서 간헐적인 구토증을 호소하였으나 경구투여의 조절로 대부분이 1주이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 PDF

영아 비후성 유문 협착증의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 허영수;임명국;김규락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1호
    • /
    • pp.39-47
    • /
    • 1998
  • 1990년 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최근 만 7년 7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에서 영아 비후성 유문협착증으로 수술받은 환아 64명을 대상으로 임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별 발생 빈도는 남아 56례, 여아 8례로 남아에서 7배 호발하였으며, 내원시 연령은 생후 2주에서 8주 사이가 81%가 가장 많았다. 입원시 체중 백분위수은 전례에서 50백분위수 미만이었고, 총 64례 중 미숙아 3례(4.7 %), 저체중아 2례(7.8 %) 이었으며, 형제 중 발생순위는초산아가 37례(57.8 %)로 가장 많았으며 모유를 수유한 경우가 31례(48.4%), 우유를 수유한 경우가 18례(28.1 %)로 모유를 수유한 경우에서 많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증상발현시기는 생후 2주에서 4주 사이가 23례(35.9 %)로 가장 많았다. 임상증상으로는 무담즙성 분출성구토가 가장 중요한 증상으로 64례 전 예에서 나타났고 이학적 소견상 초진시 19례(29.7 %)에서 우상복부 종괴가 촉지되었고 16례(25.0 %)에서 가시성 위 유동파가 있었으며 5례(7.8 %)에서 황달을 볼 수 있었으며 혈중전해질의 변화는 저 염소혈증 26례(40.6%), 저칼륨혈증 14례(21.9 %)에서 관찰되었다. 타 병원에서 상부위장관조영술 시행후 전원되었던 4례를 제외한 나머지 60례에서 시행한 복부초음파상 종괴크거의 평균치는 유문근두께 6.3 mm, 유문직경 12.3 mm, 유문관길이 17.8 mm로 측정되었으며, IHPS의 가장 중요한 초음파상 진단적 척도의 기준인 유문근두께가 4mm이상인 경우는 47례(78.3 %), 5 mm 이상인 경우는 41례(68.3 %)로 관찰되었다. 동반기형은 총64례 중 12례(18.8 %)에서 13개의 기형이 관찰되었다. 전례에서 Fredet-Ramstedt씨 유문근절개술을 시행하였고 술후 합병증으로 창상감염이 3례에서 나타났으며, 총 64례 중 13례 (20.3 %)에서 간헐적인 구토증을 호소하였으나 경구투여의 조절로 대부분이 1주이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 PDF

족 관절 구 증후군에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Management for the Treatment of Ankle Gutter Syndrome)

  • 최종혁;박진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4-60
    • /
    • 2000
  • 목적 : 족 관절의 내외측 구에 병변을 갖는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의 양상 및 관절경 치료 후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366례의 족 관절경을 시행한 환자 중 족 관절 구에 병변을 갖고 있었던 76례(77 족관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족 관절 구의 병변은 비후성 반흔 조직, 유리체 및 골극으로 분류되었다. 병변은 관절경적 제거술이 가능하였으며, 이중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2명을 대상으로 치료의 결과를 판정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44개월(2.9년-8.5년)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저자 등에 의한 방법으로 주관적 및 기능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각각의 지표에 대한 결과는 Wilcoxon rank sum method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전체 족 관절경 중 족 관절 구에서 병변이 발견된 빈도는 $21\%$였다. 비후성 반흔 조직의 병변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31례$(40\%)$에서 족 관절의 병변은 구에만 국한되어 있었으나, 46례$(60\%)$에서는 구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도 병변이 동반되었다. 관절경적 치료후 통증, 부종, 강직, 파행 및 활동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호전을 보였다(p<0.001). 17례$(33\%)$는 고강도의 운동이 가능하였으며, 기능적으로도 이상이 없었다. 결론 : 족 관절 구는 만성 족 관절 통증에서 병변이 위치하는 중요한 부위로서, 족 관절경시 족 관절 구의 검사가 필수적이다 족 관절 구 증후군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는 병변의 제거에 매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