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text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넷을 이용한 하이퍼텍스트 기반 서지정보검색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pertext-based Bibli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Internet)

  • 박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1-192
    • /
    • 1995
  • 본 연구는 하이퍼텍스트에 기반을 둔 서지정보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여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이 구조화된 서지데이터의 브라우징 및 검색에 유용함을 보여주었고, 키워드검색기법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방향상실문제를 보완하였다. 또한 WWW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본 시스템의 장점 및 잠재력을 제시하였다.

  • PDF

전통 인쇄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독해력 비교 (The Contrast between Traditional Printed Text and Hypertext Reading Comprehension)

  • 홍성룡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37-542
    • /
    • 2009
  • 인쇄텍스트의 여러 제약들이 혁신적인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해결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이퍼텍스트는 온라인에서 발견되어 지는 전자 텍스트로서 비선형적 방법으로 정의되어 질수 있다. 전통적인 인쇄텍스트와는 대조적으로 전자방식의 쓰기는 약간의 변형이 필요한 새로운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아직도 많은 연구들이 지식의 축적을 위한 목적으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문서들을 해독할 때 독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해 지금까지 여러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독해를 위한 항법과 그 대책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는 것 같다. 본 논문은 독해력을 위한 전통 인쇄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간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실험 대상자들이 하이퍼텍스트와 인쇄텍스트를 해독할 때 가지는 경험을 근거하여 볼 때 텍스트의 형태는 독자의 독해력 기억에 매우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 PDF

게임의 가상문화생산 - '머시니마'를 중심으로 (Virtual Culture Production of Game-Focus on 'Machinima')

  • 한세영;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3-103
    • /
    • 2010
  • 1990년대 이후 온라인 게임의 활성화와 함께 게임산업이 크게 성장하였고, 상업적 목적으로 인해 컴퓨터 게임의 소비적인 측면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게임의 엔진으로 만들어지는 영상인 '머시니마(Machinima)'의 활성화로 하여금 가상문화를 생산하는 역할을 드러내고 있다. 이렇게 게임이 가상공간의 환경과 밀접해짐에 따라 나타나는 비선형적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하이퍼텍스트 공간에서 비선형구조화 되는 게임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을 연구한다. 둘째,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확장으로서 '머시니마'를 논의한다. 셋째, 소비의 측면으로 여겨졌던 게임이 머시니마의 출현과 함께 문화생산의 주체로 역할을 드러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비의 이분법적, 위계적 구조를 불식시키는 하이퍼텍스트 공간의 비선형 현상과 함께, 게임이 가상현실을 멀티미디어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긍정적인 측면을 제기하고자 한다.

Ashbery's Aesthetics of Difficulty: Information Theory and Hypertext

  • Ryoo, Gi Taek
    • 영어영문학
    • /
    • 제58권6호
    • /
    • pp.1001-1021
    • /
    • 2012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John Ashbery's poetics of difficulty, questioning in particular the nature of communication in his difficult poems. Ashbery has an idea of poetry a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reader. Meaning, however, is to be created by a series of selections among equally probable choices. Ashbery's poetry has been characterized by resistance to the interpretive system of meaning. But the resistance itself, as I will argue, can be an effective medium of communication as the communicated message is not simply transmitted but 'selected' and thus created by the reader. In Ashbery's poetry, disruptive 'noise' elements can be processed as constructive information. What is normally considered a hindrance or noise can be reversed and added to the information. In Ashbery's poems, random ambiguities or noises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into the final structure of meaning. Such a stochastic sense of information transfer has been embodied in Ashbery's idea of creating a network of verbal elements in his poetry, analogous to the interconnecting web of hypertext, the most dynamic medium 'information technology' has brought to us. John Ashbery, whose poems are simultaneously incomprehensible and intelligent, employs ambiguities or noise in his poetry, with an attempt to reach through linear language to express nonlinear realities. It is therefore my intention to examine Ashbery's poetics of difficulty, from a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transmission, using the theor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principles of hypertext theory. Ashbery's poetry raises precisely the problem confronted in the era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paper will also show how his aesthetics of difficulty reflects the culture of our uncertain times with overflowing information. With his difficult enigmatic poems, Ashbery was able to move ahead of the technological advances of his time to propose a new way of perceiving the world and life.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온라인 시소러스의 선형배열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Hypertext-Based Linear Displays for an Online Thesaurus)

  • 최재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09-12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ISO와 ANSI/NISO의 시소러스 작성지침을 참고하여 문헌정보학분야 시소러스를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선형배열로 웹 상에 설계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온라인 시소러스가 정보를 저장하고 탐색하는 사람들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주제접근의 도구가 되며, 인쇄형 시소러스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이용자의 시소러스 탐색유형을 연구하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문헌정보학 분야 시소러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MS ACCESS 97에 저장하였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웹과의 연동을 위해서 Windows NT운영체재 하에서 ASP(Active Server Pages)기술을 적용하였다.

  • PDF

리좀과 하이퍼텍스트 관점에서 본 도서관 공간구조의 이해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Spatial Structure in Libr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Rhizome and Hypertext)

  • 최윤경;김민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11-119
    • /
    • 2006
  • The spatial property of contemporary library is now rapidly changing through the spatial expan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reduction of information storing facility, the variation of approaching methods by digital shift and the transition of social recognition as a cultural facility. Als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referring characters have developed such as, decentralization, de-construction, de-boundary, individual space, erasing of boundary, flow of space which extends infinitely. The main process of library origination,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the storage system concluding with the demand and value of the information by changing social demands and the role of the widest ranged facility. And 5 themes, such as, hierarchy, center, storage, boundary, and symbol, as a changed spatial concept and analyzed in the case of library plans and libraries which are actually built. The significan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at rhizomatous intellectuality and hypertext could be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could be a viewpoint of the transition of spatial structure in libraries. A future library should have spatial property embracing various social changes and needs and for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and analyze through the architectural explication from diverging points of view.

BioCC: An Openfree Hypertext Bio Community Cluster for Biology

  • Gong Sung-Sam;Kim Tae-Hyung;Oh Jung-Su;Kwon Je-Keun;Cho Su-An;Bolser Dan;Bhak J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4권3호
    • /
    • pp.125-128
    • /
    • 2006
  • We present an openfree hypertext (also known as wiki) web cluster called BioCC. BioCC is a novel wiki farm that lets researchers create hundreds of biological web sites. The web sites form an organic information network. The contents of all the sites on the BioCC wiki farm are modifiable by anonymous as well as registered users. This enables biologist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form their own Internet bio-communities. Each community can have custom-made layouts for information, discussion, and knowledge exchange. BioCC aims to form an ever-expanding network of openfree biological knowledge databases used and maintained by biological experts, students, and general users. The philosophy behind BioCC is that the formation of biological knowledge is best achieved by open-minded individuals freely exchanging information. In the near future, the amount of genomic information will have flooded society. BioGG can be an effective and quickly updated knowledge database system. BioCC uses an opensource wiki system called Mediawiki. However, for easier editing, a modified version of Mediawiki, called Biowiki, has been applied. Unlike Mediawiki, Biowiki uses a 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text editor. BioCC is under a share-alike license called BioLicense (http://biolicense.org). The BioCC top level site is found at http://bio.cc/

디지털 도서관(圖書館)과 정보관리 (Digital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김순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1호
    • /
    • pp.16-51
    • /
    • 1995
  • 정보관리 분야에서는 컴퓨터와 정보 네트워크의 발달, 그리고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과 같은 환경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정보의 중요성과 새로운 정보기술의 발달, 정보이용자들의 주변환경 변화를 인식하게 됨에 따라 디지털 도서관(digital library)을 구상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새롭게 등장한 디지털 도서관의 개념과 기능을 알아보고, CD-ROM, OCR 기법과 이미지 스캐닝, hypertext, hypermedia, multimedia와 같은 정보기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정보관리 분야에서 새로운 전자정보 서비스를 위한 전략과 정보의 디지털 화를 위한 응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