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sensitivity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41초

15% 과산화수소 함유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평가 (Clinical assessment of whitening efficacy and safety of in-office tooth whitening system containing 15% hydrogen peroxide with or without light activation)

  • 노영석;노영지;유연지;이향옥;임상민;권현정;김예은;박성연;윤희영;이정현;이찬희;오소람;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4호
    • /
    • pp.306-312
    • /
    • 2011
  • 연구목적: 본 임상 연구의 목적은 15%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와 안전성에 관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3명의 지원자를 광조사를 하는 실험군(n = 17)과 광조사를 하지 않는 대조군(n = 16)으로 무작위로 나누고 Zoom2 미백제(15% $H_2O_2$, Discus Dental)로 총 45분간 치료하였다.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와 Shadepilot (DeguDent)을 이용해 스크리닝 검사 시, 미백직후, 미백 종료 1달 및 3달 후 색조측정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와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Zoom2 미백제는 미백 전후를 비교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뚜렷한 색조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두 군 사이의 색조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또한 미백 종료 3달 후에도 치아의 색조 회귀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후 일시적인 지각과민증은 전체 환자의 39.4%에서 보고되었지만,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 0.05). 결론: 광조사로 인해 부가적인 미백효과의 증가는 물론 어떠한 부작용 증가도 관찰되지 않았다.

파종기 이동이 맥류의 실용적 저형질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Several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Seeding Dates)

  • 서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8-303
    • /
    • 1981
  • 본 시험은 맥류의 파종기를 이동함에 따르는 실용적 제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1975년에 일본에서 수행한 것으로 홍성품종온 출수기를 달리하는 대맥 13개 품종이며 파종은 9회에 걸쳐 실시하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맥류 파종기 이동에 따른 출현기 및 1차분얼기는 파종기가 늦음에 따라 그 기간이 길고 품종간에는 조열성이 만숙성보다 빠른 경향이었다. 2. 유수의 형성은 조파일수륵 빨랐고 조열성 품종이 중만열성. 품종보다 현저히 빨랐다. 3.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출수기도 지연되었으나 품종간 순위의 변동이 없이 출수까지의 기간은 직선으로 단축되어 조파에 비하여 만파에서 그 기간이 짧았으며 품종간에 큰 차가 없었다. 4. 파종기 지연에 따라 성숙기도 지연되었으나 성숙까지의 기간은 직선으로 단축되어 조파에서보다 만파에서 그 기간이 짧았으며 품종간에 차를 보여 조숙성이 만숙성보다 단축일수가 빨랐다. 5. 파종기 이동에 따른 출수시부터 출수완요까지의 기간을 조파가 만파보다 긴 경향이고 품종간에 차를 보여 조파성이 중만숙성보다 길었다. 6.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간장의 감소가 현저하였는데 그 경향은 조숙성보다 만숙성 품종에서 크며 수장도 감소는 되었으나 그 정도가 완만하였다. 7. 파종기 이동에 따른 수수는 조파에 비하여 만파에서 적으며 그 경향은 조숙성보다 만숙성 품종이 현저하게 적었다. 8. 파종기 이동에 따른 종실중은 공시 전품종이 11월21일 전후에 파종한 것이 가장 많고 이보다 조파 또는 만파한 것은 감수되어 파종류 폭이 넓은 품종은 없었으며 조숙성 품종이 다수성이었고 수수가 많은 것이 수량성이 높았다. 수 있는 제초제와 번갈아 사용하거나 혼합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초기초장의 생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수분흡수와 삼투압간의 상관계수는 고도의 정의 유의성을 보였다(r=.98). Bonus나 Wayne에 비해 Pickett과 Essex는 높은삼투압을 보였으며, 이것은 수분흡수 시험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건조상태에서 발아능력을 추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되리라 생각한다. 약관씩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blast nursery 성적과는 반응이 비슷하였다. 6. 정도 저항성 및 이병성으로 나타난 ‘Kanto 51’, ‘Yashiromochi’, ‘Ishikari-shiroke’ 등의 품종들에서는 접확후 병반형 및 병반수의 변이가 매우 심하였다. 급성형(이병성, PG형) 병반을 많이 형성하는 품종들(‘애지욱’, ‘Caloro’, ‘Norin 6’ 등)은 고도의 이병성이었고 저항성 품종들은 대개 병반이 없거나 저항성 병반(hypersensitivity 반응, b 혹은 bg 형)을 나타내었다.. 발뢰까지는 수확기를 지연시킬 수록 건엽수량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발뢰 이후에는 수확기를 지연시켜도 수량 차이는 인정되지 않는다. Stevioside 함량은 발뢰기에 가장 높았고 이보다 빠르거나 늦게 수확할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엽수량과 Stevioside 함량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발뢰시부터 개화전까지이고 수원 지방에서는 9월 10일~9월 15일경이었다. 11. 영양계의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범위는 각각 5.4~l4.

  • PDF

심초음파의 조영제의 임상적 유용성: 개에서 좌심영상화에 대한 조영제 용량의 영향 (Clinical Usefulness of Contrast Echocardiography: The Dose Effect for Left Ventricle Visualization in Dogs)

  • 신창호;황태성;윤영민;정동인;연성찬;이희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6-490
    • /
    • 2015
  • 이차원 초음파는 심장 기능의 평가에 있어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좌심실 내강의 영상화가 필수적이다. SonoVue$^{TM}$는 육불화황 가스로 안정화된 새로 나온 조영제이다. 현재 이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개에서 진단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용량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SonoVue$^{TM}$ 조영제를 이용하여 좌심실 내강의 영상화에 있어 효율적인 용량을 찾는데 있다. 열 마리의 건강한 비글 성견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영제의 용량을 각 0.03 ml/kg, 0.05 ml/kg 그리고 0.1 ml/kg 으로 사용하여 각 용량에서의 좌심실 내강의 영상화 되는 시간을 비교하였다. 내강이 영상화되는 시간의 측정은 segmental score를 이용하였다. Segmental score법은 좌심실 내강을 6개의 가상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이 영상화되는 것을 수치화 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할 수있는 segmental score가 5이상일 때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재연성의 평가를 위해 3명의 관찰자가 실험에 동참하였다. 측정치의 통계분석은 SPSS 14.0버전에서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Scheffe 다중 비교를 이용하였다. 각 용량에서(0.03 ml/kg, 0.05 ml/kg, 0.1 ml/kg) 좌심실이 영상화 되는 평균 시간은 3.54초, 6.15초, 24.39초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각 용량별 2.14124, 2.61205, 11.09802로 나타났다. 실험에 참여한 모든 동물에서 과민 반응, 심마진, 혈관 부종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소노뷰 조영제를 이용하여 좌심실 내강의 영상화시 가장 효율적인 조영제의 용량은 단위체중당 0.1 ml/kg이며, 이 용량에서 재연성 역시 가장 높았다.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 있어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와 Cytokine의 변화 (Tuberculin Skin Test and Change of Cytokines in Patients with Allergic Asthma)

  • 윤형규;신윤;이상학;이숙영;김석찬;안중현;김관형;문화식;박성학;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1999
  • 연구배경: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폐색과 기관지의 과민성을 동반하는 기도의 만성적인 호산구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기도의 염증발현에 관여하는 세포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Th 림프구는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Th 림프구는 cytokine의 분비양상에 따라 Th1 림프구와 Th2 림프구로 나뉘어지며 Th1 림프구는 지연형 과민반응과 결핵균이나 바이러스 감염등에 대한 방어작용 그리고 종양에 대한 숙주반응에 관여하고 Th2 림프구는 즉시형 과민반응과 알레르기성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 그리고 기생충 감염등에 대한 방어작용에 관여한다. Th1 림프구와 Th2 림프구는 서로 길항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대표적인 Th1 림프구 매개 질환인 결핵과 Th2 림프구 매개질환인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은 서로의 발생을 억제할 것으로 추정되며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환자에서는 Th2 림프구의 기능이 항진되어 Th1 림프구의 기능이 억제되고 반대로 Th1 림프구의 기능이 정상인 집단에서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 비해 Th2 림프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 법: 정상 대조군과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 그리고 내인성 천식환자군에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양상을 실시하여 지연형 과민반응의 양상을 관찰하고 혈청 IgE의 농도와 말초혈액 호산구 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Th1 림프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cytokine인 IFN-$\gamma$와 IL-12, Th2 림프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IL-4, IL-5, IL-10의 혈청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양성율은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이 내인성 천식환자군에 비해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에 대한 양성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투베르쿨린 피부반응의 정도는 내인성 천식환자군에 비하여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IL-4와 IL-10은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증가되어 있었고 IL-5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0.01). IL-12와 IFN-$\gamma$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과 내인성 천식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5). 알레르기성 천식환자군에서 말초 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IgE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 있었다(p<0.05). 알레르기성 천식환자에서 말초혈액 호산구 수는 혈청 IgE(r=0.737, p=0.003), IL-5(r=0.352, p=0.038), IL-10(r=0.827, p=0.001)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증가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Th2 cytokine인 IL-5와 IL-10의 혈청 농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고(r=0.340, p=0.046), IL-12와 IFN-$\gamma$ 혈청 농도도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r=0.593, p=0.001). 결 론: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환자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Th1 림프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었고 Th2 림프구의 기능은 항진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Th2 림프구의 기능 항진은 말초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IgE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Th2 림프구 기능 항진이 알레르기성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두 종류의 CAD/CAM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도재 축성 전후의 변연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fit before and after porcelain build-up of two kinds of CAD/CAM zirconia all-ceramic restorations)

  • 신호식;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28-534
    • /
    • 2008
  • 연구목적: 변연적합도는 보철수복물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McLean과 von Fraunhofer등에 의하면 120 ${\mu}m$ 이하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넘는 정확하지 않은 변연은 지각과민을 일으키거나 이차 우식을 일으키고, 치태 축적을 용이하게 하여 보철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D-CAM 전부도재 수복물 중 $LAVA^{(R)}$ 시스템 (3M ESPE, St. Paul, MN)과 $EVEREST^{(R)}$ 시스템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전부 도재관들이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과 비교해 보아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축성 후 각각 변연적합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상악 제1소구치 덴티폼 치아를 high speed diamond bur 로 교합면 2.0 mm, 순설면 1.0 mm, 그리고 변연은 chamfer margin을 6도 측면 경사 절삭 기계로 균일하게 제작해서 이를 인상 채득하여 금속 지대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덴티폼 모형상에 장착한 후 전악인상을 채득하여 $LAVA^{(R)}$ 수복물 코핑, $EVEREST^{(R)}$ 수복물 코핑, 그리고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 코핑을 각각 8개씩 제작하였다. 이들 코핑을 염색제를 섞은 Fit-checker $II^{(R)}$ (GC Cor.,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금속 지대치에 접합시킨 뒤, $Microhiscope^{(R)}$ system (HIROX KH-1000 ING Plus,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00배율로 관찰하면서 변연 간격을 ${\mu}m$단위로 측정하였다. 도재축성 후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모든 수복물의 변연간격을 측정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결과: 코핑 상태에서의 평균 변연간격 값은 $EVEREST^{(R)}$ 에서 $52.00{\pm}11.94\;{\mu}m$, $LAVA^{(R)}$$ 56.97{\pm}10.00\;{\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97.38{\pm}18.54\;{\mu}m$를 보였고, 도재축성 후에 평균 변연 간격값은 $EVEREST^{(R)}$$61.69{\pm}19.33\;{\mu}m$, $LAVA^{(R)}$$70.81{\pm}12.99\;{\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115.25{\pm}23.86\;{\mu}m$를 보였다. 결론: 1. $LAVA^{(R)}$$EVEREST^{(R)}$ 수복물은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과 비교하여 각각 코핑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 모두 유의성 있는 (P < .05) 차이를 보이는 우수한 변연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2. $LAVA^{(R)}$$EVEREST^{(R)}$ 수복물 간의 평균 변연 간격 비교에서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에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P > .05). 3. $LAVA^{(R)}$$EVEREST^{(R)}$ 그리고 PFM 은 각각 코어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도재 축성 후 변연 간격에서 약간 증가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 > .05).

Newcastle병(病) 바이러스감염(感染)에 의(依)한 면역반응억제(免疫反應抑制) (Depression of Immune Response by Newcastle Disease Virus Infection)

  • 김환종;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9-87
    • /
    • 1979
  • Newcastle병(病) 바이러스(L-NDV)가 ICR 마우스의 세포성(細胞性), 체액성(體液性)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2-NDV($10^6$EID/mouse)를 SRBC($10^6$EID_{50}/mouse)로 면역(免疫)하기 전후(前後) 또는 동시(同時)에 미정맥내(尾靜脈內)로 감염(感染)시키고 면역(免疫) 4일(日)에 SRBC($10^8$세포/mouse)를 challenge하여 24시간후(時間後)에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을 검사(檢査)하였으며, 동시(同時)에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능(形成能), 말초순환(末梢循環) 혈액내(血液內)의 임파구(淋巴球)의 수(數), 그리고 SRBC에 대(對)한 응집항체가(凝集抗體價) 및 용혈항체가(溶血抗體價)를 측정(測定)하였다. 한편 NDV 감염(感染)으로 인(因)한 면역반응(免疫反應) 억제기전(抑制機轉)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L-NDV를 가온(加溫) 불활화(不活化)하거나(H-NDV), 자외선(紫外線)에 조사(照射)시켜(UV-NDV) 마우스에 투여(投與)하거나, L-NDV로 유도(誘導)한 마우스조제(粗製) interferon(C-IF)을 투여(投與)하여 발현(發現)되는 반응(反應)을 측정(測定), 비교(比較)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을 SRBC로 면역전(免疫前) 오는 면역후(免疫後)에 L-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 모두 억제(抑制)되었으며 그 억제정도(抑制程度)는 바이러스 감염(感染)과 항원주사(抗原注射)와의 간격(間隔)이 길면 길수록 심(甚)하였다. 그러나 UV-NDV나 H-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의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은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대체적(大體的)으로 경미(輕微)하거나 전혀 억제(抑制)가 인지(認知)되지 않았다. 한편 C-IF나 C-IF를 가온불활화(加溫不活化)한 C-IFh를 투여(投與)한 군(群)에서의 족척종창(足蹠腫脹)은 정도(程度)의 차이(差異)는 있으나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율(形成率)은 바이러스 감염(感染)으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는데 그 감소(減少)의 정도(程度)는 면역전(免役前) 또는 면역(免疫)과 동시(同時)에 바이러스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 면역후(免疫後) 바이러스를 감염(感染)시킨 군(群)보다 심(甚)하였다. 한편 UV-NDV나 H-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률(形成率)은 L-NDV 접종군(接種群)에 비(比)하여 약간(若干) 경미(輕微)한 감소(減少)를 보이거나 또는 비슷한 양상(樣相)을 보여 대조군(對照群)보다는 현저(顯著)히 억제(抑制)된 결과(結果)를 보였다. 또한 마우스에 C-IF를 투여(投與)하면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률(形成率)은 억제(抑制)되었으나 C-IFh를 투여(投與)하면 오히려 로젤형성률(形成率)이 증가(增加)되었다.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은 면역전(免疫前) 24 및 48시간(時間)에 L-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는 현저(顯著)히 억제(抑制)되었으나, 면역전(免疫前) 9시간(時間), 면역(免疫)과 동시(同時) 또는 면역후(免疫後)에 L-NDV를 접종(接種)한 대조군(對照群)과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순환혈액내(循環血液內) 임파구수(淋巴球數)는 면역전(免疫前) 48 또는 24시간(時間)에 L-NDV를 접종(接種)하면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나, 면역전(免疫前) 9시간(時間) 또는 면역(免疫)과 동시(同時)에 L-NDV를 접종(接種)하면 오히려 그 수(數)가 증가(增加)되었다. 이상(以上)의 실험결과(實驗結果) SRBC에 대(對)한 세포성(細胞性) 면역반응(免疫反應)의 억제(抑制)는 NDV가 afferent limb과 efferent limb를 모두 억제(抑制)하여 야기(惹起)되는 체액성(體液性) 면역반응(免疫反應)의 억제(抑制)는 NDV가 afferent limb만을 억제(抑制)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NDV 감염(感染)으로 인(因)한 면역반응억제(免疫反應抑制)는 interferon과 바이러스의 직접적(直接的)인 작용(作用)에 기인(基因)됨을 강력(强力)히 시사(示唆)한다.

  • PDF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의 폐포대식세포의 chemokine(MIP-1, IL-8) 분비능에 관한 연구 (Chemokine Secretion From Alveolar Macrophages in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DILD))

  • 김동순;백상훈;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54-964
    • /
    • 1996
  • 배경: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DILD)들은 처음에 폐포염(alveolitis) 으로 시작해 섬유화로 진행하여 심한 폐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질병군들로서 병의 종류에 따라 침윤되는 염증세포들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근래에 염증세포들의 침윤을 유도하는 화학주유물질들(chemokine)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화학구조에 따라 C-X-C형과 C-C형으로 분류되며, 구조만 다를 뿐 아니라 작용하는 세포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로 분비되는 화학주유물질의 종류에 따라 폐포염의 종류가 결정이될 가능성이 많다. 이에 연구자들은 폐포염과 화학주유물질과의 연관성 및 폐포대식세포 (AM)가 이들 화학주유물질의 주 근원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DILD 환자들에서 cytokine을 분비하여 발병기 전에 주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AM 에서의 C-X-C 형 IL-8 과 C-C 형인 MIP- 1 ${\alpha}$ 의 분비 및 BAL액내에서의 이들 화학주유물질들의 농도를 폐포염의 양상을 잘 반영한다고 알려진 BAL 액내 세포양상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및 방법: 대상은 임상소견과 조직검사로 확진된 lPF 환자 10명, 교원성질환과 연관된 폐섬유증 환자 4명, 폐유육종중 10명과 과민성폐장염 환자 2명, 총 26명과 정상 대조군 7명이었고, 이들에서 BAL을 시행하여 그 세포구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AM을 분리배양하여 그 상청액및 BAL액에서 의 IL-8과 MIP- 1 ${\alpha}$ 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M 에서의 IL-8 분비는 DILD 환자들에서 $8.15{\pm}4.58$ ng/ml로 정상 대조군 ($1.10{\pm}0.93$ ng/ml)보다 유의하게 (p=0.0003) 증가하였고, AM에서 분비된 IL-8 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484, p=0.0068), 또 BAL액내 dla파구의 백분률 (r=0.592, p=0.0004)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AM의 백분플 (r=-0.505, 0.0032)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AM에서의 MIP- 1 ${\alpha}$ 분비는 DILD환자군에서 ($2.41{\pm}1.45$ ng/ml) 정상인보다 ($0.63{\pm}0.30$ ng/ml, p=0.0031)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MIP- 1 ${\alpha}$ 의 분비량은 BAL액내 총세포수와 r=0.368, p=0.0456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AM의 수효와 연관이 있는 경향을 (r=0.356, p=0.0579) 보어 주었을 뿐이었다. BAL 액내의 IL-8 농도는 DILD 환자군에서 ($40.4{\pm}34.5$ pg/ml)로 정상인의 $3.90{\pm}2.47$ pg/ml보다 높았고 (p=0.0094), IL-8 농도와 BAL 액내 총 세포수(r=0.484, p=0.0068), AM의 백분율(r=-0.505, p=0.0032), 임파구의 백분율 (r=0.592, p=0.0004) 및 임파구의 수효 (r=0.516, p=0.0042) 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IL-8 이 폐내 침윤된 염증세포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BAL액내 MIP- 1 ${\alpha}$ 의 농도는 정상인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IL-8과 MIP- 1 ${\alpha}$ 모두가 DILD의 발병기전에 작용하나, IL-8 이 폐포염의 양상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역한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간질성 폐질환환자들의 기관지 폐포세척액내 폐포 대식세포와 임파구의 접착분자 발현 및 Soluble ICAM-1 농도에 관한 연구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on Alveolar Macrophages and Lymphocytes and Soluble ICAM-1 Level in Serum and Bronchoalveolar Lavge(BAL) Fluid of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DILD))

  • 김동순;최강현;염호기;박명재;임채만;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569-583
    • /
    • 1995
  • 연구배경: 간질성 폐질환은 여러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폐포염 및 폐간질내 염증으로 시작해 종국에는 폐섬유증으로 진행되는 질환들로 염증세포들의 이동에 필요한 접착분자들이 이들 질환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는 뚜렷이 적당한 지표가 없었던 질환의 활동성을 판정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BAL내 AM에서 면역염색법으로 측정한 결과들로 방법 자체가 음성과 양성세포를 감별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발현도 증가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발표된 결과들이 차이가 많다. 저자들은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BAL)내 AM과 임파구에서의 ${\beta}_2$-integrin(CD18)과 ICAM-1의 발현도를 FACS를 이용한 relative median fluorescence intenity(RMFI)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고, 또한 혈청 및 BAL액내 가용정 ICAM-1(sICAM-1) 농도를 측정하고, BAL액내 다른 지표들과 비교하여 이들을 간질성 폐질환의 활성도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가능성을 알아 보았다. 방법: 대상은 조직학적으로 확인 된 미만성 간질성 폐섬유증(IPF) 환자 11명, 교원성 폐질환과 연관된 폐섬유증환자(CVD-PF) 6명, 폐유육종증 9명, 과민성 폐장염환자 2명과 대조군으후 건강한 정상인 9명이었고 BAL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ICAM-1 및 CD18은 단일항체를 사용하여 FACScan으로 median fluorescence intenity를 측정하여 RMFI를 구하고, sICAM-1농도는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AM에서 ICAM-1의 발현도는 $3.30{\pm}1.16$으로 대조군($0.93{\pm}0.18$)보다 증가되었고 임파구의 ICAM-1 발현도 $5.39{\pm}2.70$으로 대조군($1.06{\pm}0.21$)보다 높았다. CD18의 발현도는 임파구에서 $24.9{\pm}14.9$로 대조군($4.69{\pm}3.77$) 보다 향진되었으며, 이들 ICAM-1의 발현도는 AM 백분률과 역상관관계륜 보였고(r=-0.66, p=0.0001) 임파구의 백분율과는 정상관관계를 보였다(r=0.447, p=0.0116). 임파구가 증가되는 유육종증, 교원성질환, 과민성폐렴에서는 임파구의 ICAM-1 발현도와 BAL액내 임파구의 %(r=0.747, p=0.0006) 및 임파구농도(r=0.832, p=0.0002)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파구의 IL-2수용체발현과도 연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539, p=0.0075). 또한 유육종증에서는 혈중 ACE 농도와 임파구의 ICAM-1 발현도가(r=0.905, p=0.0132)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이들 접착분자 발현도가 병소의 활동성과 연관이 있음을 시사 하였다. 혈청내 sICAM-1농도는 환자군에서 $499.7{\pm}222.2\;ng/ml$로 대조군의 $199.0{\pm}38.9\;ng/ml$보다 높았으며(p=0.0097), BAL액내 sICAM-1농도도 환자군에서 $41.8{\pm}23.0\;ng/ml$로 대조군의 $20.1{\pm}13.6\;ng/ml$보다 증가를 보였다. 또한 혈청내 sICAM-1 농도는 AM의 ICAM-1 발현도 및 (r=0.554, p=0.0259) BAL액내 sICAM-1농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혈청 및 BAL액내의 albumin과 sICAM-1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BAL액내의 sICAM-1 농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미루어 대부분의 sICAM-1은 병소내에서 생성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결론: 간질성폐질환환자들의 AM및 BAL-임파구에서 접착분자들의 발현도가 증가되었고, 혈청 및 BAL액내 sICAM-1 농도가 상승되어 있어 이들 접착분자들이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이 활동성 판정의 지표로 사용할 기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마우스에 있어서 멱역활성이 돼지회충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unoactivity on Ascaris suum Infection in Mice)

  • 이재구;박배근;서영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3호
    • /
    • pp.279-292
    • /
    • 1991
  • 마우스에의 돼지회충(Ascaris strum) 또는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감염이 sRBC에 대한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다음 전처치로서 선모충을 감염시키거나 또는 cyclophosphamide를 투여하고 나서 돼지회충란을 경구투여하여 그 감염상태와 소장점막내 비만세포와의 관련성 그 리고 비특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능을 함께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1,000개의 돼지회충란을 경구투여한 바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각각 5주, 6주에 최저치에 이른 다음 점점 상승하여 10주에 원상으로 복귀하였으며, 적현구 응집소가 및 용현소가는 점점 상승하여 3주에 최고치에 이른 다음 그 후 정상으로 복귀하였으며, 말초힐액내 호산구 및 소장접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각각 4주 및 2주에 최고치를 보였다. 한편, 유충은 1주후에 폐와 간으로부터 총 21.97%가 누수되었다. 마우스에 300마리의 선모충의 감염유충을 경구투여한 바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시일이 경과 됨에 따라 점점 낮아져 각각 30일 및 21일에 전저치에 이른 다음 그 후부터 다소 높아지다가 70일 및 80일에 다시 일시적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적현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도 각각 21일 및 90일 에 다른 기보다 낮았으나, 말초혈액내 호산구 및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각각 40일째 및 14 일째에 다른 기보다 높았다. Cyclophosphamide를 400 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의 복륙 내에 투여한 바 체중이나 비장의 중량, 지연형 과민반응, 로제트 형성능,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 백현구 총수,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투여 후 1일에 비하여 5일에 현저하게 저하되었다가 10일에 다 시 증가하여 1일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복귀하였다. 말포혈액내 호산구 출현율은 시일이 경과함 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마우스의 복강 내에 cyclophosphamide를 투여한 다음 1일, 5일, 10일에 각각 1,000개의 감염성 돼지회충란을 투여하고 난 후 7일의 유충각수률은 1일 7.07%, 5일 14.94%, 10일 10.1%이었으며 대조군은 8.02%이었다 유모충을 마우스에 감작감염시키고 나서 각각 30일 및 70일 간격을 두고 감염성 돼지회충란을 도전감염시킨 바 참작감염후 37일과 도전감염후 7일의 시점에 있어서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은 고도로 저하하였는데 반하여 소장점막내 비만세포 출현율은 고도로, 말초혈액내 호산구출현율, 적혈구 응집소가 및 용혈소가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유충은 대조가 22.18% 회수되었는데 비하여 9.3%밖에 회수되지 않았다. 한편, 감작감염후 77일과 도전감염후 7일의 시점에 있어서 sRBC에 대한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은 전자의 양상과 비슷하였는데 대조에 비하여 지연형 과민반응과 로제트 형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유충회수율은 대조가 10.5% 이었는데 비하여 8.3%이었다.

  • PDF

臨證指南醫案에 나타난 피부외과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Study of Dermatosurgical Diseases in the ImJeungJiNamUiAn)

  • 조재훈;채병윤;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1-288
    • /
    • 2002
  • Authors investigated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ennatosurgical diseases in the ImJeungJiNamUiAn(臨證指南醫案). 1. The symptoms and diseases of dermatosurgery were as follows; 1) BanSaJinRa(반사진라) : eczema,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psoriasis, lichen planus, pityriasis rosea, hives, dermographism, angioedema, cholinergic urticaria, urticaria pigmentosa, acne, milium, syringoma, keratosis pilaris, discoid lupus erythematosus, hypersensitivity vasculitis, drug eruption, polymorphic light eruption, rheumatic fever,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Still's disease), acute febrile neutrophilic dermatosis(Sweet's syndrome), Paget's disease, folliculitis, viral exanthems, molluscum contagiosum, tinea, tinea versicolor, lymphoma, lymphadenitis, lymphangitis, granuloma annulare, cherry angioma 2) ChangYang(瘡瘍) : acute stage eczema, seborrheic dermatitis, stasis ulcer, intertrigo, xerosis, psoriasis, lichen planus, ichthyosis, pityriasis rosea, rosacea, acne, keratosis pilaris, dyshidrosis, dermatitis herpetiformis, herpes gestationis, bullae in diabetics, pemphigus, lupus erythematosus, fixed drug eruption, erythema multiforme, toxic epidermal necrolysis, toxic shock syndrome, staphylococcal scaled skin syndrome, scarlet fever, folliculitis, impetigo, pyoderma gangrenosum, tinea, candidiasis, scabies, herpes simplex, herpes zoster, chicken pox, Kawasaki syndrome, lipoma, goiter, thyroid nodule, thyroiditis, hyperthyroidism, thyroid cancer, benign breast disorder, breast carcinoma, hepatic abscess, appendicitis, hemorrhoid 3) Yeok(疫) : scarlet fever, chicken pox, measles, rubella, exanthem subitum, erythema infectiosum, Epstein-Barr virus infection, cytomegalovirus infection, hand-foot-mouth disease, Kawasaki disease 4) Han(汗) : hyperhidrosis 2.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ermatosurgery were as follows; 1) When the pathogenesis of BalSa(발사), BalJin(發疹), BalLa(발라) and HangJong(項腫) are wind-warm(風溫), exogenous cold with endogenous heat(外寒內熱), wind-damp(風濕), the treatment of evaporation(解表) with Menthae Herba(薄荷), Arctii Fructus(牛蒡子), Forsythiae Fructus(連翹) Mori Cortex(桑白皮),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貝母), Armeniaoae Amarum Semen(杏仁), Ephedrae Herba(麻黃), Cinnamomi Ramulus(桂枝), Curcumae Longae Rhizoma(薑黃), etc can be applied. 2) When the pathogenesis of BuYang(부양), ChangI(瘡痍) and ChangJilGaeSeon(瘡疾疥癬) are wind-heat(風熱), blood fever with wind transformation(血熱風動), wind-damp(風濕), the treatment of wind-dispelling(疏風) with Arctii Fructus(牛蒡子), Schizonepetae Herba(荊芥), Ledebouriellae Radix(防風), Dictamni Radicis Cortex(白鮮皮), Bombyx Batrytioatus(白??), etc can be applied. 3) When the pathogenesis of SaHuHaeSu(사후해수), SaJin(사진), BalJin(發疹), EunJin(은진) and BuYang(부양) are wind-heat(風熱), exogenous cold with endogenous heat(外寒內熱), exogenous warm pathogen with endogenous damp-heat(溫邪外感 濕熱內蘊), warm pathogen's penetration(溫邪內陷), insidious heat's penetration of pericardium(伏熱入包絡), the treatment of Ki-cooling(淸氣) with TongSeongHwan(通聖丸), Praeparatum(豆?), Phyllostachys Folium(竹葉), Mori Cortex(桑白皮), Tetrapanacis Medulla(通草), etc can be applied. 4) When the pathogenesis of JeokBan(적반), BalLa(발라), GuChang(久瘡), GyeolHaek(結核), DamHaek(痰核), Yeong(?), YuJu(流注), Breast Diseases(乳房疾患) and DoHan(盜汗) are stagnancy's injury of Ki and blood(鬱傷氣血), gallbladder fire with stomach damp(膽火胃濕), deficiency of Yin in stomach with Kwolum's check (胃陰虛 厥陰乘), heat's penetration of blood collaterals with disharmony of liver and stomach(熱入血絡 肝胃不和), insidious pathogen in Kwolum(邪伏厥陰), the treatment of mediation(和解) with Prunellae Spica(夏枯草), Chrysanthemi Flos(菊花), Mori Folium (桑葉), Bupleuri Radix(柴胡), Coptidis Rhizoma(黃連), Scutellariae Radix(黃芩), Gardeniae Fructus(梔子), Cyperi Rhizoma(香附子), Toosendan Fructus(川?子), Curcumae Radix(鬱金), Moutan Cortex(牧丹皮), Paeoniae Radix Rubra(赤芍藥), Unoariae Ramulus Et Uncus(釣鉤藤), Cinnamorni Ramulus(桂枝), Paeoniae Radix Alba(白芍藥), Polygoni Multiflori Radix (何首烏), Cannabis Fructus (胡麻子), Ostreae Concha(牡蠣), Zizyphi Spinosae Semen(酸棗仁), Pinelliae Rhizoma(半夏), Poria(백복령). etc can be applied. 5) When the pathogenesis of BanJin(반진), BalLa(발라), ChangI(瘡痍), NamgChang(膿瘡). ChangJilGaeSeon(瘡疾疥癬), ChangYang(瘡瘍), SeoYang(署瘍), NongYang(膿瘍) and GweYang(潰瘍) are wind-damp(風濕), summer heat-damp(暑濕), damp-warm(濕溫), downward flow of damp-heat(濕熱下垂), damp-heat with phlegm transformation(濕熱化痰), gallbladder fire with stomach damp(膽火胃濕), overdose of cold herbs(寒凉之樂 過服), the treatment of damp-resolving(化濕) with Pinelliae Rhizoma(半夏), armeniacae Amarum Semen(杏仁), Arecae Pericarpium(大腹皮), Poria(백복령), Coicis Semen(薏苡仁), Talcum(滑石), Glauberitum(寒水石), Dioscoreae Tokoro Rhizoma(??), Alismatis Rhizoma(澤瀉), Phellodendri Cortex(黃柏), Phaseoli Radiati Semen(?豆皮), Bombycis Excrementum(?沙), Bombyx Batryticatus(白??), Stephaniae Tetrandrae Radix(防己), etc can be applied. 6) When the pathogenesis of ChangPo(瘡泡), hepatic abscess(肝癰) and appendicitis(腸癰) are food poisoning(食物中毒), Ki obstruction & blood stasis in the interior(기비혈어재과), damp-heat stagnation with six Bu organs suspension(濕熱結聚 六腑不通), the treatment of purgation(通下) with DaeHwangMokDanPiTang(大黃牧丹皮湯), Manitis Squama(穿山甲), Curcumae Radix(鬱金), Curcumae Longae Rhizoma(薑黃), Tetrapanacis Medulla(通草), etc can be applied. 7) When the pathogenesis of JeokBan(적반), BanJin(반진), EunJin(은진). BuYang(부양), ChangI(瘡痍), ChangPo(瘡泡), GuChang(久瘡), NongYang(膿瘍), GweYang(潰瘍), Jeong(정), Jeol(癤), YeokRyeo(疫?) and YeokRyeolpDan(疫?入?) are wind-heat stagnation(風熱久未解), blood fever in Yangmyong(陽明血熱), blood fever with transformation(血熱風動), heat's penetration of blood collaterals(熱入血絡). fever in blood(血分有熱), insidious heat in triple energizer(三焦伏熱), pathogen's penetration of pericardium(心包受邪), deficiency of Yong(營虛), epidemic pathogen(感受穢濁), the treatment of Yong & blood-cooling(淸營凉血) with SeoGakJiHwangTang(犀角地黃湯), Scrophulariae Radix(玄參), Salviae Miltiorrhizae Radix(丹參), Angelicae Gigantis Radix(當歸), Polygoni Multiflori Radix(何首烏), Cannabis Fructus(胡麻子), Biotae Semen(柏子仁), Liriopis Tuber(麥門冬), Phaseoli Semen(赤豆皮), Forsythiae Fructus(連翹), SaJin(사진), YangDok(瘍毒) and YeokRyeoIpDan(역려입단) are insidious heat's penetration of pericardium(伏熱入包絡), damp-warm's penetration of blood collaterals(濕溫入血絡), epidemic pathogen's penetration of pericardium(심포감수역려), the treatment of resuscitation(開竅) with JiBoDan(至寶丹), UHwangHwan(牛黃丸), Forsythiae Fructus(連翹), Curcumae Radix(鬱金), Tetrapanacis Medulla(通草), Acori Graminei Rhizoma(石菖蒲), etc can be applied. 9) When the pathogenesis of SaHuSinTong(사후신통), SaHuYeolBuJi(사후열부지), ChangI(瘡痍), YangSon(瘍損) and DoHan(盜汗) are deficiency of Yin in Yangmyong stomach(陽明胃陰虛), deficiency of Yin(陰虛), the treatment of Yin-replenishing(滋陰) with MaekMunDongTang(麥門冬湯), GyeongOkGo(瓊玉膏), Schizandrae Fructus(五味子), Adenophorae Radix(沙參), Lycii Radicis Cortex (地骨皮), Polygonati Odorati Rhizoma(玉竹), Dindrobii Herba(石斛), Paeoniae Radix Alba(白芍藥), Ligustri Lucidi Fructus (女貞子), etc can be applied. 10) When the pathogenesis of RuYang(漏瘍) is endogenous wind in Yang collaterals(陽絡內風), the treatment of endogenous wind-calming(息風) with Mume Fructus(烏梅),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etc be applied. 11) When the pathogenesis of GuChang(久瘡), GweYang(潰瘍), RuYang(漏瘍), ChiChang(痔瘡), JaHan(自汗) and OSimHan(五心汗) are consumption of stomach(胃損), consumption of Ki & blood(氣血耗盡), overexertion of heart vitality(勞傷心神), deficiency of Yong(營虛), deficiency of Wi(衛虛), deficiency of Yang(陽虛), the treatment of Yang-restoring & exhaustion-arresting(回陽固脫) with RijungTang(理中湯), jinMuTang(眞武湯), SaengMaekSaGunjaTang(生脈四君子湯), Astragali Radix (황기), Ledebouriellae Radix(防風), Cinnamomi Ramulus(桂枝), Angelicae Gigantis Radix(當歸), Ostreae Concha(牡蠣), Zanthoxyli Fructus(川椒), Cuscutae Semen(兎絲子), etc can be appl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