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hidrosi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2초

흉강경하 교감신경절 소작술중 발생한 심부전 -증례 보고- (Heart Failure Occurred during Endoscopic Transthoracic Sympathetic Cauterization -A case report-)

  • 이윤우;윤덕미;안은경;석미자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1호
    • /
    • pp.235-238
    • /
    • 1996
  • Hyperhidrosis is the distressing condition of abnormal sweating which affects the palm, sole and axillary region. Transthoracic endoscopic sympathectomy i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hyperhidrosis, especially when the upper limbs are affected. We experienced a case of accidental cauterization of right azygos vein in a healthy 23 year old male during endoscopic transthoracic sympathectomy. We changed the single lumen endotracheal tube to a double lumen tube which made it easier to perform the explo-thoracotomy and bleeder ligation under one lung ventilation. Crystalloid and colloid solutions, and packed RBC were loaded during explo-thoracotomy. Monitoring showed the signs indicating pulmonary edema. Pulmonary arterial catheterization revealed global heart failure. The patient was transfered to ICU for intensive management for heart failure. On the 4th postoperative day, pulmonary edema and heart failure were cured; and the patient was extubated. But in the evening of the same day ST-segment elevation and Q-wave were noted on ECG monitoring. On the 13th postoperative day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This revealed left apex focal hypokinesia, patent coronary artery and accidental right coronary spasm, treated by vasodilator. On the 14 day, after surgery, he was discharged to return to work.

  • PDF

본태성 수장부 다한증 환자에서 선택적인 T3 교감신경 차단술 (The Selective T3 Sympathicotomy in Patients with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 윤승환;조준;문창택;장상근;배기만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1호
    • /
    • pp.1499-1504
    • /
    • 2000
  • Objectives : In general, conventional T2, T3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must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for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However, this is offset by the occurrence of a high rate of side effects, such as embarrassing compensatory sweating and Hornor's syndrome. The authors have performed a selective T3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to our patients to see whether it provides successful results with less side effects. Its preliminar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T2, T3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Methods : The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was performed in 54 patients suffering from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Twenty-four patients underwent a conventional sympathicotmy(group A) from Jan 1997 to Dec 1997 and 30 patients a selective T3 sympathicotmy(group B) from Jan 1998 to Dec 1999. For assessment of postoperative success and of complications all patients charts were reviewed. Patients further received a postal questionnaire regarding long-term effect, satisfaction, and side-effects. Results : No recurrence was observed in both groups. The global rate of compensatory sweating was significantly(p =0.020) different in both groups : 11 patients(45.8%) in group A and 5 patients(16.73%) in group B. The Hornor's syndrome was observed only in 4 patients in group A.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procedure in group A were considered fully-satisfying by 16 patients(66.6%), 6 patients(25%) were satisfied partially, and only 2 patients(8.3%) were dissatisfied, and those of the procedure in group B satisfying by 26 patients(86.6%), 4 patients(13.3.% ) were satisfied partially, and none dissatisfied. Conclusion : The selective T3 sympathicotomy results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ate of disturbing side effects comparing to conventional T2, T3 sympathicotomy and it dose not lead to recurrence. Our results contribute to recommendations of a selective T3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s treatment of choice in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 PDF

다한증 환자에서의 Clipping에 의한 T2 Sympathetic Chain Block의 효과 (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이두연;윤용한;백효채;신화균;이성수;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45-748
    • /
    • 1999
  • 배경: 원발성 다한증 환자에서 높은 만족도와 수술성공률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6개월이 지나면 과도한 보 상성 다한증의 결과로 만족도가 66%까지 떨어지게 된다.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시도 되었으 나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문제에서의 완전한 치료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8년 7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42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42례 의 협자에 의한 흉부교감 신경절 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을 시행하였으며 2명을 제외한 40명 의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 수술시간은 4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 후 보상성 다한증은 31례(77.5%)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9례(22.5%)였다. 수술 의 만족도는 95.0%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2례(5.0%)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결론: 협자을 의한 T2 흉부교감 신경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특히 여름철에 수술하는 경우와 안면부 다한증의 경우에 가역적인 수술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한증 환자에서의 T2 Sympathicotomy의 효과 (Hyperhidrosis Treated by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 윤용한;이두연;김해균;이교준;신화균;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71-174
    • /
    • 1999
  • 배경: 다한증은 젊은 나이에 0.6%에서 1%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흉강 내시경 기구의 발전으로 2 mm 내시경에 의한 다한증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수술 후 통증이나 상처에 대한 걱정 없이 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되었고 또한 보상성 다한증등의 합병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수술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2월까지 89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경을 이용한 89례의 흉부교감 신경절 절단술(sympathicotomy)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수술시간은 3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후 보상성 다한증은 57례(64.0%)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14례(15.7%) 였다.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율은 일반적인 수술방법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다한증의 정도는 훨씬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의 만족도는 96.6%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3.4%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2 mm 흉강경을 이용한 T2 흉부교감 신경절 절단술(sympathicotomy)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신경의 재 성장에 의한 재발등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결론: 본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병원에서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2월까지 2 mm흉강경을 이용하여 T2 sympathicotomy를 시행하여 다한증치료를 하였기에 임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홍채로 진단한 교감항진 국소다한증 치험례 (A Case Report of Hyperhidrosis with Sympathicotonia Detected by Iris Diagnosis)

  • 왕경석;채인철;박미소;손수아;박성일;유호룡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001-1008
    • /
    • 2021
  • 목적: 국소다한증 환자의 홍채진단을 사용한 변증 및 한의 치료에 대한 연구 방법: 국소다한증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에게 한의학 기본 진단법인 사진법을 사용하여 태음인임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카메라를 사용하여 홍채를 촬영하였고, 얻어진 이미지에서 교감신경항진과 관련된 표지인 권축륜의 선명하고 굵은 모습과 다수의 신경긴장선이 존재하는 모습을 통해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태음인 체질방을 기본으로 교감신경 항진을 조절하는 약재를 가미한 한약처방을 1개월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결과: 다양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던 30년 가까이 된 수족 다한증이 한약치료를 통해 복약 4일차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6주 만에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80% 호전되었다. 결론: 만성적이고 다양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던 수족 다한증에 한약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보고한다.

본태성다한증에서 흥부교감신경의 차단 범위와 부위에 따른 임상결과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and Extent of Sympathicotomy in Essential Hyperhidrosis)

  • 최순호;박권재;이삼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27-132
    • /
    • 2002
  •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신경차단술은 본태성 다한증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즉각적인 증세 호전을 보이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하지만 수술 후 만족의 정도는 생활에 불편할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의 높은 빈도의 발생에 의해서 상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흥부교감신경을 여러 부위에서 차단한 후 증상의 호전과 보상성발한의 발생을 비교하고 평가하여 최소의 부작용과 최대의 이점을 야기할 수 있는 적당한 부위와 범위의 교감신경차단술을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원광대병원 흉부외학교실에서 본태성 다한증을 호소하는 150명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분류하였는데 I군은 교감신경 사슬을 제 2,3,4번 늑골 상단에서 차단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II군은 제 2번 늑골상단에서 제 2번 교감신경절 상부의 교감신경절간 사슬을 절단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III군은 3번째 늑골 상단에서 제 2번 교감신경절의 하부 교감신경절간 사슬을 차단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항목은 치료 만족도, 보상성다한증의 빈도 및 정도, 술 후 합병증, 족부발한의 변화로 구성되었다. 결과: 각 군간의 연령과 성별에는 타이가 없었다. 치료한 모든 환자에서 수술직후 본태성다한증의 만족할만한 수술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장기 만족도는 I,II,III군 각각80%, 92%, 96% 이었고 땀이 많이 나서 생활에 약간의 불편을 줄 정도 이상의 심한 보상성다한증은 I, II, III,군에서 각각 50%, 28%, 18%로 나타났다. 약간의 만족할 만한 수장부 보습성은 역순이었으며 족부 발한은 땀의 감소를 각 군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었으나 각 군간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결론: 보상성다한증의 빈도와 정도는 흉부교감신경차단술과 부위와 범위에 따라 아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었으며 3번째 늑골상단에서 제 2번 교감신경절의 하부 교감신경절간 신경섬유의 차단방법은 최소 침투수술법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본태성다한증에서 체간에 발생하는 보상성다한증의 빈도와 정도를 줄이면서 손의 과도한 건조함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얼굴의 무한증 까지도 예방할 수 있는 수술기법이라 할 수 있다.

보상성 발한에 대한 컴퓨터 적외선 체열촬영(DITI)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DITI for Compensatory Sweating)

  • 조현민;함석진;김도형;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701-703
    • /
    • 2002
  • 지금까지는 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 수술 후 보상성 발한에 대한 평가를 주로 환자들의 주관적인 증상에 의존함으로써 그 결과의 객관성과 타당성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과 더불어 객관적인 검사방법으로 컴퓨터 적외선 체열촬영(D.I.T.I :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을 활용하여 다한증 수술 후 보상성 발한의 부위 및 정도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광증(癲狂症) 이환중(罹患中) 무동성(無動性) 함구증(含口症)이 발작된 환자(患者) 1례(例) (A case of akinetic mutism is revealed during contraction of catatonic schizophrenia)

  • 이동원;김은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2궈1호
    • /
    • pp.193-200
    • /
    • 2001
  • This is a case report that dysautonomia and catatonia are accompanied by Akinetic Mutism in a 28 year old patient whose symptoms, seemed to catatonic schizophrenia. This study is aimed to assist about comprehens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autonomia and catatonia are accompanied by Akinetic Mutism, because this case is not common. This patient's chief complains that hyperhidrosis, muscular rigidity, akinesia etc are seemed to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is a side effect during taking antipsychotic that unknowned high, fever, stupor, muscular rigidity, akinesia, tachycardia, hyperhidrosis, salivation. We cannot rule out Neuroleptic Milignant Syndrome, but this case is seemed to catatonic schizophrenia. The symptoms of catatonic schizophrenia is that prodrome(relaxed concern, ataraxy, lacked concentration) is progressed and akinesia, mutism, ankylosis, stupor etc, are appeared. Oriental medicine, environment with more objective study and treatment are needed.

  • PDF

종경동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신경 절제술 (Mediastinoscopic Lumbar Sympathectomy)

  • 김동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29-232
    • /
    • 2005
  •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은 족부 다한증, 하지 혈관 질환 및 신경계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수술로 흉부교감 신경 절제술에 비해 수술 빈도는 많이 떨어지나, 최근의 수술 경향인 최소 침습 수술의 발달과 복강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이 소개되면서 관심이 증가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8명의 환자에서 종격동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환자의 남녀비는 12:6으로 남자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24.3세였으며, 수술 부위는 12명의 족부 다한증 환자에서는 양측을 수술하였고 나머지 6명의 환자에서는 좌측 4예, 우측 2예의 수술을 시행하여 총 30예의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37.2$\pm$12.5 분이었으며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3.1$\pm$2.2일이였다. 결론: 종격동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수술 방법으로, 미용적인 측면과 수술 후 동통의 감소 및 수술 후 재원 기간의 단축 등의 장점이 있는 수술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에서 결과를 분석하여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