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lomecon vernali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피나물 중 boscalid 및 pyraclostrobin의 토양 처리시 잔류특성 및 안전성 평가 (Residue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s (Boscalid and Pyraclostrobin) in Hylomecon vernalis)

  • 유지우;송민호;김진찬;이광헌;고락도;금영수;이지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5-100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residues of the soil-treated boscalid and pyraclostrobin within Hylomecon vernalis and to evaluate the risks from intake of the residual pesticides in the crop. METHODS AND RESULTS: The pesticides were treated to soils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the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57 days after seeding. The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the QuEChERS extraction kit (MgSO4 4 g, NaCl 1 g).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boscalid and pyraclostrobin were validated using linearity, recovery, and CV (coefficient of variation). Risk assessment of the pesticides was performed using Korea national nutrition statistics 2019. CONCLUSION(S): The residual levels of boscalid were 0.02-0.05 mg/kg (for the treatment at 6 Kg/10a) and 0.05-0.08 mg/kg (for the treatment at 12 Kg/10a), respectively.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pyraclostrobin were below the LOQ. The amounts of pesticides were less than Maximum Residue Limits specified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maximum hazard indices of boscalid in chwinamul and amaranth for consumers were 0.0075% and 0.1525%, respectively, and it indicates that the risk of the pesticides from the crop is considered to be low.

경주국립공원 구미산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1-52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flora data for conserving the biodiversity of Gyeongju National Park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flora of Mt. Gumi were surmmarized as 476 taxa including 97 families, 297 genera, 419 species, 3 subspecies, 46 varieties and 8 forms. The rare plants were 6 taxa such as Aristolochia contorta,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Potentilla discolor, Berchemia berchemiaefolia, Trigonotis icumae and Iris odaesanensis.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9 taxa such as Carpinus laxiflora, Pseudostellaria coreana, Philadelphus schrenkii, Indigofera koreana, Lespedeza maritima, Vicia chosenensis, Galium koreanum, Lonicera subsessilis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such as Salix chaenomeloides(I), Hylomecon vernalis (I), Oxalis obtriangulata (I), Viola orientalis(II), Adoxa moschatellina (II), Cirsium chanroenicum (II), Vitex negundo var. incisa (III)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6 taxa such as Fallopia dumetorum, Chenopodium album, Lepidium virginicum, Amorpha fruticosa, Euphorbia supina, Carduus crispus, Erigeron strigosus, Festuca myuros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ne plant was Aster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such as Artemisia rubripes, Carpesium macrocephalum and so forth.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by surveying the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The numbers of flora were summarized as 575 taxa; 99 families, 333 genera, 507 species, 4 subspecies, 56 varieties and 8 forms. The threatened species was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the rare plants were 17 taxa; Anaphalis sinica, Jeffersonia dubia, Hylotelephium ussuriense,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3 taxa; Salix pseudolasiogyne, Carpinus laxiflora, Pseudostellaria c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Corydalis albipetal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9 taxa; 31 taxa of grade I, 16 taxa of grade II, 8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V and 7 taxa of grad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7 taxa; Fallopia dumetorum, Rumex crispus, Chenopoidum album, Amaranthus patulus, Lepidium apetalum and so forth,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18 taxa; Anemone reflexa, Eranthis stellata, Hylomecon vernalis, Lathyrus vaniotii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31 taxa; Dianthus longicalyx, Thalictrum ichangense, Spiraea blumei, Glycine soja and so forth.

주왕산국립공원 내 주산지 유역의 관속식물상 및 관리방안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Jusan Reservoir Watersh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 유주한;정성철;정철운;문성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9-105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survey and analyse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around the Jusan Reservoir, Juwangsan national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377 taxa; 85 families, 253 genera, 332 species, 3 subspecies, 37 varieties and 5 forma. The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and Iris odaesanensis Y.N.Le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6 taxa; Eranthis stellata Maxim.,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Scopolia japonica Maxim. and Iris odaesanensis Y.N.Lee.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Philadelphus schrenkii Rupr.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Juglans mandshurica Maxim., Salix chaenomeloides Kimura, Hylomecon vernalis Maxim.,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Erythronium japonicum (Baker) Decn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Celtis aurantiaca Nakai,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0 taxa; Fallopia dumetorum (L.) Holub, Chenopoidum album L., Lepidium apetalum Willd., Veronica persica Poir.,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Taraxacum officinale Weber and so forth.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 -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gchang-gun)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93-499
    • /
    • 2010
  •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왕제비꽃 자생지의 생태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ola websteri Hemsley Habitats)

  • 장수길;천경식;김경아;장진환;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1-273
    • /
    • 2010
  • 본 연구는 왕제비꽃 자생지의 환경요인, 토양 특성 및 식생을 조사하고 각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왕제비꽃의 자생지는 총 7개 지역으로 해발고도 343-991 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1-33^{\circ}$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로 확인되었으며, 포장용수량은 평균 28.97%, 유기물함량은 16.63%, pH는 5.62, 유효 인산함량은 14.75 ${\mu}g/g$으로 나타났다. 18개 방형구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33분류군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고로쇠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고로쇠나무가 가장 높은 중요치를 보였다. 초본층에서는 왕제비꽃의 중요치가 9.6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벌깨덩굴(8.53%), 개별꽃(6.51%), 피나물(5.15%), 큰괭이밥(4.52%), 덩굴개별꽃(4.15%) 등이 높게 나타나 이 종류들이 왕제비꽃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1.32였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과 0.89로 산출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조사 및 토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관분석 결과 왕제비꽃의 피도는 미사 및 모래함량, 관목층 이상 상층수목의 피도는 종풍부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식생구조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는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별되었다.

입암산과 백암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Ibamsan Mt. and Baekamsan Mt.)

  • 선은미;손현덕;박성배;김우남;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55
    • /
    • 2020
  • 전라남도 장성군과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에 위치한 입암산과 백암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1990년 이후 채집되어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CNU)에 수장된 표본에 근거하여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입암산과 백암산에서는 116과 403속 687종 16아종 58변종 8품종의 총 7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로는 매미꽃, 변산바람꽃 등 총 24분류군이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애기천마, 노랑붓꽃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II급 식물인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노랑붓꽃을 포함하여 14종의 적색목록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는 멸종위기(endangered species, EN) 범주의 진노랑상사화, 대흥란, 애기천마와 취약(vulnerable, VU) 범주의 백양꽃, 노랑붓꽃, 꼬마은난초, 꼬리말발도리가 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으로는 V등급종인 노랑붓꽃 등 4분류군, IV등급종인 털조장나무 등 9분류군, III등급종인 산꽃고사리삼 등 28분류군, II등급종인 피나물 등 22분류군, I등급종인 홍지네고사리 등 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는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과 미국쑥부쟁이를 포함하여 총 14과 35속 37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MZ일원 망태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Mangtaebong (Inje-gun, Gangwon-do) in the DMZ area)

  • 이아영;안종빈;김상준;황희숙;박진선;박기쁨;송진헌;윤호근;정지영;정수영;김일권;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인 강원도 인제군 망태봉(771.4m) 일대를 중심으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76과 187속 235종 2아종 28변종 4품종으로 총 2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7과 21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0과 208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3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는 특산식물이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무늬족도리풀(Asarum versicolor),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등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dangered, EN)인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와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인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로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취약종인 산림청 지정의 북방계식물은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피나물(Hylomecon vernalis), 돌단풍(Mukdenia rossii),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생태계교란종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가 뚜렷하지 않은 77분류군(28.6%)을 제외한 192분류군(71.4%)이 자원식물로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 107분류군(39.8%), 섬유용 3분류군(1.1%), 약용 80분류군(29.7%), 관상용 32분류군(11.9%), 사료용 87분류군(32.3%), 산업용 2분류군(0.7%), 염료용 3분류군(1.1%), 목재용 7분류군(2.6%)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