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la japonic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청개구리 두 종(Hyla japonica와 H.suweonensis)의 핵형 비교분석 (Comparative Kary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Treefrogs, Hyla japonica and Hyla suweonensis (Anura, Hylidae))

  • 이혜영;유성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4-110
    • /
    • 1988
  • 한국산 청개구리 두 종(Hyla japonica와 Hyla suweonensis)의 핵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종의 핵형은 2n=24로 동일하였으나 두 종의 6번 염색체는 동일한 % length를 보이나 Hyla japonica의 6번염색체는 subtelocentric chromosome인 반면에 Hyla suweonensis의 6번염색체는subtelocentric chromosome이었다. 6번염색체의 이러한 형태적 차이는 pericentric inversion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두 종은 모두 6번 염색체의 1쌍의 NOR을 가지고 있다.

  • PDF

C-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산 청개구리 두 종(Hyla japonica와 Hyla suweonensis)의 핵형 비교분석 (Comparative kary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tree frogs, Hyla japonica and Hyla suweonensis (Anura, Hylidac))

  • 유성림;이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
    • /
    • 1990
  • 한국산 청개구리 두 종, Hyla japonica와 Hyla suweonensis의 핵형을 C-banding 방법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구조적 이질염색질은 두종 모두 주로 동원체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나 H. suweonensis의 3번 염색체에서 성별에 따른 이형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ZZ/ZW형의 성염색체로 생각된다. H.suweonensis의 성염색체는 W염색체보다 Z염색체에 더 많은 구조적 이질염색질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양서류나 다른 척추동물의 성염색첵상의 이질 염색질 분포와는 다른 것으로서 청개구리과의 Gastrotheca ovifera, G. walkeri 와는 같은 현상이었다.

  • PDF

농촌과 도시 지역에 서식하는 청개구리 (Hyla japonica)의 건강도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of Japanese Tree Frog (Hyla Japonica) in a Rural and an Urban Area)

  • 박소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1호
    • /
    • pp.71-74
    • /
    • 2017
  • 도시화는 전지구적 양서류 쇠퇴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양서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인천 도시지역과 가평 농촌지역의 논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의 형태와 건강도를 비교하였다. 도시지역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의 체장과 체중은 농촌지역보다 작았다. 그러나 건강도를 나타내는 비만도에는 두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시화와 양서류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시화가 양서류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lasticity of Mating Calls in Hyla Japonica (Amphibia: Hylidae)

  • Kyu-Bom Park;Jae Chun Cho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63-469
    • /
    • 1998
  • Hyla japonica males were observed to produce two distinctively different types of mating calls: advertisement call to attract conspecific females and encounter call to keep off potential competitor males. Whereas advertisement calls were organized in bouts of calls or notes, encounter calls were usually produced as separate calls. Encounter calls were much longer and had more pulses per call than advertisement calls. However dominant frequencies or pitches of the two cal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yla Japonica males exhibited considerable plasticity in their calling behavior. They alter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perties of their calls in response to other calling males. Sometimes, they even switched from producing advertisement calls to encounter calls. Advertisement calls produced by chorusing males were shorter in duration and thus move calls per bout than those produced by lone males. Males also produced much lower-pitched calls when calling together with other males. Considering that low pitch calls are often Highly correlated with body size, it is possible that H. japonica males may try to generate deceptive calls to indicate the size greater than the actual.

  • PDF

청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연구 (Toxicity Evaluation of Chemicals using Tree Frog Embryos, Hyla japonica)

  • 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75-681
    • /
    • 2012
  • 국내에 서식하는 개구리의 배아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독성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청개구리(Hyla japonica)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Cu^{2+}$과 Tebuconazole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Cu^{2+}$과 Tebuconazole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으며 $Cu^{2+}$과 Tebuconazole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_{50}$)은 각각 0.05, 5.0mg/L을 나타내었고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_{50}$)은 0.16, 39.1mg/L을 나타내었다. Teratogenic index($TI=LC_{50}/EC_{50}$)는 $Cu^{2+}$의 경우 3.0, Tebuconazole의 경우 7.7을 나타내어 청개구리 배아 발달에 최기형성 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Cu^{2+}$과 Tebuconazole 모두 낮은 농도에서 청개구리 배아의 발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다량의 배아 확보가 가능하였고 배양이 용이하였으며 치사율, 기형율, 성장률, 기형양상 등이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청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시험기법은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독성검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에서 서식지 환경과 토지 이용이 청개구리 (Hyla japonica) 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bitat Environment and Land Use on the Abundance of Japanese Tree Frog (Hyla japonica) in Incheon, Korea)

  • 박소현;조현석;진승남;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4호
    • /
    • pp.200-206
    • /
    • 2017
  •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의 훼손과 단편화는 전세계적으로 양서류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청개구리의 분포와 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인천와 그 주변에 위치한 18개 논에서 청음으로 청개구리의 수도를 측정하고 서식지 환경과 토지 이용을 조사하였다. 인천과 주변 논에서 청개구리의 수도는 0 - 17마리 / 서식지 또는 0 - 41마리 / ha이었다. 청개구리의 수도는 서식지와 도로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서식지의 둘레길이 면적이 켜질수록 증가하였다. 일반적인 예측과는 달리 청개구리의 밀도는 서식지의 크기와 음의 상관을, 주변의 토지이용 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도시화에 의하여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고 주변이 개발됨에 따라서 청개구리리가 좁은 서식지로 집중화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산 청개구리속 2조의 종분화에 관한 연구 (Speciation of the Two Species of the Genus Hyla (Anura) in Korea)

  • 양서영;박병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0
    • /
    • 1988
  • 한국산 청개구리속 2종의 종분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이들의 분포, 번식시기를 조사하고 7개 집단을 대상으로 형태 및 유전적 변이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Hyla japonica의 번식 시기는 4월 초에 시작되어 5월 초에 그 절정에 달하는 반면 H.suweonensis는 5월 하순에 mating call정취되고 번식 시기는 6월 중순에 절정에 달하여 이들사이에는 약 45일간의 차이가 있다. H.japonica는 남한의 전역에 넓게 분포하는 반면 H.suweonensis는 경기도 일원의 평야 지대에 국한되어 분포하였다. 7개 형질을 이용하여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를 실시한 결과 두 종을 뚜렷이 구별할 수 있었다. 유전적 변이정도를 비교한 결과 H.japonica는 H.suweonensis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변이가 컸다. H.japonica의 집단 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893인 데 반하여 H.suweonensis의 집단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964로 집단간의 차이가 매우 적었다. 반면 두 종의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520으로 이 값은 일반적으로 양서류의 종 간 근연치와 일치하였다. 번식시기, 분포, 종내 집단간 유전적 차이, 분화년대 및 분포경로 등을 종합검토한 결과 H.japonica에서 H.suweonensis가 분화되었다고 추정되며 분화시기는 플라이오세 말기에서 플라이스토세 초기 사이로 추측되었다.

  • PDF

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Treefrogs (Amphibia; Hy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and 12S rRNA Genes

  • Jung Eun Lee;Dong Eun Yang;Yu Ri Kim;Hyuk Lee;Hyun Ick Lee;Suh-Yung Yang;Hei Yung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3호
    • /
    • pp.295-301
    • /
    • 1999
  • The nucleotide sequence of a 447 base pair fragment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and the complete sequence of the mitochondrial 12S ribosomal RNA gene, 938 bp, were analyzed to infer inter- and intraspecific genetic relationships of Hyla japonica and H. suweonensis from Korea and H, japonica from Japan.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H. japonica populations were 9.62% and 15.66% between H. japonica and H. suweonensis. Based on the Tamura-Nei distance, the level of sequence divergence ranged from 0.45% to 2.75% within Korean H. japonica, while 8.31%-8.87%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 japonica and 11.51%-12.46% between H. japonica and H. suweonensis. In the neigh-bor-joining tree, Korean populations of H. japonica were clustered first at 2.22% and followed by Japanese H. japonica and H. suweonensis at 8.51% and 12.29%, respectively. In mitochondrial 12S rRNA gene,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H. japonica and H. suweonensis nras 7.17% (68 bp) including 7 gaps. Based on Tamura-Nei distance, the level of sequence divergence ranged 3.53%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 japonica and from 4.93% to 5.41% between H. japonica and H. suweonensis. Phenogram pattern of the 12S rRNA gene sequence corresponded with that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 PDF

한국산 무미류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 : 청개구리속 2종(Hyla japonira, H. suweonensis)에 대한 mtDNA의 크기 및 제한효소 인식위치의 변이 (Genetic Studies on Korean Anurans: Length and Restriction Site Variation in the Mitochondrial DNA of Tree Frogs, Hyla japonica and H. suweonensis)

  • 이혜영;박창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9-225
    • /
    • 1992
  • The genetic variation in mitochondrial DNA (mtDNA) was analysed within and between two species of tree frogs. Hyla japonica and H. suweonensis from South Korea. Purified mtDNAs were digested with each of 11 restriction enLvmes which cleave at six base recognition sequences. The genome size of H. iaponica revealed ho types (20.0 $\pm$ 0.3 and 19.6 $\pm$ 0.3 kb) and this difference is explained by either addition or deletion of about 0.4 kb fragment. On the other hand, the genome sire of H. suueonensis was about 19.0 $\pm$ 0.4 kb only. For the analysis, level of fragment homology (F) and nucleotide sequence divergence (p) were estimated from comparisons of digestion profiles. Among four populations of H. iaponica, substantial mean sequence divergence was 0.017 (range 0.001-0.026); between identical types, 0.001 IslilaRl type) and 0.004 (Large type) respectively; between different ones, 0.024 (range 0.023-0.026). The level of sequence divergence between he species was 0.142 (range 0.131-0.146). This result suggested that he species ㅂwere distinctly differentiated species. The divergence time between ko species was estimated 7.1 million ye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