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quinone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7초

사과 Polyphenol Oxidase에 의한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Reacted with Polyphenol Oxidase Extracted from Apple)

  • 백창원;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25-631
    • /
    • 1990
  • 사과로부터 추출한 산화효소와 5종의 polyphenol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AEBRP)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mitomycin C(MMC), 4-nitroquinoline-1-oxide(4NQO), benzo(${\alpha}$)pyrene(B(${\alpha}$)P) 그리고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에 대한 다섯 종류의 사과효소 갈변반응 생성물들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Bacillus subtilis Hl7과 M45 두 균주를 이용하는 spore rec-assay에서 homocate-chol-AEBRP와 hydroquinone-AEBRP는 농도증가에 따라 MMC와 MNNG에 대하여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를 이용한 Antimutagenicity test에서는 hydroxyhydro-quinone-AEBRP와 pyrogallol-AEBRP는 S-9mix 첨가시 두 균주에서 Trp-P-1과 B(${\alpha}$)P에 대하여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AEBRP들은 MNNG로 유도된 TA98주에서 $50%{\sim}8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hydroxy-hydroquinone-AEBRP를 제외한 네 종류의 AEBRP들은 TA100 균주에서 약 94%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4NQO에 대한 다섯 종류의 AEBRP들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일반적으로 약한 편이었으며, 특히 homocatechol-AEBRP는 TA98 균주에서 48%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TA100 균주에서는 homocatechol-AEBRP와 hydroquinone-AEBRP가 46%에서 58%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L.)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타감물질(他感物質)의 동정(同定) II. 타감성(他感性) 해바라기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동정(同定) (Allelopathic Activity and Determination of Allelochemicals from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Root Exudates II. Elucidation of Allelochemicals from Sunflower Root Exudates)

  • 박광호;;김순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2
    • /
    • 1992
  • 해바라기의 상대억제작용(相對抑制作用)(타감작용(他感作用), Allelopathy) 및 천연제초제(天然除草劑)로서의 개발가능성(開發可能性)에 관한 시험(試驗)을 1988-1991년(年)에 걸쳐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 농학(農學), 생화학부(生化學部) 및 국립(國立)필리핀 대학교(大學校) 화학과(化學科) 천연물(天然物) 연구실(硏究室)에서 수행(遂行)하여 얻은 결과중(結果中) 상대억제작용성(相對抑制作用性) 해바라기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생물검정(生物檢定) 및 상대억제작용물질(相對抑制作用物質)(Allelochemicals)의 HPLC 분석결과(分析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해바라기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산(酸) 및 중성분획물질(中性分劃物質)을 생물검정재료(生物檢定材料)로 사용한 피 (Echinochloa colona (L.) Link 및 무 (Raphanus sativus L.)의 발아(發芽)가 유의성(有意性)있는 억제(抑制)를 보인 반면 알칼리 및 수용성분획(水溶性分劃)에서는 억제작용(抑制作用)이 나타나지 않았다. 2. 피의 경우 해 바라기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분획물질(分劃物質) $10{\mu}l$ 농도(濃度)에서부터 유의적(有意的)인 생장억제(生長抑制)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지상부(地上部) 신장억제(伸張抑制)보다 지하부(地下部) 신장억제(伸張抑制)가 산(酸) 및 중성분획(中性分劃)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3 무의 경우 농도(濃度)에 관계없이 지상(地上) 및 지하부(地下部) 신장억제(伸張抑制)가 산(酸) 및 중성분획(中性分劃)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4. 생물검정(生物檢定)에서 강한 상대억제작용(相對抑制作用)을 보인 산성분획물질(酸性分劃物質)의 HPLC분석결과(分析結果) hydroquinone, ${\beta}$-resorcyclic acid, vanillic acid, caffeic acid, salicylic acid, quercetin 등의 물질(物質)이 확인(確認)되었다. 한편, 중성분획물질(中性分劃物質)에서는 Hydroquinone, gentisic acid, ${\beta}$-resorcyclic acid, vanill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등이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 PDF

국내 유통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중 히드로퀴논 및 살균보존제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afety of Hydroquinone and Preservatives among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Albutin in Korea)

  • 조중희;김지형;엄선아;강민정;한영선;허명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9-408
    • /
    • 2019
  • 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부틴은 피부질환 및 발암물질로 알려진 히드로퀴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을 장기간 보관 및 사용 중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독성 및 피부 자극 등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40건을 대상으로 히드로퀴논과 살균보존제 21종에 대하여 함량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히드로퀴논은 9건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7건에서 0.3 ~ 0.9 ppm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정한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2건에서는 8.4 ppm, 50.5 ppm으로 검출이 되어 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보존제는 40건 중 20건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 항목 및 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1 ~ 0.7% (15건), 메틸파라벤 0.19 ~ 0.21% (2건), 클로르페네신 0.13% (1건), 클로르헥시딘 0.006%(1건), 프로필파라벤 0.06% (1건) 로 모두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또한 화장품 중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법에 의하여 1차 또는 2차 포장에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단어를 표기해야 하지만 40건 중 1건에서 표기가 되어 있지 않았다. 실험 결과 살균보존제는 안전하게 관리 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히드로퀴논이 검출된 제품은 알부틴이 분해되어 생성되었다고 사료 되어 알부틴의 분해에 대한 추가적 연구 및 품질관리의 개선이 요구된다.

Effect of Different Pretreatments on Indium-Tin Oxide Electrodes

  • Choi, Moonjeong;Jo, Kyungmin;Yang, Hae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2호
    • /
    • pp.421-425
    • /
    • 2013
  • The effect of pretreatment on indium-tin oxide (ITO) electrodes has been rarely studied, although that on metal and carbon electrodes has been enormously done. The electrochemical and surface properties of ITO electrodes are investigated after 6 different pretreatments.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for oxygen reduction, $Ru(NH_3){_6}^{3+}$ reduction, $Fe(CN){_6}^{3-}$ reduction, and p-hydroquinone oxidation are compared, and the surface roughness, hydrophilicity, and surface chemical composition are also compared. Oxygen reduction, $Fe(CN){_6}^{3-}$ reduction, and p-hydroquinone oxidation are highly affected by the type of the pretreatment, whereas $Ru(NH_3){_6}^{3+}$ reduction is almost independent of it. Interestingly, oxygen reduction i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treatment in an HCl solution. The changes in surface roughness and composition are not high after each pretreatment, but the change in contact angle is substantial in some pretreatments.

하이드로퀴논 환원제를 사용한 은코팅 구리 플레이크의 제조에서 공정 변수의 영향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on Preparation of Silver-Coated Copper Flakes Using Hydroquinone Reducing Agent)

  • 오상주;이종현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62
    • /
    • 2017
  • 하이드로퀴논 환원제를 사용하는 무전해 은도금 방법으로 은(Ag)코팅 구리(Cu) 플레이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전처리 용액, 반응온도, pH, Ag 도금액 조성 및 주입속도, 펄프농도 등 여러 변수를 변화시켜가며 우수한 품질의 Ag 코팅이 형성되는 공정조건들을 확보하였다. Cu 플레이크 표면의 산화층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처리 용액이 제시되었고, 낮은 반응온도, 4.34 수준의 pH값, 느린 Ag 도금액 주입속도, Ag 도금액에서 증류수 제거, 높은 펄프농도 조건에서 분리형 미세 Ag 입자들의 생성이 억제되고, Cu 표면 커버리지가 우수한 Ag 코팅층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Benzene, Phenol and Hydroquinone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of Human Eosinophilic EoL-1 Cells

  • Moon, So-Hee;Yang, Eun-Ju;Song, Bo-Bae;Kim, Bo-Mi;Lee, Ji-Sook;Kim, In-Si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9-185
    • /
    • 2010
  • Benzene is known as a ubiquitous air pollutant and has a carcinogenic influence on the human body. Benzene is also metabolized to 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body such as phenol and hydroquinone (HQ). The metabolites are accumulated and further oxidized by myeloperoxidase in bone marrow. They act as toxic agents and cause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cancer,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benzene and its metabolites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chemotaxis of EoL-1 cells, the human eosinophilic leukemia cell line. These chemicals had no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EoL-1 cells. Benzene decreased the differentiation of EoL-1 cells induced by butyric acid. HQ was induced the cell death during butyric acid-induced EoL-1 cell differentiation. In a chemotaxis experiment, benzene, phenol and HQ enhanced the cell migration induced by Lkn-1 but not by MCP-1, eotaxin, MIP-$1{\alpha}$ and RANTES. These findings provide the effect of VOCs on the regulation of eosinophil-involved immune response.

Effect of Dicyandiamide and Hydroquinone on Ammonia and Nitrous Oxide Emission from Pig Slurry Applied to Timothy (Phleum pretense L.) Sward

  • Park, Sang-Hyun;Lee, Bok-Rye;Kim, Tae-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9-20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ification inhibitor dicyandiamide (DCD) and urease inhibitor hydroquinone (HQ) on ammonia ($NH_3$) and nitrous oxide ($N_2O$) emission from pig slurry applied to Timothy (Phleum pretense L.) sward. The daily emission of ammonia ($NH_3$) and nitrous oxide ($N_2O$) was monitored for 9 days in three different treatments; 1) control (only pig slurry application), 2) DCD treatment (pig slurry + DCD), and 3) HQ treatment (pig slurry + HQ). Most $NH_3$ emission occurred after 4~5 days in three treatments. Total $NH_3$ emission, expressed as a cumulative amount throughout the measurement time, was $1.33kg\;N\;ha^{-1}$ in the control. The DCD and HQ treatment decreased total $NH_3$ emission by 16.3% and 25.1%,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otal $N_2O$ emission in the control was $47.1g\;N\;ha^{-1}$. The DCD and HQ treatment resulted in a reduction of 67.9% and 41.8% in total $N_2O$ emission,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resent study clearly indicated that nitrification and urease inhibitor exhibited positive roles in reducing N losses through $NH_3$ and $N_2O$ e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