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계수화 모델 산정 (Develop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Model for Agricultural Reservoir)

  • 박종석;이경훈;이재주;심춘석;진완규;허신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0-138
    • /
    • 2015
  • 현재 국내 일정규모 이상 댐들에 대해서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댐)" 기준에 따라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평가 기준 중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는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에 대한 기존 댐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농업용저수지에 대해서는 적용성이 많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수화 모델과 AHP 기법을 통해 다각적 위험요인을 고려한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농업용저수지의 다양한 인자를 반영하기 위한 수문학적 안전성 상 하위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계수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단기적 방안으로 신속한 개선이 가능한 안전점검 상태평가 등급의 개선이 유용하며, 장기적으로 여수로 방류능력과 제체의 여유고를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HP를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방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Guidelines for Agricultural Reservoir with AHP)

  • 이재주;박종석;이경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3
    • /
    • 2014
  • 현재 국내 일정규모 이상 댐들에 대해서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댐)" 기준에 따라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평가 기준 중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는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에 대한 기존 댐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농업용저수지에 대해서는 적용성이 많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수화 모델과 AHP 기법을 통해 다각적 위험요인을 고려한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농업용저수지의 다양한 인자를 반영하기 위한 수문학적 안전성 상 하위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계수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평가항목 별 지표 점수의 총합을 산출한 후 전문가 집단의 응답에 대한 검증절차를 실시하였고,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다각적 위험요인을 고려한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실용계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존 평가기준은 댐의 가능최대홍수량에 대한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대부분의 농업용저수지에 대해서는 홍수방어능 부족에 따른 제체의 월류로 저수지의 파괴위험성이 큰 것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가능최대홍수량에 대한 여유고 기준을 만족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댐의 형식 및 상태별 여유고에 대한 평가만으로 필댐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용저수지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항목 및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for Hydrological Safety on Agricultural Reservoir)

  • 이재주;이경훈;박종석;한창화;진완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3-411
    • /
    • 2014
  • 본 논문은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 항목 및 지표를 설정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기법을 통해 평가 항목의 계층화를 통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평가항목의 계층구조는 2계층(상위, 하위)으로 구분하여 상위 평가항목은 6개(제체의 여유고, 여수로의 방류능력, 유지관리 상태, 하류하천 제방의 여유고, 잠재 홍수피해, 홍수량 산정 인자)를 선정하였고, 하위 평가항목 11개를 선정하였다. 둘째, 계층적의사결정법에 의하여 각 항목간 쌍대비교 설문과 일관성 검증을 통해 도출된 6개 상위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유지관리 상태(상태평가 등급), 제체(비월류부)의 여유고, 여수로의 방류능력, 잠재 홍수피해, 홍수량 산정 인자, 하류하천 제방의 여유고 순으로 나타났다. 유지관리 상태(안전점검 상태평가 등급)가 농업용저수지 수문학적 안전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단기적 방안으로 신속한 개선이 가능한 안전점검 상태평가 등급의 개선이 유용하며, 장기적으로 여수로 방류능력과 제체의 여유고를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Mass Balance Analysis of Non-Degradable Substances for Bioreactor Landfill

  • Chun, Seung-Kyu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191-196
    • /
    • 2012
  • Analysis of hydrological safety as well as the determination of many substance concentrations are necessary when bioreactor systems are introduced to landfill operations. Therefore, hydrological and substance balance model was developed sinc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bioreactor landfill operation systems. For the final evaluation of the model's effectiveness, four different methods of injections (leachate alone, leachate and organic waste water, leachate and reverse osmosis concentrate, and all the above three combination) was applied to 1st landfill site of Sudokwon landfill. As a result, the water content of the hypothetical cases for four different systematic bioreactors is projected to be increased up to 35.5% in next 10 years, and this indicated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s in meeting the hydrological safety. Also, the final $Cl^-$ concentration after 10-yr time period was projected to be between from minimum 126 to maximum 3,238 mg/L, which could be still a decrease from the original value of 3,278 mg/L. According to the proposed model, whether the substance concentration becomes increased or decreased largely depends on the ratio of initial quantity of inner landfill leachate and the rate of injection.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비교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 이보람;성장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69-78
    • /
    • 2015
  • 본 연구는 기상학적 가뭄지수가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모사정도를 검토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 중에서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 및 증발산량을 변수로 하는 SPEI(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이용하였고, 수문학적 가뭄 평가를 위하여 월 총 유입량과 하천수 가뭄지수인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와의 상관정도를 분석하였다. 월별 상관계수 비교결과, 지속기간 270일에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월 총 유입량과 상관정도가 가장 높아서 0.67로 나타났고 기상학적 가뭄지수로 SDI와의 상관정도는 0.72~0.87이었다. 연별 극한값을 비교한 결과, 월 총 유입량의 최저값과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연관성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SDI와 SPEI가 매우 높은 상관정도를 보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로 수문학적 극한가뭄에 해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만큼 수문 가뭄해석이 목적이라면 유량자료가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가뭄지수가 필요하다.

간편법에 의한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Hydrologic Safety Evaluation of Small Scale Reservoir by Simplified Assesment Method)

  • 이주헌;양승만;김성준;강부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2호
    • /
    • pp.9-17
    • /
    • 2011
  • Based on the statistical annual report, there are 17,649 reservoirs are operating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Korea. 58 % of entire agricultural reservoirs had been constructed before 1948 which indicate the termination of required service life and rest of those reservoirs have also exposed to the dam break risk by extreme flood event caused by current ongoing climate change. To prevent damages from dam failure accident of these risky small size dam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manage the structural and hydrological safety of the reservoirs. In this study, a simplified evaluation method for hydrologic safety of dam is suggested by using Rational and Creager formula. Hydrologic safety of small scale dams has evaluated by calculating flood discharge capacity of the spillway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design frequency of each reservoir. Applicability and stability of suggested simplified method have examined and reviewd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rainfall-runoff modeling with dam break simulation using HEC-HMS. Application results of developed methodology for three sample reservoirs show that simplified assessment method tends to calculate greater inflow to the reservoirs then HEC-HMS model which lead lowered hydrologic safety of reservoirs. Based on the results of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ethodology can be adapted as useful tool for small scale reservoir's hydrologic safety evaluation.

댐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운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am Safety Management System)

  • 전제성;이종욱;신동훈;박한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1-130
    • /
    • 2008
  • 최근 한국에서는 기상이변 및 노후화, 지진발생 등에 따른 댐 손상 및 붕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관련된 댐안전 문제는 국가차원의 재난관리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지속적인 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정부차원의 다각적 관련 법제도 마련뿐 아니라, 각 댐 관리기관들에서도 댐의 안전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기술적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댐 안전관리 업무의 모순점을 개선하고, 지속적이며 효율적인 댐 안전관리 업무수행을 위해 댐안전관리시스템(KDSMS)을 개발하였다. 댐안전관리시스템은 제원정보시스템 및 수문정보시스템, 현장점검시스템, 지진감시 등을 포함한 매설계기계측시스템, 조사진단시스템, 총괄 정보자료시스템 등으로구성되어 있다. 댐안전관리시스템은 현장 및 본사의 안전관리관련의 세부 정보뿐 아니라, 현장 기술자 및 본사, 연구소 등 관련자들의 안전관리 업무내용 및 상호연계를 총괄하고 있는 전사적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Technical-Economical Evaluation of Chain Vertical Alignment in Underground Urban Subways: The Case of Qom Subway, Line A

  • Abdi Kordani, Ali;Mehrara Molan, Amirarsalan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7권2호
    • /
    • pp.35-39
    • /
    • 2014
  • Urban subways are one of the main parts of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in every city that always requires much attention in order to improve its efficiency in aspects of safety, reliability speed and costs. As the viewpoint of costs, an accurate design, especially design of vertical alignment, can have a dominant role to reduce the costs of urban railway projects. This paper seeks to evaluat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esigning chain vertical alignment for urban subways in compare to flat vertical alignment. To achieve this goal, line A of Qom subway in Iran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in this research. Five parameters considered in the technical-economical evaluation: (1) energy consumption, (2) rolling stock, (3) operation, (4) civil works and geotechnical and (5) hydrological, drainage and pumping. According to the results, a power saving of about 40% have been estimated in the chain vertical alignment for the train without regenerative braking in compare with the flat vertical alignment, although the power saving was calculated less than 10% for the train with regenerative braking. Finally it was found that due to the modern rolling stock technology, the chain vertical alignment represents fewer advantages in compare to the past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