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ogic impact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8초

EPA-SWMM을 이용한 LID 기법의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in an Urban Area: Non-point Pollutant Removal Measures using EPA-SWMM)

  • 조선주;강민지;권혁;이재운;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6-475
    • /
    • 2013
  •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Korean water quality/watershed management. In recent years, Low Impact Development (LID) has emerged as an effective approach to control stormwater in an urban area. This study illustrates how to design and evaluate the effect of non-point pollutant management using EPA-SWMM LID module and suggests design parameters for modeling LID facilities. In addition,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s of LID can be determined by a simpl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by using SWMM for a long-term.

WMS HEC-1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경년 수문변화 분석 (Assessment of hydrological impact by long term land cover change using WMS HEC-1 model in Gyueongan-cheon watershed)

  • 이준우;임혁진;이미선;김성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30-334
    • /
    • 2001
  •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 impact due to temporal land cover changes of Gyueongan-cheon watershed. 2.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HEC-1 was adopted and the required data such as DEM(Digital Elevation Model), stream network, soil map were prepared, and land cover map was made by using Landsat TM data. 3. Due to the increase of urban area and paddy field, the runoff ratio increased 5.8% during the past decade.

  • PDF

Hybrid Green Roof-Planter Box System Design and Construction for PNU GI/LID Facility

  • Ladani, Hoori Jannesari;Shin, Hyun Su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2-192
    • /
    • 2016
  • Nowadays, stormwaters have been affected by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These transition can cause many problems for hydrologic cycle by increasing runoff volume like flood and low water quality. As with other metropolises and peninsulas, Busan has involved with these problems too. Therefore, it is really vital to do some arrangements to solve them by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In fact, LID has been introduced to reduce runoff by applying some techniques such as green infrastructure (GI). In order to deal with the aforementioned issues in Busan, this study attempts to design and construct a hybrid green roof-planter box system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GI/LID Facility based on local weather. For this purpose, we used experiment and modeling method on some planter boxes and optimized them by trial and error method.

  • PDF

Variability in Environmental Flow Metrics to Hydroclimatic Extremes

  • Kim, Jong-Su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5-195
    • /
    • 2017
  • The patterns of occurrence of typhoons in North Pacific region are constantly changing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in sea surface and the occurrence of El Nino and La Nina and changes of their development caused by global warming. In addition, alterations of flow regimes caused by large-scale hydraulic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past few years and changes in precipitation patterns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imposed increased stress on hydroecology while the indiscreet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has a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on the water flows in the natural rivers and streams and hydroecological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altered hydrologic regime on stream and riparian ecosystems that are most vulnerable to climate variability and extremes such as typhoons.

  • PDF

레이더 강우 및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해상도가 매개변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Spatial Resolution of Radar Rainfall and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on Parameter Estimation)

  • 노성진;최신우;최윤석;김경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43-1454
    • /
    • 2014
  • 본 연구는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해상도가 매개변수 추정 및 강우-유출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레이더 강우는 비슬산 S밴드 이중편파 강우레이더에서 2012년 관측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R-KDP, R-Z, R-ZDR의 관계식에 의해 추정된 레이더 강우를 지상관측 강우와 비교하였다. 세 가지 강우 추정식에 의한 레이더 강우를 지상 관측 강우와 비교 시 유역 평균에 대해서는 모두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이는 지상 관측 강우에 대한 레이더 강우 보정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그 중에서도 R-KDP에 의한 추정 강우가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를 강우-유출 모형의 입력자료로 적용하였다. 강우-유출 모형으로는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m, 500m, 1000m의 공간해상도로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범용 매개변수 최적화 모형인 PEST(model independent parameter estimation tool)로 초기 포화도, 지표면 조도계수 및 토양 투수계수의 보정계수를 각 공간해상도 및 호우사상 별로 추정하였다. 매개변수 추정 결과, 200m 공간해상도 모형에서는 비교대상 강우사상에 대해 지표면 조도계수와 토양 투수계수 관련 보정계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추정되었으나, 500m, 1000m 공간해상도 모형에서는 강우사상에 따라 매개변수의 최적 추정 값의 변동이 확인되었다. 초기 포화도는 강우사상 별, 공간해상도 별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200m와 1000m 공간해상도에 대해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다른 공간해상도에 적용한 결과, 1000m 공간해상도에 대해 보정된 매개변수를 200m 공간해상도 모형에 적용하면 첨두 홍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선행토양함수조건(AMC)을 고려한 L-THIA WWW 직접유출 모의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L-THIA WWW Dimet Runoff Estimation with AMC Adjustment)

  • 김종건;박윤식;전지홍;;안재훈;박영곤;김기성;최중대;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4-481
    • /
    • 2007
  • With population grow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ithin the watershed, the hydrologic response changed dramatically, resulting in increases in peak flow with lesser time to peak and total runoff with shortened time of concentration. Infiltration is directly affected by initial soil moisture condition, which is a key element to determine runoff. Influence of the initial soil moisture condition on hydrograph analysis should be evaluated to assess land use change impacts on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characteristics. The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L-THIA) model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direct runoff worldwide. The L-THIA model was applied to the Little Eagle Creek (LEC) watershed and Its estimated direct runoff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BFLOW filtered direct runoff values by other researchers. The $R^2$ value Was 0.68 and the Nash-Sutcliffe coefficient value was 0.64. Also, the L-THIA estim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separated using optimized $BFI_{max}$ value for the Eckhardt filter. The $R^2$ value and the Nash-Sutcliffe coefficient value were 0.66 and 0.63, respectively. Although these higher statistics could indicate that the L-THIA model is good in estimating the direct runoff reasonably well, the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 was not adjusted in that study, which might be responsible for mismatches in peak flow between the L-THIA estimated and the measured peak values. In this study, the L-THIA model was run with AMC adjustment for direct runoff estimation. The $R^2$ value was 0.80 and the Nash-Sutcliffe coefficient value was 0.78 for the comparison of L-THIA simulated direct runoff with the filtered direct runoff. However there was 42.44% differences in the L-THIA estimated direct runoff and filtered direct runoff. This can be explained in that about 80% of the simulation period is classified as 'AMC I' condition, which caused lower CN values and lower direct runoff estimation. Thus, the coefficients of the equation to adjust CN II to CN I and CN III depending on AMC condition were modified to minimize adjustments impacts on runoff estimation. The $R^2$ and the Nash-Sutcliffe coefficient values increase, 0.80 and 0.8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the estimated and filtered direct runoff decreased from 42.44% to 7.99%.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e AMC needs to be considered for accurate direct runoff estimation using the L-THIA model. Also, more researches are needed for realistic adjustment of the AMC in the L-THIA model.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임하댐 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전망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Imha-Dam Watershed Hydrologic Cycle under RCP Scenarios)

  • 장선숙;안소라;조형경;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6-169
    • /
    • 2015
  • 본 연구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임하댐 유역($1,355.5km^2$)을 대상으로 RCP(AR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수문순환 영향을 평가하였다. 3지점의 실측된 유출량을 활용하여 모형의 보정(2002~2007년) 및 검증(2008~2013년)을 실시하였다. 검 보정 결과 결정계수($R^2$)는 0.70~0.85로, Nash-Sutcliffe 모형 효율(NSE)은 0.67~0.82로 분석되어 신뢰성 있는 유출량 모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HadGEM3-RA 모형의 RCP 4.5 및 8.5 시나리오를 수집하여, 과거 34년(1980-2013, baseline period)의 기상자료를 기준으로 편이보정(Bias Correction)하여 SWAT모형에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분석 결과 강수량과 평균기온이 10.8%, $4.9^{\circ}C$ 증가하였으며, 강수량과 기온의 증가로 증발산 11.2%, 토양수분 1.9%, 지표유출 10.0%, 중간유출 12.1%, 회귀유출 18.2%이 각각 증가함에 따라 총 하천유출량이 11.2% 증가하였다.

Analysis of Land Use Change Impact on Storm Runoff in Anseongcheon Watershed

  • Park, Geun-Ae;Jung, In-Kyun;Lee, Mi-Seon;Shin, Hyung-Jin;Park, Jong-Yoon;Kim, Seong-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al impact due to temporal land cover change by gradual urbanization of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cheon. WMS HEC-1 was adopted, and OEM with 200 m resolution and hydrologic soil group from 1:50,000 scale soil map were prepared. Land covers of 1986, 1990, 1994 and 1999 Landsat TM images were classified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watershed showed a trend that forest & paddy areas decreased and urban/residential area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four selected years. The model was calibrated at 2 locations (Pyeonglaek and Gongdo) by comparing observed with simulated discharge results for 5 summer storm events from 1998 to 2001. The watershed average CN values varied from 61.7 to 62.3 for the 4 selected years. To identify the impact of streamflow by temporal area change of a target land use, a simple evaluation method that the CN values of areas except the target land use are unified as one representative CN value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method, watershed average CN value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paddy, forest and urban/residential, respectively.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 2. 물수지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상류 유역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 (On the Change of Hydrologic Conditions due to Global Warming : 2. An Analysis of Hydrologic Changes in Daehung Dam Basin using Water Balance Model)

  • 안재현;윤용남;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511-519
    • /
    • 2001
  • 1900년대 이후 지구의 대기 중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산업화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인데, 이와 같은 온실가스의 증가는 지구온난화 현상을 야기해서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현상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지규모 수문-대기 모형을 통해 모의된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의 기상 및 수문 특성의 변화를 고려하여 본 연구의 대상 유역으로 선정된 대청댐 상류 유역의 강수량과 기온 변화를 파악하였고, 물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이에 따른 토양함수비, 증발산, 유출량 등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온난화 현상이 심화될 경우 토양함수비가 감소하여, 증발산량은 약간 증가하면서 가을철의 증가와 봄철의 감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되었고, 유출량도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CO_2$배증에 따른 강수량과 유출량의 변동은 건기의 감소와 우기의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CO_2$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 현상이 심화될 경우, 한반도에서는 가뭄과 홍수와 같은 극치 기상이 지금보다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CAT을 이용한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 of LID(Low Impact Development) using the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 장철희;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8-278
    • /
    • 2012
  • 최근 녹색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시 내에서의 물의 순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물의 순환을 고려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법령, 기준, 지침 및 조례 등을 제정하여 물순환을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시설 설치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시설들의 조합이 유역규모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홍수저류지와 침투시설에 대하여 설계하고 시공을 하였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하여 도시 계획 단계에서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별 LID 시설(침투, 저류 등)에 대한 단위 시설의 규모 설계에 그치고 있어 개선 시설이 다중으로 조합되어 분산 계획되었을 경우, 유역 규모에서 물순환의 긍정적인 변화를 판단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도시지역에서의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과 연계된 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독일, 호주 및 미국에서는 STORM, Urban Developer, SUSTAIN(System for Urban Stromwater Treatment, and Analysis INtegratration) 및 SWMM LID(Storm Wastewater Management Model LID) 등의 모형을 출시하고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은 국내의 유역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 저수지 혹은 하천에서의 취수 등과 같이 국내의 복잡한 물순환 형태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물순환 해석모형에 의한 LID 시설을 계획하는 방법은 홍수저감에 국한되어 있고, 하천 유량이나 지하수위 측정 자료가 부족한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유역 물순환 및 도시 개발과 같은 토지이용 변화가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데 있어 제한이 있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LID 시설들이 유역의 물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종합적, 정량적으로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개발 지역의 장기간에 걸친 물순환의 변화를 예측하고 물순환을 개선시키는 대안 시설의 효과를 사전에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김현준 등(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이 개발한 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다. 특히, CAT은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 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대상유역으로는 경기도 Y지구를 선정하였으며 도시개발 시나리오(전원도시 및 산업도시 등)에 따른 LID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도시유형별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 전 후 물순환 변화량 분석 및 LID 시설 계획에 의한 물순환 개선효과를 살펴보면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평균 강우량을 1,271mm라고 할 때 산업도시의 경우 도시 개발 전의 증발산, 직접유출 및 기저유출은 각각 53%, 29%, 19%로 나타났으며 도시 개발 후 35%, 54%, 12%로 직접유출이 개발 전에 비해 86%나 증가하여 개발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ID 시설을 계획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발산, 직접유출, 기저유출이 44%, 34%, 13%로 나타나 도시 개발 후의 왜곡된 물순환 체계가 개발전의 수준과 근접하게 나타나 LID 시설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토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CAT 모형을 사용하여 도시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진단하고,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향후 도시유역에 대한 물순환 정상화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설계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