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aulic Conductivity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9초

미생물 균체의 주입을 통한 토양의 투수계수 감소 (Permeability Reduction of Soils by Biomass Injection)

  • 송영우;김건하;구동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73-283
    • /
    • 1999
  • 박테리아를 토양과 같은 다공성 매질에 주입시키고 적절한 기질과 영양분을 공급시키면 박테리아는 매질의 표면에 부착하여 성장하며 그 결과 공극의 크기가 감소하여 매질의 투수계수가 감소되고 입자간 마찰계수가 증가한다. 본 연구는 투수계수가 비교적 큰 모래와 화강풍화토에 박테리아를 접종, 배양한 후 투수계수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배양된 바이오필름의 내화학성 및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 실험을 통해 대용 차수재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화강풍화토에 박테리아를 접종, 배양한 후 투수계수는 초기치와 비교하여 약 1/50 정도의 감소를 나타냈고, 산성 또는 염기성용액의 침투 이후에도 투수계수의 급격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반복적인 동결-융해후 투수계수가 증가해 바이오필름으로 인한 공극의 폐색이 손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공조건이 시멘트계 고화토의 투수계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Construction Variables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in Low Permeable Applications)

  • 정문경;김강석;우제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7-434
    • /
    • 2000
  •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some selected construction variables that are often encountered in practice. They are initial (or compaction) water content, delayed compaction after mixing, and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Sandy and clayey soils were used. The hardening agent used was a cement based soil stabilizer consisting of 80%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20% of a combination of supplementary materials.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with varying initial water content was, in trend, similar to that of compacted clay.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water content and reached its minimum when compacted wet of optimum water content. Pore size distributions of soil cement at different initial water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he analysis showed that dryer condition led to the formation of larger pores with lesser total pore volume; smaller pores with larger total pore volume at wetter condition.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increased by orders in magnitude when specimen underwent delayed compaction of longer than 4 hours after mixing and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 PDF

간척지 토양의 제염과정중 수리전도도의 변화 (Changes of Hydraulic Conductivity During Desalmization of Reclaimed Tidelands)

  • 구자웅;은종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5-93
    • /
    • 1988
  • This laboratory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salt movement and desalinization effects, using samples of silt loam soil collected in Gyehwado and Daeho reclaimed tidelans, and samples of silty clay loam soil collected in Kimie tideland. Desalinization experiments with gypsum treatment were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of the hydraulicc conductivity with changes of the soil property and the salt concentration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 soils by leaching through the subsufface drainage, and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infl uencing the reclamation of salt affected soil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claimed tideland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sodic soils with the high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and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2. Change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with the amount of leaching water and the leaching time elapsed were affected by the amount of gypsum except exchangeable sodium and clay content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depth of water leached per unit depth of soil (Dw / Ds : X) or the square root of the leaching time elapsed (T $^1$ $^2$ : X) and th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HCr:Y) could be expressed in Y=a . bx. 3. The more exchangeable sodium and clay contents regardless of the amount of gypsum, the more the leaching time was required until a given volume of water was leached through the soil profil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water leached per unit depth of soil(Dw /Ds:X) and the square root of the leaching time elapsed(T$^1$$^2$ :Y) could be described by Y=a . Xb. 4.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influenced to a major degree by the salt concentration provid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below 10 mmhos / cm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 soil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relative electrical conductivity ( ECr : X) and th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HCr:Y) could be expressed in Y=a + b . X-$^1$. 5. In conclusi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leaching requirements and the leaching time elapsed can be estimated when the salt concentration decreases to a certain level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elands, and the results may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salt movement and desalinization effects.

  • PDF

물의 염도가 압축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ater Salinity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Compacted Bentonite)

  • 조원진;김진섭;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9-206
    • /
    • 2011
  • 다양한 건조밀도를 가진 압축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에 물의 염도가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압축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는 벤토나이트의 건조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만,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염도의 증가에 따른 수리전도도의 증가 정도는 벤토나이트의 건조밀도가 낮을수록 더 현저하였다. 건조밀도가 1.0 $Mg/m^3$ 및 1.2 $Mg/m^3$ 인 압축벤토나이트의 경우, 0.4 M NaCl 용액의 수리전도도는 탈염수의 경우에 비해 각각 7배 및 3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1.4 $Mg/m^3$ 보다 큰 건조밀도를 가진 압축벤토나이트의 경우에는,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염도의 영향이 크지 않았으며, NaCl의 농도가 0.04 M에서 0.4 M 인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벤토나이트 시편을 탈염수로 미리 포화시키는 것은 수리전도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포화 수리전도도 추정 (A Prediction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in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 박승훈;윤석;권상기;김건영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3-141
    • /
    • 2020
  •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처분은 고심도 암반내에 처분시스템을 구축하는 심층 처분방법이 고려된다. 심층 처분은 처분용기, 완충재, 뒷채움재, 근계암반의 설계 요소인 공학적방벽과 천연 방벽으로 구성된다. 공학적방벽 중에서 벤토나이트 완충재는 암반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 흐름을 최소화하고 핵종 유출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완충재의 수리전도도 특성 규명은 처분장 공학적방벽의 안정성 및 건전성에 대한 성능 평가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 벤토나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건조밀도와 온도 조건에 따라 포화 수리전도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20개의 실험 결과를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수리전도도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건조밀도가 커질수록 수리전도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리전도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수리전도도 추정식의 결정계수(R2)가 0.93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리전도도 추정식은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성능과 연관된 건조밀도와 온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처분시스템의 공학적방벽 설계에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plant hydraulic conductivity in response to water deficit

  • Kim, Yangmin X.;Sung, Jwakyung;Lee, Yejin;Lee, Seulbi;Lee, Deogba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35
    • /
    • 2017
  • How do plants take up water from soils especially when water is scarce in soils? Plants have a strategy to respond to water deficit to manage water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Plants regulate water transport inside them. Water flows inside the plant via (i) apoplastic pathway including xylem vessel and cell wall and (ii) cell-to-cell pathway including water channels sitting in cell membrane (aquaporins). Water transport across the root and leaf is explained by a composite transport model including those pathways.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in those pathways to change their hydraulic conductivity can regulate water uptake and management. Apoplastic barrier is modified by producing Casparian band and suberin lamellae. These structures contain suberin known to be hydrophobic. Barley roots with more suberin content from the apoplast showed lower root hydraulic conductivity. Root hydraulic conductivity was measured by a root pressure probe. Plant root builds apoplastic barrier to prevent water loss into dry soil. Water transport in plant is also regulated in the cell-to-cell pathway via aquaporin, which has received a great attention after its discovery in early 1990s. Aquaporins in plants are known to open or close to regulate water transport in response to biotic and/or abiotic stresses including water deficit. Aquaporins in a corn leaf were opened by illumination in the beginning, however, closed in response to the following leaf water potential decrease. The evidence was provided by cell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ement using a cell pressure probe. Chang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plant organ such as root and leaf has an impact not only on the speed of water transport across the plant but also on the water potential inside the plant, which means plant water uptake pattern from soil could be differentiated. This was demonstrated by a computer simulation with 3-D root structure having root hydraulic conductivity information and soil. The model study indicated that the root hydraulic condu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water uptake from soil with suboptimal water, although soil hydraulic conductivity also interplayed.

  • PDF

불포화 균열 혼펠스의 현장 수리전도도와 반 게누텐 매개변수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In-situ Hydraulic Conductivity and Van Genuchten Parameters of Unsaturated Fractured Hornfels)

  • 정재열;조현진;김수진;옥순일;김구영;함세영
    • 지질공학
    • /
    • 제30권2호
    • /
    • pp.147-160
    • /
    • 2020
  • 지표 미고결퇴적층의 불포화 수리전도도는 지표 퇴적층의 물리적 성질과 함수비에 좌우된다. 지금까지 지표 미고결퇴적층의 불포화 수리전도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불포화 균열암반에 대한 수리전도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은 편이다. 중·저준위 방폐물의 표층처분시설 건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사성폐기물 처분부지 내 균열 혼펠스 암반에 대하여 반 게누텐 불포화함수(α, n)와 현장시험에서 얻어진 수리전도도를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현장수리시험과 실내수리시험이 동시에 이루어진 지하수공 3공의 10개 구간에 대한 현장 수리전도도와 반 게누텐 매개변수에 대한 상관성 분석 결과, 현장 수리전도도와 매개변수α의 상관계수는 0.7607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현장 수리전도도와 반 게누텐 형상관련 매개변수 n의 상관계수는 -0.8720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불포화 균열 혼펠스에서 현장수리전도도와 실내수리시험에 의한 불포화함수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로그분포모형을 이용한 토양입도분포로부터의 불포화수리전도도 추정

  • 황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99-101
    • /
    • 2003
  •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model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numerical modeling of water flow and contaminant transport in soils. In this study, a simple hydraulic conductivity model is developed by using information of particle-size distribution from the lognormal distribution model and its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Kosugi-Mualem (KM) model.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odel is verified for observed data chosen from the international UNSODA databa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produces adequate predictions of hydraulic conductivities. Performance of this model is generally better than the KM function.

  • PDF

매립지 침출수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반응성 차수재 개발

  • 이현주;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95-398
    • /
    • 2003
  • Geosynthetic Clay Liners(GCLs) have been widely used as hydraulic barrier in landfills and remediation projects of contaminated sit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odify GCLs for effective removal of contaminants. We perform the free swell test, hydraulic conductivity test, and contaminants (TCE, hexavalent chromium, and nitrate) removal test on the bentonite-ZVI mixture with various ZVI content. As the ZVI content increased, contaminants removal efficiencies and swell volume increased, and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d.

  • PDF

여수 북부지역 화산암의 단열특성과 수리전도도와의 관계 (The Relation of Fracture Properties to Hydraulic Conductivity in Volcanic Rocks of the Northern Yosu Area)

  • 조성일;송무영;김경수;이은용
    • 지질공학
    • /
    • 제9권3호
    • /
    • pp.227-241
    • /
    • 1999
  • 단열암반 내의 지하수 흐름은 단열의 분포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수리전도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인자로서 단열 틈의 크기와 단열 교차빈도가 고려된다. 본 연구는 여수반도 북부지역의 화산암에 분포하는 단열의 간격과 틈의 크기에 대한 확률밀도함수의 유형과 단열의 분포특성이 수리전도도 값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열의 분포특성은 core logging과 초음파주사 검층을 통하여 조사되었으며, 일정구간별 수리전도도는 이중패커를 이용한 정압/압력강하 시험으로서 산출되었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단열간격과 단열조별 틈의 크기는 대수정규분포를 나타내지만, 개구성 단열 틈의 크기는 정규분포에 가깝다. Core logging에 의한 투수성 단열, 텔레뷰어 검층에 의한 개구성 단열군, 그리고 Set 1에 속하는 단열들이 교차되는 수리시험 구간에서는 수리전도도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열암반의 수리전도도는 투수성 단열 틈의 크기에 1차적인 영향을 받으며 단열의 교차정도 및 크기에 2차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