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substructur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받침배치에 따른 연속 플레이트 거더 사교의 지진거동 변화 (Variation of Seismic Behavior of Continuous Skew Plate Girder Bridg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earings)

  • 문성권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24-135
    • /
    • 2011
  • 연속교의 교대부와 교각부에 설치되는 받침 용량은 통상적으로 각 지점에 작용하는 최대수직반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교각부에 더 큰 용량의 받침이 위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격리장치가 적용된 세 가지 받침배치에 따른 사교의 지진거동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연속 사교의 지진성능 향상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기존 받침배치(Case A)를 기준으로 교각부에 설치되는 납고무받침(LRB)의 수평강성에 변화를 주어 세 가지 받침배치(Case A, Case B, Case C)를 선정하였다. 납고무받침 자체의 감쇠효과가 고려된 hybrid response spectrum을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해석을 수행하여 총 36개의 연속 플레이트 거더 사교들의 지진거동을 조사하였다. 해석결과 교대부에 설치된 LRB와 유사한 수평강성 또는 작은 수평강성을 가진 LRB를 교각부에 설치할 때 훨씬 바람직한 사교의 지진거동이 유발되었다. 즉, 교각부에 설치되는 LRB의 수평강성 변화는 사교의 고유진동주기를 길게 하고 모드형상에 변화를 유발시켜 전체밑면전단력과 교각부에서의 최대밑면전단력 그리고 거더에 걸리는 응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비록 하부구조의 유연성이 증가할수록 받침배치 변경에 따른 지진거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다소 감소되지만, 10m 미만의 교각 높이를 가지면서 지진격리받침(LRB)이 설치된 연속 플레이트 거더 사교의 경우 제안된 받침배치는 지진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Real-time hybrid simulation of a multi-story wood shear wall with first-story experimental substructure incorporating a rate-dependent seismic energy dissipation device

  • Shao, Xiaoyun;van de Lindt, John;Bahmani, Pouria;Pang, Weichiang;Ziaei, Ershad;Symans, Michael;Tian, Jingjing;Dao, Thang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4권6호
    • /
    • pp.1031-1054
    • /
    • 2014
  • Real-time hybrid simulation (RTHS) of a stacked wood shear wall retrofitted with a rate-dependent seismic energy dissipation device (viscous damper) was conducted at the newly constructed Structural Engineering Laboratory at the University of Alabama.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RTHS focusing on the controller scheme development. An incremental approach was adopted starting from a controller for the conventional slow pseudodynamic hybrid simulation and evolving to the one applicable for RTHS. Both benchmark-scale and full-scale tests are discussed to provide a roadmap for future RTHS implementation at different laboratories and/or on different structural systems. The developed RTHS controller was applied to study the effect of a rate-dependent energy dissipation device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multi-story wood shear wall system. The test specimen, setup, program and results are presented with emphasis given to inter-story drift response. At 100% DBE the RTHS showed that the multi-story shear wall with the damper had 32% less inter-story drift and was noticeably less damaged than its un-damped specimen counterpart.

Adaptive compensation method for real-time hybrid simulation of train-bridge coupling system

  • Zhou, Hui M.;Zhang, Bo;Shao, Xiao Y.;Tian, Ying P.;Guo, Wei;Gu, Quan;Wang, Ta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3권1호
    • /
    • pp.93-108
    • /
    • 2022
  • Real-time hybrid simulation (RTH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train-bridge interaction of a high-speed railway system, where the railway bridge was selected as the numerical substructure, and the train was physically test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substructures was reproduced by a servo-hydraulic shaking table. To accurately reproduce the high-frequency interaction responses ranging from 10-25Hz using the hydraulic shaking table with an inherent delay of 6-50ms, an adaptive time series (ATS) compensation algorithm combined with the linear quadratic Gaussian (LQG) wa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the RTHS. Testing cases considering different train speeds, track irregularities, bridge girder cross-sections, and track settlements featuring a wide range of frequency contents were conduc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TS+LQG delay compensation method was compared to the ATS method and RTHS without any compensation in terms of residual time delays and root mean square errors between commands and responses. The effectiveness of the ATS+LQG method to compensate time delay in RTHS with high-frequency responses was demonstrated and the proposed ATS+LQG method outperformed the ATS method in yielding more accurate responses with less residual time delays.

치과 CAD/CAM용 Nano Hybrid Ceranic 소재를 이용한 심미 치과보철물의 제작 (A Making of Aesthetic Dental restorations with Nano Hybrid Ceramic material by CAD/CAM System)

  • 최범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8-108
    • /
    • 2016
  • 전통적인 Metal-ceramic 보철 제작 방식으로부터 All-ceramic 보철에 이르기까지 최근 신소재 개발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심미적인 욕구일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각각의 치과용 수복 재료는 재료 별로 강도, 인성, 기계 가공의 효율성 및 사용에 필요한 다양한 과정을 기반으로 임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Glass ceramic과 같은 단일 소재의 경우 약한 물성을 고려하여 주로 싱글 크라운과 같은 간단한 보철에 사용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파괴 인성을 가진 지르코니아 재료의 경우 싱글 크라운은 물론 브릿지의 제작에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르코니아 재료는 제작 과정에서 긴 Sintering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Chair side에서 빠른 보철물 제작에 쉽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주로 Lab. side에서 사용하고 있다. CAD / 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용도로 개발 된 Hybrid ceramic 소재는 Resin Nano Hybrid Ceramic이라고도 하며, 개선 된 물성을 포함한 나노 세라믹 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심미적이며 기능적인 보철물의 제작이 용이한 과정과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향상된 내구성을 바탕으로 보철물의 제작 과정에 유리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Nano Hybrid Ceramic 재료는 Composite Resin과 Glass ceramic과 같은 단일 소재들이 가진 장점들을 이용하여 술자들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오랜 연구를 통해 개발된 치과 수복 아이템이며 Nano ceramic filler가 혼합된 구조로 되어있어 치과 수복용 복합소재로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Nano Hybrid Ceramic소재는 Composite resin의 가공 과정에서 쉽게 파절되지 않는 개선된 물성과 Glass ceramic이 가진 심미성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Chair side와 Lab. side에서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때 임상적용이 쉽고 유용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강 뼈대 구조물의 단자유도 하이브리드 동적 실험 (Single Degree of Freedom Hybrid Dynamic Test with Steel Frame Structure)

  • 김세훈;나옥빈;김성일;이재진;강대흥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13-421
    • /
    • 2012
  • 하이브리드 실험은 구조물의 거동을 수치해석 모델과 물리적 부분구조 모델로 나누어 동시에 수행되는 실험법으로써 본 논문에서는 지진하중에 의한 1경간 2층 강 뼈대 구조에 대한 하이브리드 시험을 수행하였다. 1층 기둥 1개소를 물리적 부분구조모형으로 선택하고, 한 개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수평방향으로 변위를 가하여 수치해석과 하이브리드 실험결과 사이의 거동추이를 분석하였다. 입력 지진데이터로는 El Centro를 사용하였으며, OpenSees를 이용하여 강구조물의 선형 또는 비선형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형해석은 수치해석과 하이브리드 응답형상이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비선형 해석은 재료 비선형성에 의한 영구변형의 차이는 발생하였으나 최대변위 및 전체응답형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실험 소요시간은 실제 가진 시간에 약 9.6%의 속도로 현재 국내에서 수행된 실험 중 가장 실시간에 근접한 실험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하이브리드 실험은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는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공간적, 경제적 제약이 있는 진동대 실험을 대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역투사 알고리듬과 비촛점 트랜스듀서를 적용한 광음향 단층영상 장치개발과 팬텀실험 (Phantom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Photoacoustic Tomography Imaging System using Un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and Back-Projection Algorithm)

  • 유상훈;김도현;송철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12호
    • /
    • pp.2349-2351
    • /
    • 2010
  • Photo Acoustic Tomography (PAT) is a hybrid imaging modality which combines high contrast of optical imaging and spatial resolution of ultrasound imaging, thus it is suitable to image biological tissue noninvasively. Laser-induced photoacoustic signals were measured from a sample by means of an un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then PAT image was reconstructed based on a universal back-projection algorithm.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our system, phantom test was performed, consequently, the PAT images obtained using our system showed highly analogous shape and volume with those of the phantom.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our system can provide a powerful tool for imaging the substructure of biological tissue in non-invasive manner.

A Coupl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dependently Modeled Substructures by Penalty Frame Method

  • Maenghyo Cho;Kim, Won-Bae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201-1210
    • /
    • 2002
  • A penalty frame method is proposed for the coupled analysis of finite elements with independently modeled substructures. Although previously reported hybrid interface method by Aminpour et al (IJNME, Vol 38, 1995) is accurate and reliable, it requires non-conventional special solution algorithm such as multifrontal solver. In present study, an alternative method has been developed using penalty frame constraints, which results in positive symmetric global stiffness matrices. Thus the conventional skyline solver or band solver can be utilized in the solution routine, which makes the present method applicable in the environment of conventional finite element commercial software. Numerical examples show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method.

INTRODUCTION OF SPARK EROSION

  • 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2-411
    • /
    • 2000
  • The dental profession is currently experiencing a technology explosion. Processes are being replaced by modern, inexpensive, and precise techniques that can be used to solve complex restorative problems.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EDM, known as spark erosion in Europe) is a nonconventional, industrial technique that has application in dentistry. EDM may be defined as a metal removal process using a series of sparks to erode material from a workpiece in a liquid medium under carefully controlled conditions. EDM is recently adopted in the dental laboratory to fabricate precision attachments, hybrid tele-scope crowns, Ti-ceramic crowns. EDM has also been used to achieve a passive precision metal-to-metal fit between the substructure bar and the removable superstructure and to correct the fit of implant retained restorations. In this article, a brief history and explanation of EDM is discussed and a description of the use of this process for fabricating attachments and crowns or for correcting the fit of cast restorations is presented.

  • PDF

하이브리드 실험법을 이용한 TLD가 설치된 건물의 지진응답 제어 (Earthquake Response Control of a Building with a Tuned Liquid Damper Using Hybrid Experiment Method)

  • 이성경;이상현;민경원;박은천;우성식;정란;윤경조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27-534
    • /
    • 2006
  • A real-time hybrid method, in which the experimental implementation and the numerical computation of a structure a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in real-time and combined on-line, has been used as a dynamic testing technique of structure to investigate its dynamic behaviors.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hybrid method, which implements the earthquake response control of a building structure with a TLD by using only a TLD as an experimental part, is proposed and is experimentally verified through a shaking table test. In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whole building structure with a TLD is divided into the upper TLD and the lower structural parts as experimental and numerical substructures, respectively. At the moment, the control force acting between their interface is measured from the experimental TLD with shear-type load-cell which is mounted on shaking table. Shaking table vibrates the upper experimental TLD with the response calculated from the numerical substructure, which is subjected to the excitations of the measured interface control force at its top story and an earthquake input at its bas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both a TLD and a building model are physically manufactured and are tested, can be replaced by the proposed methodology with a simple experimental installation and a good accuracy for evaluating the control performance of a TLD.

  • PDF

HFC-CATV 망에서 동적 우선순위 충돌해결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Study on Dynamic Priority Collision Resolution Algorithm in HFC-CATV Network)

  • 이수연;정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5호
    • /
    • pp.611-616
    • /
    • 2003
  • 최근 HFC(Hybrid Fiber Coax) CATV 망이 초고속망의 하부구조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HFC-CATV 망의 상향채널은 가입자에서 헤드엔드로 데이터 전송시 500가입자 이상이 공유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음성, 비디오 그리고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 QoS(Qualif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서비스별로 우선순위를 고려한 알고리즘이 요구되어진다. IEEE 802.14에서 제안된 우선순위 기반 3진 트리(Ternary tree)알고리즘은 정적 PNA(Priority New Access) 슬롯 구조를 가진다. 이 방법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트래픽의 요구 지연(request delay)이 높게 유지되며 서로 다른 우선순위 트래픽의 요구 경쟁 확률이 동일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적 PNA(Priority New Access) 슬롯 구조를 제안하여 높은 우선순위 트래픽의 요구지연을 낮게 하고 새로운 스테이션에 대해 우선순위 별로 경쟁 확률을 다르게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동일한 조건하에 두 알고리즘에 대해 요구지연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동적 PNA 우선순위 충돌해결알고리즘이 정적 PNA 우선순위 충돌해결알고리즘보다 낮은 요구지연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