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yemgyeo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수창판(壽昌版) 계열 삼본(三本) 화엄경'의 판본 연구 (A Study on the Books of 'Sambon Hwayemgyeong of Suchangpan Series')

  • 유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61-277
    • /
    • 2013
  • 본 연구는 '수창판(壽昌版) 계열 삼본(三本) 화엄경'의 판본을 전체적으로 상호 비교 고찰하여, 이들 판본의 간행시기와 판본 간의 계통 및 저본 관계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수창판(壽昌版) 계열 삼본(三本) 화엄경'의 판본은 '11세기본'(초간본 추정), '수창사년본(壽昌四年本)(1098)' 및 '숙종연간본(1096-1105)', '12-13세기본', '해인사사간본(海印寺寺刊本)(12~13세기)' 등 네 가지 종류로 정리되었다. 이 가운데 특히 '11세기본'(초간본 추정)은 종래 '원나라 판본', '12세기본' 혹은 '거란(또는 서하) 계통 판본의 복각본', '숙종연간본(1096-1105)' 등으로 이해되었던 판본이다.

고려(高麗)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 나타난 교정(校正)의 흔적(痕迹) (Traces of Revision are in the Vol.60 Abstract of Tripitaka Koreana Hwayemgyeong)

  • 유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37
    • /
    • 2008
  • 본고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판각(板刻)이 완료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을 하여 보각(補刻)한 흔적(痕迹)을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서 찾아내어 분석한 것이다. 문제의 교정 흔적은 "건립지혜당(建立智慧幢) 견고불동요(堅固不動搖) '지(知)'천변화법(天變化法) 이현변화사(而現變化事)"의 내용 가운데 '지(知)'자(字)에서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 문제의 '지(知)'자(字)는 여타의 문자보다 상당히 크고 묵색(墨色) 또한 다른 글자보다 매우 진했다. 이 현상에 의거해서 필자는 이 '지(知)'자(字)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판각(板刻)이 완료(完了)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되어 보각(補刻)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교정이 상당히 완벽했음을 입증해 주는 하나의 단서가 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