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po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조선 화포(花布) 문양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Design Using Joseon Hwapo (Flower Cloth) Patterns)

  • 오하타 에미이;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1호
    • /
    • pp.68-9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modern patterns based on considering the types and design elements of Joseon hwapo patterns containing Korean identity, and to develop costume designs by applying design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dress, Hanbok. These designs combine traditional costumes with modern sensibility using the attribute listing method, and present them using a 3D virtual clothing program.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as it organizes data on Joseon hwapo patterns, which were rarely dealt with in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research, and it is also of research value as it is a work that utilizes Joseon hwapo patterns as a new source of fashion design development.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documents, 'Nabeshima-sarasa hidensho', 'Nabeshima-sarasa mihoncho', and 'Zoho kafu benran', which are related to Joseon hwapo remaining in Japan.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research was performed by creating pattern design and costume design using the attribute listing method, and 3D virtual cloth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s used in design development in this study were saekdong-jeogori, dolddi-jeogori, magoja, hongjangsam, durumagi, jungdan, gollyongpo, jeogui, breast band, mujigi-chima, chima, and baji. Further, accessories used in each costume, such as pyeseul, daedae, hapi, and jeonhaeng-utchima, and features of configurations, such as yongbo, chest ribbons, band hem, gusset, collar and dongjung, heorimalgi, neckline, and sapok line, were used for design development.

HGM을 이용한 화포천 습지의 기능평가 (Assessment of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using Hydrogeomorphic Approach)

  • 윤선화;김덕길;김형수;곽재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53-60
    • /
    • 2010
  • 습지는 종 다양성이 높고 영양물질이 풍부하며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서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습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평가 방법중 하나인 HGM (Hydrogeomorphic)을 적용하여 화포습지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HGM방법은 하나의 기준습지를 선정한 후 대상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습지의 기능을 지수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화포천 습지의 기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우포늪과 비교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기능지수의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포천 습지가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식처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보전 및 관리를 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류하천의 상·하류 수질변화 비교: 낙동밀양 중권역 내 계성천 화포천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Changes in Upstream and Downstream Water Quality of Tributary Rivers: Gyeseong-stream and Hwapo-stream in Nakdongmiryang Watershed)

  • 심규현;김경훈;김성민;김용석;김진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5-452
    • /
    • 2020
  • Tributary is a part of life space for people and a very important place that accommodates rest recreation and other daily activities. absolutely insufficient basic data about water quality and flow rate are available for basin management. Efficient water and basin management systems, which are also supported by local residents can be established by securing such basic data of major tributarie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In this study, the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upstream and downstream water pollution levels were compared using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water environment measurement network and the tributary monitoring project for the gyeseong-stream and Hwapo-stream in the Nakdong-miryang watershed. In 2017, when water pollution is the high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nnual average rainfall was the lowest. Although the upstream and downstream water quality tendencies of the Gyeseong-stream are similar, the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of the Gyeseong-stream are relatively different. But although the Hwapo stream has various causes of pollution,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lu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reams. In addition, both rivers need the ability to purify rivers by securing sufficient water for river maintenance, and if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items can be inferred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tributaries where the aspect of water quality change is unclear, water quality management Determined to be efficient operation.

낙동강 일대와 중부 지역 주요 습지의 토양종자은행 분석 (The Analysis of Soil Seed Bank at Major Wetlands in Nakdong River Basin and Central Korea)

  • 주은정;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7-9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oil seed banks at major wetlands in Nakdong river basin and central korea and to investigate how soil seed banks relate to aboveground vegetation and soil texture. In 2005, we sampled seed banks at Baksil reservoir, Jillal marsh, Deapyeng marsh, Hwapo marsh, Upo marsh and Junam reservoir in Nakdong river basin and Osan stream and Amsa-dong in Seoul. The soil seeds were estimated with the emergence method from April to October. Total numbers of species at the seed banks were 33 at Baksil, 18 at Daepyeong, 35 at Jillal, 56 at Upo, 32 at Hwapo, 47 at Osan stream, 54 at Amsa waterside, 31 at Amsa meadow. The species diversity in the soil seed banks of Upo marsh was the highest as 0.95. The community overlap index that compares aboveground with underground vegetation is high in the Upo marsh (0.34), Jilla marsh (0.36), and Osan stream (0.27). Soil texture affected distribution of 8 species, Lindernia procumbens, L. attenuata, Arenaria serpyllifolia, Juncus effusus, Persicaria thunbergii, Eragrostis multicaulis, Cyperus nipponicus, Scirpus fluviatilis. Considering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soils at Amsa meadow, Hwapo marsh and Osan stream have worth to use for wetland restoration.

낙동강 화포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wapo Wetland in Nakdong-gang)

  • 오경환;손성곤;이팔홍;김철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7-81
    • /
    • 2003
  •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the Hwapo wetland around the Nakdong-gang, Gimhae-city, Gyeongsangnam-do, Korea from May to August, 2001.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18 communities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map: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ommunity, Zizania latiofolia community, Cyperus amuricus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az-Misaz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Cyperus amuricus-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community, 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Persiazria maackiana community, Trapa japonica-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 community, Potamogeton crispus community, and Populus deltoides community. Among them,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the largest (34.9 ha, 29.53%).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as Persiazria hydropiper - Persicaria maackiana community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was classified into four subcommunities: Phalaris arundinacea-Salix nipponica sub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sub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subcommunity, and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group belongs to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 PDF

LC-HRMS 기반의 표적, 추정 및 비표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화포습지 내 미량오염물질 및 대사체 분석 (Analysis of Micropollutants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Hwapo Wetland through Target,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Using LC-HRMS)

  • 황수민;전준호
    •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 /
    • 제21권4호
    • /
    • pp.304-315
    • /
    • 2018
  • Located in Gimhae, Hwapo is the biggest riverine wetland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sam-do, Korea, and is a major habitat for various species.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various pollutants enter the wetlands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organic pollutants in this wetland and their sourc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during one summer season. Forty-five substanc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arget screening, and other non-selected compounds were screened using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methods. The results were that 21 and 17 targeted substances were detected in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Major pollutants in July and August were oxadiazon (July: 17-220 ng/L, August: 66-460 ng/L), carbendazim (July: 10-110 ng/L, August: 64-520 ng/L), caffeine (July: 33-1,100 ng/L, August: 56-580 ng/L), and niflumic acid (July: 23-75 ng/L, August: 42-290 ng/L). Sampling sites S4 in July and S2 in August were the major inflow points. Ten substances (tricyclazole, hexaconazole, diuron, fexofenadine, irbesartan, simetryn, cimetidine, valsartan, tebuconazole, and benzotriazole) and four metabolites (valsartan acid, azoxystrobin acid, TEB_M324c, and 2-aminobenzimidazole) were tentatively identified through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respectively.

조선시대 반포(斑布)의 의미와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Types of Banpo [斑布] during the Joseon Dynasty)

  • 이지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64-183
    • /
    • 2020
  • 조선시대 직물 문화에 있어, 반포의 역사는 단편적이며 공백이 많다. 문헌 기록이 적은 것이 주요한 이유지만, 현재 그 실체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점도 크다. 반포는 무명의 한 종류이지만,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직물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반포는 얼룩이나 반점을 의미하는 반(斑)자와 직물을 의미하는 포(布)자가 결합한 단어이다. 백색 담론의 경계에서 반포는 연구 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반포를 통해 조선시대 직물 문화의 일부를 복원하는 시도이다. 반포는 단순히 조선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의 직물 문화와 교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반포의 기록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포의 기록은 조선 초기 세조, 성종 때 보이며, 반포의 제작과 실제 사용이 확인된다. 반포는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으나 현재는 단절되었다. 반포는 오색으로 면실을 물들여 짜는 사염 직조물로 고대 동남아시아에서 출현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반포와 유사한 형식으로 호, 섬, 침 등의 직물이 있다. 특히 반포와 호의 상관관계는 조선시대 반포를 이해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둘째, 중국·일본의 문헌 기록과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반포의 의미 변화와 전개를 조명하였다. 반포의 등장과 발전은 동아시아에 면화가 도입되는 시기와 맞물려 움직인다. 동아시아에서 면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생산되는 시기인 송말원초 시기에 반포의 의미는 다변화한다. 중국에서는 명대를 기점으로 반포의 명칭이 화포, 기자포, 기자화포 등으로 바뀐다. 일본은 면의 도입이 늦은 만큼 변화된 의미가 수용되었고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반포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지만, 같은 형식의 류조 직물이 확인된다. 이 류조는 호, 화포와 같은 개념으로 후대에는 호로 통합된다. 호, 화포, 반포 등과 같은 명칭은 나라마다 쓰임이 다를 뿐 동아시아에서 사염 직조물이라는 형식은 공유되었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반포의 의미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격자와 줄무늬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최근까지 전승되었지만 단절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가 반포의 복원과 전승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Water Quality of a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 안창혁;권재형;주진철;송호면;조경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1-429
    • /
    • 2012
  • 본 연구는 화포천 수질 현황을 제시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연구에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류에서는 step-pool 형태의 14개의 보로 인해 하천수가 저류되었고 주거단지 및 농경지를 지나면서 생활하수와 관개용수 등의 오염물 유입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체구역의 하상에서 사상성 남조류인 Oscillatoria 군락이 번무하였으며 하천의 중 하류에서는 고모천(T3), 용덕천(T8)과 같이 N, P가 높은 고농도 지류가 유입되는 등 본류 수질을 악화시켰다. 화포천은 하류로 갈수록 DO가 감소하고 SS가 증가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긴 체류시간과 SS, COD, $NH_4{^+}$가 화포천에서 중요한 수질인자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습지에서 하상 유기물 농도가 높고 부착조류가 풍부한 점도 본류 수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포천 수질은 공간적으로 보가 있는 구간에서 농도가 상승하였고 하류의 습지에서는 일정하거나 소폭 감소하였다.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영양염 농도가 높았으나 여름에는 유기물 농도가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은 6월에 보와 습지 등 정체구간에서 높게 나타난 점을 제외하면 전 구간에서 $40{\mu}g\;chl-{\alpha}/L$ 이하로 나타났다.

낙동강수계 지류 수질자료를 통한 수질개선 우선순위 선정 (Priority Selec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Water Quality Data of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 심규현;신상민;김성민;김용석;김경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4-372
    • /
    • 2020
  • The "Master Plan for the Revitalization of Water in the Nakdong River" is designed for the fundamental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The water quality and flow of the Nakdong River system tributaries was monitored in this study. Among the living environmental standard parameters of 195 rivers,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T-P (Total phosphorus) and TOC (Total organic carbon) were assessed to analyze the water quality from 2012 to 2019. We examined the role of TOC. It was found that 12 rivers exceeded the water quality of the second grade (3.0 mg/L BOD standard, 0.1 mg/L T-P standard, 4.0 mg/L TOC standard) based on BOD and T-P concentrations: the Gumi stream, Gisegok stream, Yongha stream, Yongho stream, Changnyeong stream, Gajwa stream, Gwangok stream, Yeongsan stream, Toerae stream, Hwapo stream, Sangnam stream and Hogye stream. These rivers require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Based on the ongoing projec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Master Plan for the Revitalization of Water in the Nakdong River" and manage it after verifying it as a component of people's life and therefore used to establish water quality control measures.

습지지표종으로서 딱정벌레류를 이용한 부산, 경남 주요 습지의 특성 및 변화 관찰 (Application of the Carabid Beetles as Ecological Indicator Species for Wetland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 도윤호;문태영;주기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29
    • /
    • 2007
  • 습지의 서식지 특성 및 환경 지표종을 찾기 위해 부산과 경남에 위치한 습지 유형이 다른 하천습지, 산지습지, 하구습지에서 딱정벌레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딱정벌레과, 먼지벌레과, 폭탄먼지벌레과에 속한 22속 28종이 채집되었고, 종 다양성은 하천습지(우포늪, 화포늪), 산지늪(재약산늪), 하구습지(낙동강하구) 순으로 나타났다. 딱정벌레류의 종조성은 각 습지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났는데(${\chi}^2=1716.8$, P<0.01), 하천습지와 산지늪이 가장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습지를 대표하는 $2{\sim}6$종의 딱정벌레류를 지표종으로 선출하였는데, 지표종들은 토성과 토양습도, 인위적 환경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습지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생활사나 먹이특성 등딱정벌레류의 각종별로 자세한생태적 특성이 연구되면 지표종으로 딱정벌레류를 일반화하여 여러 서식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