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化)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소문(素問).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의 기전화(氣轉化) 과정(過程)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Gi(氣) Conversion in "Somun(素問).Eumyang-eu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4
    • /
    • 2009
  • In this study, we try to solve some issues of Gi(氣) conversion in "Somun(素問) Eumyang-eu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through comparison of related annotation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again review the cognition of movement and changes of Gi(氣),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Oriental medicine, so to have a chance to criticize a view of the world in western science, excessively leaned to material viewpoint. In the process of Gi conversion, the creation of Jeong(精),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is the last goal, but physical element for example Mi(味, taste) or Hyeong(形, shape) could not be directly converted to Jeong(精) without Gihwa(氣化, vaporization) and circulation of Gi(氣). And who controls conversion to Jeong(精) is human spirit, that joins with Jeonggi(精氣), it has been kept in and come from Jeong(精). That spirit based on Jeong manages the whole process of Gi conversion.

  • PDF

중풍(中風)의 담인설(痰因說)에 대한 고찰(考察) (The Literature Rearches on "Dam-eum(痰飮)", resulted in Stroke)

  • 정완우;이원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33-144
    • /
    • 1999
  • 담음(痰飮)은 질병(疾病)의 경과중에 발생되는 병리적(病理的)인 산물(産物)로, 담음(痰飮) 자체가 질병(疾病)의 원인(原因)이 될 수 있으며, 질병(疾病)의 결과물로 생길수도 있다. 저자는 <내경(內經)> 이후의 역대(歷代) 문헌(文獻) 고찰(考察)을 통해 담음(痰飮)이 중풍(中風)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담음(痰飮)과 진액(津液)의 관계, 진액(津液)과 뇌(腦)의 관계, 담음(痰飮)과 어혈(瘀血)의 관계 등을 연구하였다. 담음(痰飮)은 칠정(七情)의 부조(不調), 정기휴손(精氣虧損), 음식실조(飮食失調), 외감육음(外感六淫), 체질적(體質的) 소인(素因)등의 인자(因子)로 인해 발생되어 열담(熱痰), 풍담(風痰), 습담(濕痰)으로 화(化)하고 장부(臟腑) 경락(經絡)에 울체(鬱滯)하여 기혈(氣血)의 순환을 막아 중풍(中風)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담음(痰飮)은 진액(津液)으로부터 형성되고, 진액(津液)은 기체(氣滯), 화울(火鬱), 한응(寒凝)의 병리과정(病理過程)을 통하여 담음(痰飮)으로 전화(轉化)되며, 뇌(腦)는 진액(津液)의 자윤(滋潤)과 충양(充養)에 의해 그 기능을 유지한다. 따라서 진액(津液)이 담음(痰飮)으로 전화(轉化)되어 기혈운행(氣血運行)을 막으면 뇌(腦)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음(痰飮)과 어혈(瘀血)의 관계를 보면 담음(痰飮)은 어혈(瘀血)과 병리변화(病理變化)에 있어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중풍발생(中風發生)에 있어서 담음(痰飮)이 어혈(瘀血)에 선행(先行)하거나, 어혈(瘀血)이 먼저 형성된 후에 담음(痰飮)이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겸(兼)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