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 value

검색결과 802건 처리시간 0.035초

청국장의 물성 변환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Chungkook-jang)

  • 이부용;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8-484
    • /
    • 1991
  • B. natto, B. subtilis이 두 가지 균주를 단독 또는 혼합균주로 발효시킨 청국장의 일반성분 및 효소활성을 조사하여 아미노태 질소량이나 수용성단백질 함량, 효소활성능이 높게 나타난 발효조건의 청국장 건조시킨 뒤 일정한 입자크기로 선별한 분말에 대해 수분함량과 유지의 종류와 양을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 spread의 점도, 퍼짐성, 색도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spread의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점도는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향상되었으며, 색도 중 L값이 증가하였다. 유지를 첨가하여 spread를 제조했을 때에는 수분첨가시와 반대로 점도가 증가하여 퍼짐성이 감소하였으며, 색도 중 L값도 감소하였는데, 특히 콩기름보다 팜올레인유 첨가시 점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다. 청국장 spread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는 감소하여 퍼짐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온도에서 청국장 Spread 점도는 B. natto 혼합균주, B. subtilis를 접종한 순으로 증가하였다.

  • PDF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in Fish Burger by Addition of Squid Viscera Oil)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8-322
    • /
    • 1997
  • 오징어 내장유를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젤라틴, 물 및 정제 오징어 내장유로 형성된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과산화물값, 갈변도, 헌터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등어버거의 기능성 개선을 위한 유화물의 적절한 첨가량은 마쇄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로 판단되었다. 채육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등어버거는 휘발성 염기질소, 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이 각각 19.0 mg/100g, $6.2{\times}10^4CFU/g$ 및 50.7 mg/100g으로 그 함량이 낮아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유화물 첨가 고등어버거의 포화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3이었다. 색조, 젤리강도, 지방산조성 및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유화물 첨가에 의해 고등어버거의 색조, 조직감 및 지질의 기능성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마카 추출액 첨가에 따른 시럽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yrup Added with Maca (Lepidium meyenii) Extract)

  • 정해정;박한나;추영란;전인숙;강용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6-242
    • /
    • 2010
  • 음료 베이스용 시럽을 개발하기 위하여 마카 추출액을 다양한 수준(0%, 7%, 14%, 21%, 28%)으로 첨가하고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pH는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낮았고 시럽의 당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점도는 마카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마카 추출액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향, 단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마카 추출액을 28%까지 첨가하여 시럽을 제조하여도 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카 시럽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마카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28%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DPPH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역시 마카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을 활용한 당절임 야생 복숭아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ligosaccharid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preserved in Sugar)

  • 정경미;최미애;박선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63-172
    • /
    • 201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preserved in suga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four groups: PS-A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100:0, w/w), PS-B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60:40, w/w), PS-C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40:60, w/w) and PS-D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0:100, w/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 levels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PS-D sampl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s, however total acidity value were higher. In case of Hunter's value, the 'L', 'a' and 'b' values of all samples were affected by addition of oligosaccharides. No great difference occurred among samples in reducing sugar contents. Organ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lower addition of sucrose. The predominating organic acid components analyzed in all samples were lactic acid 156.15 g/100 g, tartaric acid 72.75 g/100 g and citric acid 32.90 g/100 g.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10.79{\pm}0.55mg\;GAE/mL$, $8.71{\pm}0.06mg\;CE/mL$ and 71.8%, 71.0% for PS-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use of oligosaccharides could increas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s of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감마선 조사가 비트(Beta vulgaris L.)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Betalain 색소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Beet and Stability of Betalain in the Red Beet (Beta vulgaris L.))

  • 김경희;이성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53-457
    • /
    • 2007
  • 감마선 조사가 비트의 품질특성 및 비트의 주요 색소인 betalain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트에 2.5kGy, 5kGy, 10kGy 및 30kGy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따른 betalain추출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betacyanin과 betaxanthin은 5kGy의 조사선량에서 높은 optical density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비트의 명도, 적색도 그리고 황색도는 감소하였으며 pH는 조사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10kGy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물성에 나쁜 품질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효과는 감마신 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p<0.05)를 보이지 않았다. 따가서 천연색소 및 물성 측면에서 볼 때 비트에 대한 10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다.

홍감자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 (Effects of Red-Potato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 김옥례;김동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05-1812
    • /
    • 2012
  • 찹쌀의 일부를 홍감자로 대체하여 고추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효모와 호기성 세균수는 발효 4주에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 효모수는 감소하였다. Amylase는 숙성 2~4주에 최고의 활성을 보였고 홍감자 첨가구에서 amylase의 활성이 높았다. 산성 protease 활성은 발효 중에 서서히 저하되었으나 중성 protease는 발효 4~8주에 높았다. 고추장은 물엿의 첨가로 발효 4주에 L값은 급격히 저하되나 a값은 증가되었다. 홍감자 첨가구에서 총당과 총질소 함량은 낮았으나 수분량은 많았다. 수분활성도는 발효중에 저하되나 홍감자 첨가구에서 높았고 산화환원전위는 발효 12주에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홍감자 첨가구에서 낮았다. 고추장의 pH는 홍감자 첨가구에서 낮아 적정산도는 증가되었다. 고추장의 환원당과 알코올은 발효 후기에 홍감자 첨가구에서 많았다. 고추장의 아미노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는 발효 4~6주까지 증가하였고, 홍감자 첨가로 발효 후기에 아미노산성 질소는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맛은 홍감자 2% 첨가로 대조구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와인 숙성이 우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Ripened by Wine)

  • 이경수;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38-1542
    • /
    • 2008
  • 본 연구는 와인숙성이 우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에 물 50 ml를 첨가한 육포(T0), 물 25 ml와 와인 25 ml를 첨가한 육포 그리고 와인 50 ml를 첨가 한 육포 등 세 종류의 육포를 제조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육포의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계적 물성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뭉침성 및 씹힘성은 와인숙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분활성도, pH 및 TBARS값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지만 VBN함량과 총 균수는 T2가 가장 낮았다(p<0.05). 기호도 조사에서 풍미는 T2가 T0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으나 (p<0.05) 맛, 색깔,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and Storage Quality of Meatballs Formulated with Bee Pollen

  • Turhan, Sadettin;Yazici, Fehmi;Saricaoglu, Furkan Turker;Mortas, Mustafa;Genccelep, Husey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23-433
    • /
    • 2014
  • In this study, the nutritional and storage quality of meatballs formulated with different levels (0, 1.5, 3.0, 4.5 and 6.0%) of bee pollen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41^{\circ}C$ for 9 d. Protein content of meatballs increased, while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d pollen. The addition of pollen improved cooking loss but decreased the redness (Hunter a value) and sensory scores. Textural parameters (hardness, springs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affected by pollen addition and the hardness and gumminess values of meatballs decreased as the pollen content increased. While C18:0 content of meatballs slightly decreased with pollen addition, C18:2n-6c, C18:3n-3, C20:5n-3, and PUFA contents increased. The PUFA/saturated fatty acids (P/S) ratio increased from 0.05 in the control to 0.09 in meatballs with 6.0% pollen. The n-6/n-3 ratio decreased from 11.84 in the control to 3.65 in the meatballs with 6.0% pollen. The addition of pollen retarded the lipid oxidation and inhibited the bacterial growth in meatballs. The pH, redness, TBA value and total aerobic mesophil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S. aureus counts values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The results suggest that bee pollen could be added to enhance the nutritional and storage quality of meatballs with minimal changes in composition and/or sensory properties.

천년초 발효액을 첨가한 쌀 막걸리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Rice Makgeolli Added with Cheonnyuncho Fermentative Extract)

  • 정복미;신태선;김형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9-69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rice makgeolli stored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Cheonnyuncho fermentative extract (1%, 3%, 5%). Plain rice makgeolli(control)and cheonnyuncho-containing rice makgeolli(cheonnyuncho makgeolli) were stored and ripened for 0, 5, 10, 15 and 20 days at $5^{\circ}C$. The mineral contents of cheonnyuncho Makgeolli was higher than that of rice makgeolli. At the end of storage periods, the pH value of 1% cheonnyuncho makgeolli was higher than that of rice makgeolli. Of the major organic acids found in cheonnyuncho makgeolli (succinic, lactic, acetic, phosphoric, and malic), succinic acid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Similarly, of all the free sugars, glucose was the most prominent. Before storage, hunter color L and b values were the highest in control followed by 1%, 3% and 5% cheonnyuncho makgeolli. At the end of storage period, color a value decreased in 1% cheonnyuncho makgeolli, whereas it increased in 3% and 5% cheonnyuncho makgeolli. The antioxidative effect of makgeolli was seen in 3% cheonnyuncho makgeolli. Total viable counts were the lowest in 3% cheonnyuncho makgeolli at the end of storage periods. A sensory evaluation test showed that the taste of cheonnyuncho-containing makgeolli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control.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addition of cheonnyuncho fermentativ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3% is suitable for the manufacturing of makgeolli products.

Synergistic Effects of Electron-beam Irradiation and Leek Extract on the Quality of Pork Jerky during Ambient Storage

  • Kim, Hyun-Joo;Kang, Mingu;Yong, Hae In;Bae, Young Sik;Jung, Samooel;Jo, Cheor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596-602
    • /
    • 2013
  •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s) of electron-beam (EB) irradiation and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extract on the quality of pork jerky during ambient storage, we irradiated prepared pork jerky samples (control and samples with 0.5% and 1.0% leek extract) with EB technology at doses of 0, 1, 2, and 4 kGy, stored them for 2 months at $25^{\circ}C$, and analyzed them. Water activity was 0.73 to 0.77 in non-irradiated sampl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ter activity was observed between the samples treated with leek and the control.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irradiation dose and leek extract addition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4.54{\pm}0.05$ log CFU/g). Further, the Hunter color values ($L^*$, $a^*$, and $b^*$)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leek extract addition and EB irradiation. However, the color values, especially the $a^*$ value of the irradiated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Notably, increasing the EB irradiation dose enhanced the peroxide value.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irradiation decreased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ur findings suggest the use of EB irradiation in combination with leek extract to improv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pork jerky. However, in order to meet market requirements, novel methods to enhance the sensory quality of pork jerky are warra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