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 color values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3초

팽이버섯 함유 어묵의 물성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Containing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이승철;구성근;류연경;황영만;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1
    • /
    • 2001
  •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함암성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 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팽이버섯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을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팽이버섯의 첨가에 관계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15%의 팽이버섯을 함유한 어묵에서 강도, 경도, 탄성, 껌성 및 파쇄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리고,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어묵의 색조와 향기 부문에서 팽이버섯이 첨가될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맛과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에서는 5%의 팽이버섯이 첨가된 경우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팽이버섯을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오디박 분말 첨가 초콜릿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ocolate Added with Mulberry Pomace)

  • 황미현;전혜련;김형돈;이상원;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9-487
    • /
    • 2012
  • Mulberry pomace, a by-product obtained from mulberry juice, has not been utilized as a food material for food processing.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ocolate to which mulberry pomace has been added were evaluated. Freeze-dried mulberry pomace was added to white chocolate at the level of 0, 0.5, 1.5 or 2.5%, and then the white chocolate ganache was put between two layers of dark chocolate. The moisture content and sweet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but reducing sugar content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ulberry pomace powder. The Hunter color L(lightness) and b(yellowness) values decreased, according to the mulberry pomace powder amount, whereas the a(redness) increased. The hardness increased according to the mulberry pomace powder amount.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creased, according to the mulberry pomace powder amount. Antioxidant activities(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mulberry pomace powder amount. The result of the sensory intensity test revealed that the scores of color, mulberry taste, hardness and chewiness were the highest in the 2.5% mulberry pomace powder added chocolate. Sensory preference test results showed that chocolate added with 1.5% mulberry pomace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It is suggested that chocolate to which mulberry pomace powder has been added may be a functional chocolate,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수산 자숙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이화학적 물성 변화 평가 (Study on the Changes in Phyicochemical Propertiesof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Ray Irradiation)

  • 최종일;김연주;김재훈;윤요한;송범석;전병수;안동현;이주연;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57
    • /
    • 2010
  • Cooking drips which were obtained as by-product after seafood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ies, still contain lots of proteins, carbohydrates, and other functional materials. But, the seafood cooking drips are easily contaminated because of its rich nutrients, and their color are very da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seafood cooking drips including Hizikia fusiformis, Enteroctopus dofleini, and Thunnus thynnus. The Hunter's color values (L, Brightness) of H. fusiformis, and T. thynnu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showing becoming bright. The crude protein content and crude lipid content were increased by gamma irradi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amma irradiation increased extraction efficiency of available compounds in cooking drips.

녹차 종실유의 제조법에 따른 열산화 안정성 비교 (Effects of Extraction Method on the Thermal Oxidative Stability of Seed Oils from Camellia sinensis L.)

  • 김미선;이재환;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88-794
    • /
    • 2010
  • Camellia sinensis L. (green tea) seed oils were prepared by roasting at $213^{\circ}C$ and pressing (RP), pressing (P), and nhexane extraction (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P, P, and H samples, including fatty acid composition, col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RP, P and H samples were thermally oxidized at $180^{\circ}C$, and oxidative stability was determined by DPPH, CDA, and p-AV at 0, 20, 40, 60, and 80 min. Compared to the P and H samples, RP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ermal oxidative stability according to the DPPH, CDA, and p-AV results (p<0.05).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among RP, P, and H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contents in green tea seed oils were 58 and 23%, respectively. Hunter's color value of lightness (L) for the RP, P, and H samples was not significant. Redness (a) of RP was $3.47{\pm}0.119$ and yellowness (b) of H was $60.10{\pm}2.483$,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RP samples, H and P samples had the highest color and off-odor values in the sensory evaluation. RP samples showed the highest taste value and were significant overall (p<0.05). The thermal stability of RP extraction was more stable than any other method. Camellia sinensis L. seed oil extracted by RP had better sensory characteristics than other edible oils, including soybean oil, grape seed oil, and extra virgin olive oil.

난소화성 전분 젤리의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esistant Starch)

  • 강남이;이인선;조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2-538
    • /
    • 2006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elly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esistant starch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ter content of RS10 sample group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of 12.55% and that of the RS20 sample group had significantly the lowest value of all (p<0.05). RS20 sample group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in sweetness. The value of pH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the resistant starch in jelly preparation. The Hunter L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 groups, but the RS20 sample group had the highest value of all. The hardness was increased as the addition levels of the resistant starch was increased. Results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RS20 samp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values in strawberry aroma, sweetness and after taste and significantly the lower value in stickiness than those in the other sample groups at p<0.05. Strawberry flavor, springiness and glossiness of RS5 sample group had significantly the largest values of all (p<0.05). The sensory properties of clarity and glossi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lor value and hardness at p<0.05. Sensory sweetness and after tast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values of pH in jelly preparation(p<0.05).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보리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Dasik added with Maesil Extracts)

  • 이영숙;류지혜;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97-904
    • /
    • 2010
  • This study assessed the quality of barley Dasik manufactured, according to traditional methods, with various levels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s at weight percentages of 0% (BD1), 10% (BD2), 20% (BD3), 30% (BD4), 40% (BD5). The Dasik were analysed with proximate analysis, a sugar content analysis, Hunter's color value test, mechanical characteristics test and a sensory evaluation. Increased ratios added Maesil extracts led to the moisture content, crude ash, and crude fat to significantly increase (p<.001). 10% (BD2)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rude protein (p<.01). Sugar contents was highest in 0% (BD1) and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Maesil extracts increased. This increase also led to higher L-values and b-values of chromaticity (p<.001) and the a-value of 0% (BD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mple groups (p<.001). Changes in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gumminess values wer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values of those in the sample group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Maesil extract (p<.001).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samples evaluated, barley Dasik that contained 10% Maesil extract (BD2) had the highest commercial value.

품종별 복숭아 유과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in Unripe Peaches Jangachi according to Cultivar during Storage)

  • 홍민서;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77-1583
    • /
    • 2012
  • 영양생리학적 활성은 우수하나 전량 폐기 처분되고 있는 복숭아 유과의 이용 증진을 위해 품종별 복숭아 유과로 장아찌를 담아 상온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평가(pH, 염도, 당도, 색도, 경도, 효모 및 곰팡이수의 변화,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장아찌의 pH는 모든 품종의 장아찌와 침지액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장아찌육의 염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침지액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모든 품종에서 장아찌와 침지액 모두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 b 값은 감소하였다. 경도는 저장 30일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저장기간 동안 2.30~5.55 log CFU/g 범위 내에서 증감을 반복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마도카와 장택백봉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및 모시대 분말 첨가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Immune Activity of Mosida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Using Mosidae Powder)

  • 김애정;한명륜;김명환;태기환;이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48-554
    • /
    • 2009
  •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및 모시대 분말 첨가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을 평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결과, MEE 농도 $1000{\mu}g/mL$($4195.8{\pm}106.9\;pg/mL$)에서 IL-6 생성량은 양성대조군인 LPS($5578.7{\pm}195.9\;pg/mL$)의 75% 수준이 생성되었으며, MEE 농도 $200{\mu}g/mL$($224.4{\pm}3.0\;pg/mL$)과 $1000{\mu}g/mL$ ($235{\pm}7.1\;pg/mL$)에서 IL-12생성량은 양성 대조군인 LPS ($647{\pm}10.6\;pg/mL$)의 각각 34.68%, 35.70% 수준이 생성되었고, MEE 농도 $1000{\mu}g/mL$에서 TNF-$\alpha$($197.62{\pm}15.83\;pg/mL$)는 양성 대조군인 LPS($723{\pm}14.10\;pg/mL$)의 27.32% 수준이 생성되어, 모시대를 면역 활성 관련 새로운 식물자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일반성분 분석결과를 보면, 대조군과 비교시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일반성분 가운데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는데, 이는 현미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1{\sim}3%$(w/w)로 첨가 비율이 낮아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지방 함량의 경우는 모시대 첨가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색도 변화를 보면,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값)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모시대 분말 1% 첨가 시료(MPD1)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2%와 3%를 첨가한 MPD2과 MPD3 시료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이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05), 비교군들의 경우도 모시대 첨가비율의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다(p<0.05). 황색도 "b" 값의 경우는 대조군과 비교 시 MPD1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MPD2, MPD3 시료들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물성 변화를 살펴보면, 탄력성(springness)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MPD1을 제외한 MPD2와 MPD3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응집성(cohesiveness)의 경우는 대조군과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검성(gumminess)은 대조군에 비해 모시대 분말첨가 시료들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p<0.05),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 간 비교에서도 모시대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인 증가 현상을 보였다. 씹힘성(chewiness)과 경도(hardness)는 MPD3가 대조군을 포함한 MPD1, MPD2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관능평가 결과, 색상,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비교 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조직감에서는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모시대 분말 1%를 첨가한 현미다식(MPD1)의 상품 가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 모시대 분말의 배합비 조절이나 첨가 형태 변화를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다식의 외형 개선 후속 연구를 하고자 한다.

국산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Korean Herb Medicines.)

  • 박석규;정회정;김성희;권선화;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3-559
    • /
    • 2004
  • 국산 한약재를 이용하여 식품학적 품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전통된장을 개발할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국산 한약재를I∼IV군으로 조합하여 121$^{\circ}C$에서 2시간 동안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담금용 염수에 여러 농도로 첨가한 후 3개월 동안 자연발효시킨 한방 콩된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대조구는 수분 61.9%, pH 5.50, 총산도 3.25 ml, 염도 12.6%를 나타내었으나 시험구는 수분 58.2% ∼61.9%, pH 5.32∼5.56, 총산도 3.07∼3.70 ml, 염도 11.7∼13.9%범위로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조단백, 조지방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지용성 갈변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수용성 갈변도는 I군과 II군은 III군과 IV군에서 매우 높은 경향이었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는 대조구 된장(31.72)에 비하여 I군과 II군의 된장이 낮은 수치(24.32∼27.71)를 나타내어 된장의 색깔이 검은 색을 띄었다. 적색도(a)는 제 I군을 제외한 나머지 된장에서는 대조구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황색도(b)는 III군과 IV군의 경우 대조구 된장과 비슷하였으나 I군과 II군은 낮게 나타났다.

Transglutaminase 처리 쌀가루를 이용한 수리취 첨가 냉동 송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surichwi rice cake made using transglutaminase treated-rice flour)

  • 장세원;서동호;금준석;박종대;최현욱;성정민;최윤상;이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99-503
    • /
    • 2018
  • 수리취의 첨가량을 10, 15, 20%로 하여 냉동 수리취 송편을 제조한 다음 해동후 색도, 기계적 품질특성, 관능적 품질특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리취를 첨가한 송편의 색도는 수리취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음(-)의 값을 나타냈으며 b값은 대조군보다 높은 값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리취 첨가 냉동 송편의 해동 후 기계적 텍스처 측정 결과 수리취 첨가량에 따라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응집성(cohesiveness)은 감소하였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수리취 비첨가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과 향의 강도는 수리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졸깃함, 향, 맛, 텍스처의 기호도는 15% 첨가구가 5.33-6.50점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수리취 20% 첨가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외 실험군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냉동 수리취 송편의 조직감 향상을 위하여 TGase 처리한 쌀을 이용하여 수리취 송편을 제조하였다. TGase 처리한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냉동 수리취 송편의 해동 후 기계적 텍스처 측정에서 비처리구보다 경도, 점착성,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TGase 처리된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냉동 수리취 송편의 해동 후 조직감의 기호도가 크게 상승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도 7.17점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냉동 수리취 송편 제조 시 쌀에 TGase를 처리하고 수리취를 15% 첨가하는것이 적합하며 이는 관능적인 측면에서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TGase를 처리한 쌀가루를 이용하여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냉동 수리취 송편의 제조 및 상품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