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 Color Value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23초

An Application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to Evaluation of Quality Parameters of Soybean Oil during Frying

  • Gil, Bo-Gim;Chang, Young-Ki;Cho, Yong-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04-408
    • /
    • 2006
  • Feasibility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method to evaluate soybean frying oil quality was evaluated. Free fatty acid value, p-anisidine value,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conjugated trienoic acid content, peroxide value, iodine value, total polar compound (TPC),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to saturated fatty acid, refractive index, dielectric constant, smoking point, and L, a, and b of Hunter color system were selected as parameters related to conventional evaluation of soybean frying oil quality. SPR scale mapped with conventional quality parameters well described free fatty acid value,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dielectric constant, TPC, and b of Hunter color system, as shown by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시판차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에 의한 색상(色相) 평가(評價) (Color Evaluation of Commercial Dehydrated Tea-products by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

  • 박길동;최진호;성현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0
    • /
    • 1982
  • 시판차류기호식품(市販茶類嗜好食品)의 관능적(官能的) 평가(評價)와 이들 제품(製品)의 품질관리적(品質管理的) 측면(側面)에서 중요시되는 색도(色度)의 지표(指標)를 조사코저 Hunter-lab tristimulus colormeter를 이용(利用)하여 제품(製品)의 입도(粒度), 밀도(密度), 및 탈흡습(脫吸濕)이 색도(色度)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제품(製品) 사이에는 입도(粒度)의 크기와 색도(色度)에서 특별한 유사성(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홍삼정분(紅蔘精粉)의 경우 입도(粒度)가 작아질수록 L,a,b 치(値)가 증가하고, X,Y,Z 치(値)에서는 X, Y 치(値)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Z 치(値)는 일정치 않았다. 2. 시판차류기호식품(市販茶類嗜好食品) L치(値) 범위는 32.8$\sim$48.0이었고 a 치(値)는 3.9$\sim$10.4, b 치(値)는 5.6$\sim$18.0이었으며 대부분의 제품(製品)이 주황색색소계(朱黃色色素系)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제품(製品)의 밀도(密度)는 0.232$\sim$0.898 g/ml의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밀도가 클수록 L치(値)가 가하는 경향이었다. 4. 제품별(製品別) a/b치(値)는 생강차를 제외하고 0.61$\sim$0.98의 범위 내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총색도(總色度)의 차(差)($\Delta$E) 및 채색도(彩色度)의 차(差)($\Delta$C)가 작은 제품(製品)일수록 색상(色相)의 안정성(安定性)이 인정되었다. 5. 각제품(各製品) 사이에는 흡습(吸濕) 및 탈습(脫濕)에 의한 색상변화(色相變化)는 유의성이 없었다. 6. 광파장(光波長)에 따른 제품별색도(製品別色度)는 생강차, 쌍화차 및 탱이 녹적색계색소(綠赤色系色素)가 가장 높아 녹적색색소계(綠赤色色素系)인 반면 다른 차류제품(茶類製品)은 X,Y,Z 치(値)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표고버섯가루의 첨가 함량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Added with Lentinus edodes Sing Powder)

  • 조정순;최미용;장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containing 0, 1, 3, 5 and 7% of Lentinus edodes powder during storage. The water content of Seolgiddeok changed little with the length of storage and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added. Hunter′s color L value of Seolgiddeok decreased and "a"and "b"valu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The hardness, gummi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of Seolgiddeok decreased, but springines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entinus edodes powder. Seolgiddeok added with 3% Lentinus erodes earne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taste, softness, chewiness, moistness and overall preference. From the above results of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an addition of 3% Lentinus edodes to Seolgiddeok showed the best result in quality.

  • PDF

색소측정에 의한 고추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d Pepper by Color Measurement)

  • 이현덕;이철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1992
  • 고추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10품종 건조 고추의 일반특성(크기, 모양, 함량비)과 고추가루의 일반성분, 카로티노이드의 함량, Hunter색치(色値)를 측정하였고 100명의 주부를 선정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와 물리적, 화학적 측정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Red carotenoid는 총 carotenoid의 68-85%를 차지하였으며 ${\beta}-carotene$ 함량은 관능적 선호도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Hunter 색차계(L,a,b,axL)의 값은 관능적 색선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axL값은 고추의 매운 강도 및 색 선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고추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는 colorimeter에 의한 axL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Sensory acceptability=0.02001(axL)-12.5774

  • PDF

저장 고춧가루의 색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성미선;강혜정;김윤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23-1430
    • /
    • 2012
  •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고춧가루의 품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관능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빛의 투과 여부가 다른 2종류의 포장재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과 aluminum/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Al/LLDPE)를 선정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수분함량, 색도,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고춧가루의 시각으로 인지하는 색과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고춧가루의 초기 수분 함량은 저장고의 상대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저장고의 온도나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b값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두 측정값 모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저장 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포장재의 재질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STA color value와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ASTA color value는 빛이 투과하는 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 더 많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의 강도는 증가하고 매운맛 색과 적색은 감소하여 점차 어두운 적색을 띄며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어두운 적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매운맛 색에 대한 평가에서만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적색과 매운맛 색이 감소하고 황색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a값,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은 전체적인 외관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중 ASTA color value가 관능적 기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춧가루 저장 시 빛이 통과하지 않는 Al/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에 품질 변화가 적었고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춧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는 색도계를 이용한 적색도나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흑미와 밀가루를 첨가한 Sponge Cake의 제조

  • 정동식;이진철;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4.1-224
    • /
    • 2003
  • The production of black rice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as more Koreans are tending to blend black rice with medium-grain rice for serving. This increased production creates an opportunity for developing new product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sponge cakes produced from a blend of black rice flour (BRF) and wheat flour (WF) are investigated. Black rice sponge cakes (BRSC) were produced with constant process variables (e.g. baking temperature, fermentation time and BRP content (10, 20 & 30%)). Proximate compositions, farinogram, amylogram and extensogram analyses of BRSC were determined by AACC method. BRSC color was expressed to Hunter L, a and b values using a colorimeter.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a trained 5-member panel. Moisture contents in BRSC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s of BRF, while ash and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Farinograph and amylograph dat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reatments, while extensograph data decreased with increasing BRF contents. With increasing BRF contents, Hunter L value decreased, while Hunter a value increased. When using 20% of BRP, sensory scores of BRSC were the highest in color, flavor and taste. In conclusion, 20% of BRF would be the optimum amount for producing sponge cake with BRP and WF.

  • PDF

저장 온도가 공장산 고추장의 변색 및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Color and Color-Preference of Industry -Produced Kochujang during Storage)

  • 김정옥;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41-646
    • /
    • 1994
  • changes in HMF content, capsanthin content, Hunter tirstimulus values, color-preference, and pruchasing intent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of industry-produced kochujang packed with polyethylene and nylon complex film at 13, 27 and 37$^{\circ}C$. HMF content, which was very low at initial , did no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during storage at 13$^{\circ}C$ for 180 days, but the accumulation of HMF was accelerated by higher temperature. Capsanthin content decreased more rapidly at higher temperature . L values decreased up to 60 days of storage and the storage temperature had little influence on the rate . But, after 60 days, L value decreased more slowly at 13 than at 27 and 37$^{\circ}C$ , a and b values showed linear decrease at 37$^{\circ}C$, but increase in a and b values at 13 and 27 $^{\circ}C$ during early storage was followed by decrease. ΔE decreased more rapidly at higher temperature . Color-preference and purchasing-intent for kochujang decreased during storage at 27 and 37 $^{\circ}C$,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during storage at 13 $^{\circ}C$ for 180 days. L, and ΔE values of kochujang stored at 37 and 27Δ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or-preference, but Hunter tristimulus values of Kochujang stored at 13$^{\circ}C$ did not show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lor preference.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유전 및 경제형질 관한 연구 V. 가공적성 시험 (Studies on the Hereditary Characters and Some Economical Traits of Korean Native Ogol Fowl V. Experiments of Processing Suitability)

  • 한성욱;장규섭;장영일;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1-65
    • /
    • 1988
  • 재래오골계의 일반성분, 육색과 절단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근육의 성분중 수분과 조단백질은 흉부에서 높았으며 조지방과 조섬유는 퇴경부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주령에 따른 성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L. a. b값은 Hunter color solid에 비교하여 볼때 회색으로 판명되었으며 절단력은 퇴경부가 흉부보다 크고 수컷이 암컷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절단력은 주령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다.

  • PDF

일반감자와 유색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neral and Colored Potato)

  • 장혜림;홍주연;김남조;김민하;신승렬;윤경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44-150
    • /
    • 2011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일반감자 '수미'와 일반감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유색감자 6종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그리고 색도를 측정하였다. '수미'는 유색감자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레드'가 18.0%로 감자 중 가장 많았고, 조회분 함량은 모든 유색감자가 '수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단백, 조지방 함량은 '자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섬유 함량은 '블루'가 1.6%로 가장 높았고, 그 함량은 '수미'의 2배였다. 환원당 함량은 유색감자 중 '로즈'와 '블루'가 '수미'의 3배 이상이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대부분인 '수미'에 비해 유색감자는 sucrose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 ${\gamma}$-aminobuty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유리당은 품종 간 그 함량과 조성이 매우 다양했다. 또한 유기산 함량은 '하령'이 $507.1mg{\cdot}100g^{-1}$으로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은 모든 감자에서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Hunter 'L' value는 '자서'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value는 '블루'와 '자심'에서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b' value는 단면이 노란색을 띄는 '하령'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유색감자는 '수미'에 비해 많은 양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우수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장방법에 따른 다진 마늘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pped Garlic with Various Storage Method)

  • 류현주;최은정;오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67-18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pped garlic stored at various temperature. Chopped garlic was stored at room temp.($25^{\circ}C$), refrigerator temp.($5^{\circ}C$) and frozen temp. ($-18^{\circ}C$) for 1, 2, 4, 8, 24, 48, 72 hours(room temp.) and 1, 3, 5, 7, 10, 15, 20, 30 days(refrigerator temp. and frozen temp.), respectively. Brown color, Hunter color value, vitamine C contents and flavor patterns by electronic noes of chopped garlic were measured. Fresh chopped garlic was used as control and garlic powder by hot air drying was used for comparisons. Brown color of chopped garlic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nd the intensity of that was reduced as following order such as chopped garlic stored at room temp., refrigerator temp. and frozen temp. Brown color of garlic powder was most dark amomg all the samples. The results of Hunter color value was consistent with then of brown color in chopped garlic, whereas those of garlic powder showed relatively low browning. Above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measurement as only surface color was measured in Hunter color value unlike brown color. Vitamine C contents of chopped garlic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nd in particular those stored at room temp. decreased markedly as retention of those stored at room temp. was 60% of control after 1 day storage. Vitamine C retention of chopped garlic stored at refrigerator temp. was 78% of control after 10 day storage and that stored at frozen temp. was 86% of control after 30 day storage. At room temp., flavor pattern by electronic nose showed a difference between chopped garlic stored for 1hour and control, and showed occurrence of off odor after 1 day storage. Flavor pattern of garlic powder by electronic nose showed a mild flavor. Flavor patterns of chopped garlic stored at refrigerator temp. were similiar until 10 day storage, whereas those showed occurrence of volitile components after 15 day storage. Flavor patterns of chopped garlic stored at frozen temp. were similiar after 30 day storage, and especially those after 3 day storage were almost the same as control.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tore chopped garlic within 1 day at room temp. and within 10 days at refrigerator temp. And it is most desirable to store chopped garlic at frozen temp. as reten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was superior than other storage te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