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 Color Value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36초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늙은 호박 추출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of Old Pumpk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6-470
    • /
    • 2001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for monitoring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extracts. Hunter's color L value of extracts was maximized at 101℃, 2.6 hr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 maximum point. The polynomial equation for Hunter's color L value showed 10% of significance level and 0.8799 of R². Hunter's color a value was minimized at 117℃, 3.9 hr and R² of polynomial equation was 0.9852 within 1% significance level. Hunter's color b value and ΔE value increased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Extraction yield of old pumpkin was maximized at 110℃, 4 hr and increased in proportional to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but decreased after 113℃ and 2 hr. Viscosity of pumpkin extracts were maximized at 120℃, nearly 3 hr. R² of polynomial equations for yield, viscosity and sugar content were 0.9532, 0.9812 and 0.8869, respectively. Optimum ranges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were 102∼109℃, 2.5∼3.5 hr, respectively. Predicted values a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agreed with experimental values.

  • PDF

첨가제가 감마선 조사될 녹차 추출물의 색상 환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ve on Color Reversion of Irradiated Green Tea Extract)

  • 권종숙;손천배;조철훈;손준호;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5-360
    • /
    • 2002
  • 녹차 추출물의 불용색소를 감마선으로 제거한 후 저장기간 동안의 색상의 환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BHA와 아스콜빈산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명도(Hunter color L-value)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비조사구보다 조사구가 유의적으로 높아 밝은 색을 보였으며, BHA 첨가구(200 ppm)는 대조구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아스콜빈산 첨가구(200 ppm)는 대조구와 BHA 첨가구보다 명도가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아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구, BHA처리구, 아스콜빈산 처리구 등 모두 20 kGy가 10 kGy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은 명도 값을 보여 감마선 조사 선량이 20 kGy또는 그 이상의 고선량일 경우 색의 환원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적색도(a값)는 감마선 조사선량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중 아스콜빈산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적색도를 나타내어 명도에 이어 적색도도 아스콜빈산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황색도(b값)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여 결론적으로 감마선 조사를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의 색도를 개선시킨 후 아스콜빈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이용할 경우 저장 또는 운반 중 색의 환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unter L 값에 따른 돈육의 육질 특성 연구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Classified by Hunter L Value)

  • 박범영;유영모;조수현;채현석;김진형;안종남;이종문;윤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3-32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육색에 따른 돈육의 육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육색특성중 대표적인 Hunter L 값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축후 3, 5, 10, 15시간에 측정한 도체온도와 도축후 15시간까지의 온도 저하율은 Hunter L 값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도축 직후와 24시간에 측정한 pH의 경우에도 명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았다. 물리적 특성에서 전단력은 L 값의 세 범위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보수성은 명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조리감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드립의 경우 명도가 높을수록 드립량이 증가되었다. 육색의 경우 CIE L*, a*, b*와 chroma, Hue 및 ΔE값은 육색명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다른 육에 비해 육색명도(Hunter L) 값이 높은 육은 사후 온도가 높고, pH와 보수성이 낮으며, 드립이 많이 발생하여 소비측면에서 보면, 좋지 못한 외관으로 소비자가 구입을 기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관능적 특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아 보다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둥굴레의 볶음처리에 따른 차의 색도 변화와 관능적 특성의 최적화 (Color Changes and Optimization of Orgsnoleptic Properties of Roasted Polygonatum odoratum Tea)

  • 류기철;정형욱;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31-837
    • /
    • 1997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was applied in roasting process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in order to monitor Hunter color parameters and to optimize organoleptic properties of the tea. In roasting processing based on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with variations in roasting temperature (110~19$0^{\circ}C$) and roasting time(15~75min),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s($R^{2}$) of the models were above 0.9827(p<0.01) in Hunter color parameters and above 0.7748 in organoleptic properties. Hunter color L and $\Delta$E values of the powdered samples decreased with the roasting processes, whereas Hunter color a and b values increased up to around 59 min at 136$^{\circ}C$ and thereafter showed a decreased tendency. Organoleptic qualities on color, taste and aroma of Polygonatum odoratum tea were improved along with roasting processes, thereby estimating the optimum roasting conditions by RSM for the maximized qualities of organoleptic properties as a range from 127$^{\circ}C$ to 135$^{\circ}C$ and from 60min to 66 min. Hunter color a value(redness) was found to generate a similar response surface to that of organoleptic properties, showing the possibility of quality index in roasting process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 PDF

재료배합비에 따른 앵도편의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Angdo 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류재영;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53
    • /
    • 1986
  • 앵도편을 만들때 앵도즙 100에 대한 무게비로 녹말 15%, 20%, 25%, 설탕 20%, 30%로 녹말의 농도와 설탕량의 배합비에 변화를 주어 앵도편을 만들어서 앵도편의 기호성, Texture Color에 미친 영향을 관능검사와 물리적검사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앵도편의 겉모양은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매끈해지고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륵 거칠어졌다. 앵도편의 견고성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단단해졌으며 설탕의 양은 20%일대가 가장 단단하다. 앵도편의 색깔은 녹말의 양이 적을수록 설탕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선명해졌다. 앵도편의 풍미는 녹말의 양이 적을수록 설탕양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느껴졌다. 앵도편의 점조성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설탕의 양이 감소할수록 증가되었다. 앵도편의 전체적인 기호성은 녹말의 양이 감소할수록 설탕의 양이 증가할수록 좋았다. 2. 물리적 검사결과 Compression force는 설탕의 양이 감소할수록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 Adhesive work는 설탕양과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 Work ratio는 설탕양이 20%, 녹말양이 20% 일때와 설탕양이 30%와 녹말양이 15%일때 0.54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Gumminess는 설탕양과 녹말양이 증가할수록 값이 커졌다. 3. 앵도편의 색은 앵도즙에 넣은 녹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Hunter L value, Hunter a value는 증가했으나 Hunter b value, ΔE, ΔC 등은 감소했다. 앵도즙의 설탕양이 증가할수록 Hunter L value만 증가하였다. 가장 기호성이 높은 앵도편의 Hunter a value는 22.13, Hunter a value는 13.23, Hunter b value는 6.79, ΔE는 68.4였다. 4. Compression force와 관능검사의 Hardness 사이의 상관계수는 0.963이였다. 이것으로 보아 Hardness는 Compression force로 대치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풍미와 당도와의 상관계수는 0.641였다. 색에 대한 기호도와 Hunter L value의 상관계수는 -. 743 이였다. 이것으로 보아 L값이 낮을수록 즉 앵도편이 투명할수록 기호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3. 앵도즙을 8$0^{\circ}C$로 가열해서 앵도즙 100에 대한 무게비로 녹말 15%를 넣고 8$0^{\circ}C$를 유지하면서 4분간 끓인후 설탕 30%를 넣고 8$0^{\circ}C$로 유지하면서 6분간 끓여서 굳힌 앵도편이 가장 기초성이 높았다. 위의 재료배합비로 만든 앵도편의 pH는 3.48이었고 당도는 34.5%였다.

  • PDF

복분자 과립차 가공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preparation propertie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granule)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2-538
    • /
    • 2013
  •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고자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분자 추출물과 당 및 산을 적용하여 추출물 함량($X_1$, 0.4~1.2 g), 당 함량($X_2$, 6~10 g) 및 구연산 함량($X_3$, 0.1~0.3 g)의 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에 관능적 특성 및 Hunter's color를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색상에 대한 가장 우수한 관능평점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6 g, 당 함량 7.05 g 및 구연산 함량 0.232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04 g 및 구연산 함량 0.215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맛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2 g, 당 함량 6.39 g 및 구연산 함량 0.251 g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65 g 및 구연산 함량 0.272 g이었다. Hunter's color b값의 반응표면은 전반적인 기호도의 반응표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과립차의 Hunter's color와 기호도는 Hunter's color a값 6.0, 복분자 추출물 함량 0.8 g 및 당 함량 0.6 g에서 선호되었다.

가열산화가 냉압착 들기름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on Chemical Changes in Cold-Pressed Perilla Seed Oil)

  • 조영심;김범근;박기재;정진웅;정승원;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84-892
    • /
    • 2009
  • 냉압착 들기름과 볶음 압착 들기름 및 볶음 가열 압착 들기름의 가열산화에 의한 색도 및 갈변도, 총 페놀 함량, 과산화물가, 산가, 이중공액산가,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각 들기름의 특성 및 가열산화에 의한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압착 들기름은 Hunter L 값은 76.62로서 볶음 압착 들기름의 39.77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도의 경우에도 각각 0.027과 0.244을 나타내어 냉압착유의 갈색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가와 이중공액산가는 냉압착 들기름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페놀 함량의 경우 볶음 압착 들기름이 7.27 mg/100 g oil로 냉압착 들기름에 비하여 1.60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도 볶음 압착 들기름이 냉압착 들기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지방산 함량의 경우에도 냉압착 들기름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12.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열산화 처리에 의해 들기름의 Hunter L 값, 산가, 이중 공액산가 및 과산화물가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Hunter a 및 b 값, 갈변도, 총 페놀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reonine과 Sucrose 용액에 침지 및 볶음에 의한 도라지차의 색상 발현 모니터링 (Monitoring for the Color Formation of a Doraji Tea by Soaking of Threonine and Sucrose Solution and Roasting)

  • 이기동;정용진;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38-944
    • /
    • 1999
  • 도라지의 색상발현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도라지의 threonine 침지농도 및 볶음조건에 따른 도라지차의 기계적 색도 및 관능적 색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기계적 색도와 관능적 색상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모두 0.87 이상으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백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0.09%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42.37^{\circ}C$에서 21.94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24%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01^{\circ}C$에서 28.59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농도 1.67%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37.61^{\circ}C$에서 24.6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가 가장 높은 침지 및 볶음조건은 threonine 농도 1.10%에서 침지한 후 건조하여 $154.72^{\circ}C$에서 27.12분 볶음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서 도라지차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threonine 농도 1.25%, 볶음온도 $141.81^{\circ}C$및 볶음시간 34.14분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메밀묵의 제조조건에 따른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Textur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as Influenced by Preparation Conditions of Buckwheat Mook)

  • 정용진;이명희;서지형;이기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5-161
    • /
    • 1998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for optimizing preparation conditions and monitoring the quality of buckwheat mook prepared using buckwheat starch. The textures(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buckwheat mook were decreas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water content. the L and b values of Hunter color parameters in buckwheat mook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water content. However, The a value of Hunter color parameters of buckwheat mook were decreas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water content. Organoleptic properties(color, form, taste and mouth-feel) of buckwheat mook showed a maximum score in 700ml(water content), 14min(gelatinization time)

  • PDF

자초(紫草)추출물의 외관상 변색 (Visual Color Deterioration of the Extract of Lithospermi radix)

  • 윤희남;김호;신용달;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26-430
    • /
    • 1985
  • 자초(紫草)추출물의 외관상 변색에 영향을 주는 온도와 pH에 대해 조사하였다. 변색은 Hunter치(値)의 차이로 표시 할 수 있으며 자초추출물의 Hunter치(値)는 $50^{\circ}C$ 이상에서 변화하기 시작하고 $60^{\circ}C$ 이상에서는 온도와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온도에 따른 Hunter L, a, b, 치(値)의 변이상관계수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전체변색의 상관계수는 증가하였다. 66.7%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1시간 열처리 할때 Hunter치(値) 변이 상관계수는 L치(値)의 경우 -0.3696, a치(値)의 경우 -0.4124, b치(値)의 경우 -0.2279, 전체 변색에 있어선 0.5983이었다. 이 때 전체변색의 상관계수는 Hunter L, a, b 각각의 상관계수로부터 직접 계산할 수 있었으며 0.5988로서 거의 비슷한 값을 보여주었다. 한편 pH를 낮추면 Hunter a치(値)는 감도하고 L, b치(値)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pH를 증가시키면 pH6.5를 전후로 해서 Hunter L, a, b 치(値) 모두 다 급격히 감소하여 외관상 색깔이 좋지 않았다. 자초(紫草)추출물은 pH가 4.0-6.5일 때 외관상 가장 좋은 '선명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