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Welfare

검색결과 1,299건 처리시간 0.028초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Concept and Policy Developments on Eco-welfare of National Parks based on Ecosystem Service)

  • 박은하;최수정;오충현;정부희;이나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70
    • /
    • 2016
  •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 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 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 교육적 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Gender and the Welfare State: The British Feminist Critiques

  • Park Mee-Sok;Han Jeong-Won;Song I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3권1호
    • /
    • pp.73-94
    • /
    • 2002
  • The important argument explored in this article is women's position in welfare regimes. By examining feminist critiques on the welfare state, we intend to look into whether the welfare state is designed to promote the equal status of both men and women. In the post-war period, it was believed that social provision, together with full employment and rising real wages, would improve the welfare of all citizens. However, women were inevitably treated as second class citizens by the new welfare legislation and were assumed to be economically dependent on their husbands. As a result, though welfare provision plays a significant and liberating role in women's lives in some ways, it may also serve to restrict women by defining them in certain ways. This contradictory situations is especially true in successfully developing third world countries such as Korea. This is because the western welfare state can be misconceived as an idealistic model in which men and women obtain equality in terms of social context.

고령화 사회에서 여성노인과 복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lderly Woman and Welfare in Aging Society)

  • 이미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7-69
    • /
    • 2005
  • An aging society in which the proportion of the aged of a society is growing faster than the of the young is becoming an worldwide phenomenon owing to low birth rate, the upgraded medical art and so on. Korea is one of the most rapidly aging societies in the world today. Since aging society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in the many field, potential problems must be expected and countermeasure must be considered. One of the potential problems it may cause is the issue of supporting subject of the aged. Parent-supporting and welfare for the aged become important social issues. Especially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is more important issue because of their longer average life than man and their exposure to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ir welfare is very important issue of social welfare syst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counter measure to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These studies can be divided into traditional approach which insists on the family supporting and modern approach which asserts government(or social) supporting. Comprehensive literature study reveals that both of government and family are responsible for the supporting of the aged woman.

  • PDF

Bactericidal Effect of the Aos Denti Germ for Denture Cleansing Effervescent Tablet against Oral Microorganisms

  • Park, Min Ah;Jung, So Young;Heo, Seong Eun;Bae, Il Kow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1권2호
    • /
    • pp.75-81
    • /
    • 2016
  • Human mouth environment is known to include a variety bacteria, including Streptococcus spp., Staphylococcus spp., Actinomyces spp., Lactobacillus spp., Candida spp., Enterobacteriaceae, et al. Human oral microorganisms can cause dental caries, gingivitis, periodontitis,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us, right denture cleaning is essential to oral and general human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actericidal effect of a sodium dichloroisocyanurate-based effervescent tablet (Aos Denti Germ, Aos Company, Chungbuk, Korea) against oral microorganisms. A total of 5 species Streptococcus spp. (Streptococcus anginosu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oralis, and Streptococcus sobrinus), Actinomyces oris, Candida albicans, and Escherichia coli were used in this study. All strains were exposed to the distilled water prepared with effervescent tablet. After the exposure, the mixture of strains and effervescent tablet was inoculated onto blood agar or MacConkey agar plate and cultured at $36^{\circ}C$. All strains were killed immediately on exposure to effervescent tablet. The results suggested that effervescent tablet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denture cleanser for dental hygiene.

정보통신기술(ICT)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대상자의 역학관계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the Power Dynamics between Social Welfare Bureaucrats and Recipients)

  • 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335-374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6명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3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이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 미친 변화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공공행정에서 ICT의 도입은 행정정보의 투명한 공유와 공개를 가능하게 하여 일선관료와 주민의 관계에 신뢰성과 민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 공공행정을 사례로 정보화가 사회복지일선관료와 복지수급자의 관계에서 불신을 심화시키고 상호역량을 약화시킬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ICT를 통해 전담공무원과 수급자가 상대편의 정보와 데이터에 의지하게 되면서 면대면의 인간관계가 확인조사와 민원제기처럼 상대방에 대한 의심과 불만을 표출하는 사무적 절차로 대체되는 현상을 짚어볼 것이다. 나아가 ICT-기반의 행정시스템이 전담 공무원의 일상업무와 수급자의 생활세계를 조밀하게 감찰하게 되면서 일선관료에게 부여되던 자율적 정책선택권이 축소되고 수급자들의 공개적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보화가 휴먼서비스의 신뢰성과 민주적 자율성을 제고하는 것만이 아니라, 반대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관계를 더 비인격적이고 무기력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Trends and Challenges of Using Welfare Technology in Elderly Care

  • Lee, Jin 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2호
    • /
    • pp.30-34
    • /
    • 2018
  • There are several problems facing our society today that are caused by demographic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ageing population. The rapid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leads to increases in medical costs and a higher demand for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needs and burdens associated with elderly care are growing, but the human resources and costs to meet these needs are limited. Welfare technology has been suggested as an effective way to solve the discrepancy between higher welfare needs and limited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trends and challenges of using welfare technology related to elderly care through literature review. Practical ways to expand uses of welfare technology are also provided. In order to make effective and practical use of welfare technology, public awareness and education, the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the expansion and utilization of Living Labs, and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welfare technology are required.

동물해원 관점에서의 동물복지 (Animal Welfa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ievance-Resolution of Animals)

  • 김진영;이영준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229-262
    • /
    • 2021
  • 동물의 처우(treatment)에 관한 논의는 1970년대 이후 서구사회에서 사회적 이슈의 하나로 본격화하였다. 1975년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동물해방』(Animal Liberation)은 종차별(speciesism) 금지를 주장하는 가운데 철학 및 사회적 측면에서 동물복지 연구를 가히 폭발적으로 이끌었고, 곧이어 등장한 톰 레건(Tom Regan)은 동물의 권리를 인간의 권리와 동일한 선상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동물에게도 일정한 고유 무게(intrinsic weight)가 부여되어야 하고 우리 인간은 동물에 대한 일정한 책임이 있음을 사회적으로 각인시키는 데 충분하였다. 이제 현대사회에서 동물의 복지나 권리에 대한 사회적 책임은 인간의 윤리 의식을 구성하는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같은 현대의 동물복지 논의는 일견 인존시대를 맞아 인간의 자유의사에 따른 능동적인 창조적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그것은 동물복지에 함축된 생명윤리가 개인 윤리이기 이전에 법의 체계 속으로 편입될 만큼 '실천적' 강령으로서의 공동체 윤리라는 점에서 실천윤리로서 대순진리회의 해원상생 사상과 일정 부분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증산이 동물에게 약속한 동물해원(금수해원)의 관점에서 현대의 동물복지 또는 동물권 주장의 서구적 전통과 본질, 그리고 한계를 논의할 것이다.

클라이언트 권리옹호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사회복지 과목 이수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Clients Rights Advocacy : Focused on Adult Learners in Social Welfare Classes)

  • 박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65-374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클라이언트 권리옹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S사이버대학교에서 사회복지과목 수강중인 251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변인의 현황을 파악한 결과, 응답자들의 권리옹호는 5점 척도 기준에서 4.19점으로서 높은 편이었고, 정책옹호보다는 계층 및 사례옹호에 대한 태도가 높았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집단,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의 권리옹호가 높았다. 회귀분석결과 대학교육과정에서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이 권리옹호에서 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전문직인 예비사회복지사를 교육함에 있어 각 교과목에서 인권과 권리옹호에 대한 내용 강화, 직접적인 경험과 참여를 통한 다각적인 수업방식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신용경제사회와 가정경영학의 과제 (Credit Economic Society and the Subject of Home Management)

  • 현미옥;채옥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71-81
    • /
    • 2004
  •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redit economic society and the frequency of credit use, and to suggest the method of home management in credit economic society. First of all, the consumer education of credit will have to convenience the utilization of consumer education, to supply the information of credit value and a contract thinking, and to develop the variety of media and tools in consumer education.

  • PDF

죽음준비교육이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 대구지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Daegu, Korea -)

  • 장경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3-4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focusing on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as voluntar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otaling fourteen participants in each group. In exploring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a total of seven independent sessions dealing with death education over a period of four weeks. As a result of the death education, scores of death orientation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greater comfort with the concept of death, as well as death being the prolongation of one life and new hope for an ensuing life.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greater appreciation for life, more confidence in setting future goals for their lives, and an awareness of, and ability to deal positively with suicidal tendencies in themselves and others. This research demonstrated a strong practical benefit associated with death education and suicidal ideation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