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b Network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8초

Scree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Related to Bladder Cancer and Functional Analysis with DNA Microarray

  • Huang, Yi-Dong;Shan, Wei;Zeng, Li;Wu, Y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553-4557
    • /
    • 201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enes related to bladder cancer with samples from normal and disease cases by microarray chip. Methods: After downloading the gene expression profile GSE3167 from Gene Expression Omnibus database which includes 50 bladder samples, comprising 9 normal and 41 disease sample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identified with packages in R language. The selec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further analyzed using bioinformatics methods. Firstly, molecular functions, biological processes and cell component analysis were researched by software Gestalt. Then, software String was used to search interaction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nd hub genes of the network were selected. Finally, by using plugins of software Cytoscape, Mcode and Bingo, module analysis of hub-genes was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221 genes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by comparing normal and disease bladder samples, and a network as well as the hub gene C1QBP was obtained from the network. The C1QBP module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to production of molecular mediators involved in inflammatory responses. Conclusion: We obtain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bladder cancer by microarray, and both PRDX2 and YWHAZ in the module with hub gene C1QBP were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production of molecular mediators involved in inflammatory responses. From knowledge of inflammatory responses and cance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hub gene and its module could induce inflammation in bladder cancer. These related genes are candidate bio-markers for bladder cancer diagnosis and might be helpful in designing novel therapies.

도로화물수송의 단일할당 제약 허브네트워크 설계 (A Strict Hub Network Design with Single Allocation for Road Freight Transportation)

  • 김남주;김용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1-100
    • /
    • 2011
  • 허브네트워크 설계는 수송량의 증가에 따라 단위 수송비가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효과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총 물류비용을 최소화시키는 허브입지, 기종점별 수송경로를 결정하는 최적화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허브가 한 개의 허브에만 연결되고, 기종점간의 직결수송이 허용되지 않고 허브간 수송만을 허용하는 단일할당 제약 허브네트워크 설계를 통해 네트워크의 최적 허브입지를 제시하지 못했던 김남주 외 (2008)의 한계를 극복하여 최적 허브입지를 결정적으로 제시하였다. 허브집합 결정과정에서는 greedy-interchange algorithm을 사용하였고, 수송경로탐색에서는 EMME/2를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전국 도로수송 네트워크에 적용한 결과, 최적 허브입지는 수도권, 경남권, 충남권, 전남권, 경북권, 충북권 등의 순서로 선정되었으며, 수송의 간선축인 경부축에 집중되었다. 단일할당 제약 허브정책으로 각 기종점간 직접운송 대신에 허브를 경유하는 운송 방식을 취함으로써 운송거리는 증가했으나, 수송비용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또한 기종점-허브간 우회거리 단축으로 인한 수송비용 절감보다 허브간 수송량 분산으로 인한 규모의 경제효과 감소가 더 커 허브수가 늘어남에 따른 수송비용 감소폭은 점차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GIS프로그램을 이용한 공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국내 화물수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로수송의 최적 허브입지와 수송경로를 결정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국가물류비용을 절감하려는 정책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축산시설 차량이동 네크워크의 허브시설 도출 (Hub Facilities in Vehicle Movement Network between Livestock Facilities)

  • 이경주;박선일;이광녕;김한이;박진호;홍성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7-146
    • /
    • 2018
  • 축산시설 사이의 차량이동은 국내에서 가축전염병 확산의 주요 원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축산시설의 차량이동 네트워크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허브시설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KAHIS(Korea Animal Health Intergrated System)에서 제공하는 축산시설의 차량 진출입자료를 활용하였다. 허브시설의 도출에는 사회연결망 분석의 대표적인 중심성 지표인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 지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산시설의 차량이동 네트워크에는 다른 시설에 비하여 매우 높은 중심성 지표 값을 가지는 소수의 허브 시설이 존재한다. 둘째, 연결정도 중심성 기준의 허브시설은 사료공장, 집유장, 도축장, 도계장, 가축시장이다. 셋째, 매개 중심성 기준의 허브시설은 가축시장, 사료공장, 도축장이다. 넷째. 연결정도 중심성에 기반한 허브시설은 특정지역에 집중되어 입지하고 있으나, 매개 중심성에 따른 허브시설을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다섯째, 중심성 지표에 따른 허브시설은 시간이 지나도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연구는 축산시설 사이의 차량 이동이 가축 전염병 전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상황에서, 방대한 진출입 자료를 활용하여, 허브시설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지역거점물류센터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아시아 지역 허브 공항을 중심으로 (Locational Preferences for Regional Distribution Center : Focused on Asian Hub Airports)

  • 송재길;방완혁;송상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2
    • /
    • 2016
  • As supply chains are globalized, multinational companies are trying to optimize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 hub and spoke structure. In this hub and spoke network structure, multinational companies locate regional distribution centers at hub airports, which serve demands in their corresponding regions. Especially when customers put higher priority on the service lead-time, hinterlands of international hub airports become ideal candidate locations for the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By utilizing excellent airport and logistics services from hub airports, regional distribution centers in the hub airports can match supply with demand efficiently. In addition,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may increase air cargo volume of each airport, which is helpful in the current extremely competitive airport industry. In this paper, we classified locational preferences into three primary categories including demand, service and risk and appli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to prioritize factors of locational preferences. Primary preference factors include secondary factors. Demand factor contains access to current and prospect markets. Service factor comprises airport and logistics perspectives. Service factor in terms of airport operations includes secondary factors such as airport service and connectivity. Service factor in terms of logistics operations contains infrastructure and logistics operations efficiency. Risk factor consists of country and business risks. We also evaluated competitiveness of Asian hub airports in terms of candidate location for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The candidate hub airports include Singapore, Hong Kong, Shanghai, Narita and Incheon. Based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we derived strategic implications for hub airports to attract multinational companies' regional hub distribution centers.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구조적 특징과 필수 단백질의 연관성 분석 (An Analysis of Association for Essential Proteins in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 강태호;류제운;이윤경;여명호;정영수;권미형;유재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2-845
    • /
    • 2008
  •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는 허브(Hub)라 할 수 있는 상호작용 수가 많은 소수의 단백질과 상호작용 수가 적은 다수의 단백질들로 구성된다. 최근 들어 여러 연구들에서 허브 단백질이 비 허브(Non-hub) 단백질보다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필수적인 단백질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중심-치명 룰(Centrality-lethality Rule)이라 하는데, 이는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허브단백질의 중요성 및 네트워크 구조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폭넓게 신뢰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심-치명 룰이 항상 옳게 적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Uetz, Ito, MIPS, DIP, SGD, BioGRID와 같은 효모에 관한 공개된 모든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들을 분석하였다. 흥미롭게도, 상호작용 데이터가 적은 데이터베이스들(Uetz, Ito, DIP)에서는 중심-치명 룰을 잘 나타냈지만 상호작용 데이터가 대용량인 데이터베이스들(SGD, BioGRID)에서는 중심-치명 룰이 잘 맞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SGD와 BioGRID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얻은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하고 DIP 데이터베이스의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비교해보았다.

  • PDF

A Novel Sensor Data Transferring Method Using Human Data Muling in Delay Insensitive Network

  • Basalamah, Ana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21-28
    • /
    • 2021
  • In this paper, a novel data transferring method is introduced that can transmit sensor data without using data bandwidth or an extra-processing cycle in a delay insensitive network. The proposed method uses human devices as Mules, does not disturb the device owner for permission, and saves energy while transferring sensor data to the collection hub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This paper uses IP addressing technique as the data transferring mechanism by embedding the sensor data with the IP address of a Mule. The collection hub uses the ARP sequence method to extract the embedded data from the IP address. The proposed method follows WiFi standard in its every step and ends when data collection is over. Every step of the proposed method is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help of figures in the paper.

수동이중성형 광통신망에서 노드 그룹핑을 이용한 WDM/SCM 다중접속 프로토콜 설계 (A WDM/SCM Multiple Access Protocol Using Node Grouping for Passive Double Star Optical Networks)

  • 유진태;이명문;김용범;박시우;박진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9호
    • /
    • pp.652-6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수동이중성형 구조의 광통신망에 적합한 WDM/SCM 다중접속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망의 구조는 노드들을 그룹화하여 부허브(sub-hub)로 연결하고 부허브들은 다시 중앙허브(central hub)에 연결된 이중성형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그룹에는 WDM 채널이 home 채널로 할당되어 있고, 각 노드는 패킷의 수신을 위한 고유의 SCM 채널이 할당되어있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망내의 노드수가 아닌 그룹수 만큼의 슬롯으로 프레임을 구성하기 때문에 슬롯을 기다리기 위한 패킷의 평균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이중성형구조의 망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위한 제어패킷의 전파지연을 중앙허브와 송신 노드간의 전파지연이 아니라 부허브와 송신 노드간의 전파지연으로 제한하여 패킷의 전파지연을 줄였다. 해석적 모델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성능 비교로부터 프로토콜 분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망의 수율 및 패킷의 평균지연 성능이 우수하며 높은 채널 활용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장보고의 해양네트워크 경영의 재조명을 통한 동북아 허브항만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Hub Port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the Maritime Network Management of Jang BoGo)

  • 박명섭
    • 무역상무연구
    • /
    • 제27권
    • /
    • pp.69-95
    • /
    • 2005
  • East Asi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the Asian pacific region and in the global arena. In the region the impact of companies centralizing their logistics activities around a few distribution centers has already led some leading ports such as Singapore, Hong Kong to transform and expand their functions and business activities to provide port users with value added logistics services. Other ports in the region also have an important part to play in the total logistics Chain. In these environments, the maritime activities of Jang BoGo, who was the maritime king of the commercial maritime empire in East Asia in the 9th century, give many implications to the international logistics network strategy that Korea has to take in order to become a power of International Logistics. Though the trading and economic environments at that time may be quite different from today, the super-national maritime management pattern that Jang Bo-go, founder of the Northeast Asian maritime trading kingdom devised, gives us many implications in the global trading and economic environments, in the respects of overseas direct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logistics. Accordingly,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hub port in Northeast Asia, modelled after the maritime network management strategy of Jang BoGo.

  • PDF

Identification of Hub Genes in the Pathogenesis of Ischemic Stroke Based on Bioinformatics Analysis

  • Yang, Xitong;Yan, Shanquan;Wang, Pengyu;Wang, Guangmi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5호
    • /
    • pp.697-709
    • /
    • 2022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unction of ischemic stroke (IS) patients' peripheral blood and its role in IS, explore the pathogenesis, and provide direction for clinical research progress by comprehensive bioinformatics analysis. Methods : Two datasets, including GSE58294 and GSE22255, were downloaded from Gene Expression Omnibus database. GEO2R was utilized to obtain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Gene Ontology (GO)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pathway enrichment analysis of DEGs were performed using the database annotation, visualization and integrated discovery database.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PPI) network of DEGs was constructed by search tool of searching interactive gene and visualized by Cytoscape software, and then the Hub gene was identified by degree analysis. The microRNA (miRNA) and miRNA target genes closely related to the onset of stroke were obtained through the miRNA gene regulatory network. Results : In total, 36 DEGs, containing 27 up-regulated and nine down-regulated DEGs, were identified. GO functional analysis showed that these DEGs were involved in regulation of apoptotic process, cytoplasm, protein binding and other biological processes. KEGG enrichment analysis showed that these DEGs mediated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human T-cell lymphotropic virus (HTLV)-I infection and microRNAs in cancer. The results of PPI network and cytohubba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DEGs, and five hub genes related to stroke were obtained : SOCS3, KRAS, PTGS2, EGR1, and DUSP1. Combined with the visualization of DEG-miRNAs, hsa-mir-16-5p, hsa-mir-181a-5p and hsa-mir-124-3p were predicted to be the key miRNAs in stroke, and three miRNAs were related to hub gene. Conclusion : Thirty-six DEGs, five Hub genes, and three miRNA were obtained from bioinformatics analysis of IS microarray data, which might provide potential target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IS.

단일할당 복합운송 허브 네트워크 설계 모형 개발 (A Single Allocation Hub Network Design Model for Intermodal Freight Transportation)

  • 김동규;강성철;박창호;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9-141
    • /
    • 2009
  • 복합운송은 두 개 이상의 수송수단을 이용하는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수송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합운송이 허브 네트워크에 활용되면 집화된 수송량이 보다 적절한 수단들과 기술들에 의해 수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복잡성 등으로 인하여 복합운송 허브 네트워크 설계 문제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활발하게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할당 전략을 이용하는 복합운송 허브 네트워크 설계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수송비용, 재고비용, 서비스지체비용 등 복합운송 허브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비용요소들을 고려하는 한편, 운행빈도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수송량 집화에 따른 수송 규모의 경제 효과를 내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 복합운송을 활용하는 실제 허브 네트워크의 특성들을 잘 반영할 수 있다. 개발된 모형은 비선형 정수계획 문제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모형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모형을 단순화함으로써 향후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출발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복합운송 허브 네트워크의 설계뿐만 아니라 기존의 물류시스템 평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