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ttuynia Cordata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18초

마우스 대식세포 RAW264.7에서 어성초와 야관문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and Lespedeza cuneata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김정태;정정욱;박성익;이만효;노중희;손호용;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3-8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HC) 와 야관문(Lespedeza cuneata, LC)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LPS를 처리한 RAW264.7세포에서 HC와 LC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어성초와 야관문의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nitric oxide (NO) 생산을 저해하였으며, iNOS의 발현도 감소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HC와 LC의 메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플라보노이드 중 HC와 LC에 공통적으로 함유된 apigenin을 선택하여 추가실험을 진행하였다. Apigenin은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NO 생산을 저해하였으며,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도 억제하였다. 또한, apigenin은 p38 MAPK와 JNK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Apigenin 처리에 의해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RNA-seq 분석을 수행하였다.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 중 4개의 cytokine 유전자(IL-1α, IL-1β, IL-6, CSF2)의 발현 감소를 정량적 real-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어성초와 야관문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apigenin이 두 약용 작물의 항염증 활성을 담당하는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 박우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39
    • /
    • 2014
  • 국수를 만들 때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어성초의 적절한 첨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점도 특성, 국수를 만든 다음 조리시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95^{\circ}C$에서의 점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최고점도와 $95^{\circ}C$에서 15분 후의 점도와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조리면은 대조구에 비하여 중량과 부피가 감소하였으나 어성초 분말 0.5%, 1.5% 첨가구는 중량에 있어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0.5% 첨가한 국물의 흡광도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다른 어성초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어성초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조리면의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시험구의 색도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대조구, 어성초 분말 0.5%, 1.5%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 제조시에 0.5%까지 첨가하는 것은 국수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어성초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Effect of $\gamma$-Irradi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 류근영;심성례;정민석;전삼녀;조철훈;송현파;김경수;김연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11-42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고, 여러 가지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한약재 중의 하나인 어성초를 10 kGy로 조사하여 휘발성 유기성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연속증류추출장치로 추출하고 이를 GC/MS로 사용하여 분석.확인하였다. 비 조사 시료와 10 kGy의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한 시료에서 확인된 휘발성 유기성분은 각각 83종과 85종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관능기별 함량으로는 alcohol류와 ketone류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여 어성초의 주요휘발성 유기화합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성초의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hexahydrofarnesyl acetone, phytol,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 octadecanol, caryophyllene oxide, 2-undecanone 및 menthol 등이었다. 특히 houttuynum은 그 함량이 다른 주요 화합물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확인되었으나, 어성초의 특징적인 비린내 성분을 부여하는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어성초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이며, 항균, 항진균, 항생물, 항염증 및 항종양 등의 여러 가지 효능이 입증되고 있는 terpene류의 상대적인 함량도 다량 확인되었다. 조사에 따른 함량은 비 조사시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어성초의 위생화 처리 효과를 고려할 때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며, 한약재의 위생화 방안과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여러 연구들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이 Tyrosinase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 -연구노트-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 진종언;조남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84-1288
    • /
    • 2005
  • 멜라닌 색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tyrosinase 프로모터를 지닌 Bl6 mouse melanoma cell에 어성초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10$\mu$g/mL와 1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약 13$\%$와 45$\%$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세포생존율은 1$\mu$g/mL, 10$\mu$g/mL, 100$\mu$g/mL의 농도에서 약 104$\%$, 101$\%$, 74$\%$로서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났다. Butyl alcohol과 물 분획물은 tyrosinase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없 었지만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은 tyrosinase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은 10$\mu$g/mL와 1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82$\%$와 48$\%$의 발현율을 나타냄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tyrosinase유전자의 발현을 크게 억제하였다.

둥굴레, 어성초, 구기자 혼합 음료의 배합비 최적화 및 항산화 효과 (Optimization of Produ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Beverage Prepared using Hot-water Extracts of Polygonatum odoratum, Houttuynia cordata, and Lycium chinensis)

  • 강민경;김일출;장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35-8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당류 등 별도의 첨가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직 둥굴레, 어성초 및 구기자로부터 추출한 열수추출액만을 혼합하여 기호도가 높으면서도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 효능을 가진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관능평가와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이들 재료의 혼합비율을 최적화하고 최적 비율로 혼합 제조한 음료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음료 제조 시 열수추출액들의 최적 혼합비율은 둥굴레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2.15%, 어성초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1.74%, 구기자 열수추출액의 첨가비율 0.19%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제조한 음료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조사한 총 폴리페놀, 전자공여능 및 환원력은 각각 3.42 mg/mL, 23.78% 및 0.26이었다.

전남 함평산 자색양파 추출물의 항균효과와 피부장벽 보호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s and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of Red Onion Juice Produced in Jeon-Nam province in Korea)

  • 윤대환;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6
    • /
    • 2012
  • 1. 추출방법, 추출농도에 따라 항균력의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양파, 자색양파의 1%, 5%, 10% 생즙추출물 모두,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1917), Staphylococcus aureus subsp(ATCC6538)에 양호한 항균력을 보였다(81%~100%). 어성초 열수추출물은 10% 고농도에서만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1917), Staphylococcus aureus subsp(ATCC6538)에 항균력을 보였다(100%). 2. 자색양파, 어성초, 일반양파의 1%, 5%, 10% 추출물 모두, 식중독 균인 Escherichia coil,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3. 자색양파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0.01%, 0.05%, 0.1%, 0.5%로 처리하였을 때, 피부장벽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반면, 일반양파 추출물도 농도 의존적으로 filaggrin과 SPT발현양을 증가시켰지만, 자색양파 추출물에 비하여 발현양이 많지 않았다. 4. 피부 염증 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자색양파와 어성초의 0.01%, 0.05%, 0.1%, 0.5%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반면 일반양파 추출물도 농도 의존적으로 COX-2의 발현과 AP-1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자색 양파 추출물에 비하여 감소양이 적었다. 5. 자색양파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은 피부 장벽기능 조절인자인 filaggrin과 SPT의 발현양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을 강화하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 염증 반응 인자도 감소시켜 항염증효과가 있어, 피부미용기능재료로서의 가능성 보여주었다.

인체유방암세포에서 Cyclooxygenase-2 활성 및 Prostaglandin E2 생성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영향 (Antiproliferative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was Associated with the Inhibit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 정일홍;조인주;박철;최영현;박동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90-696
    • /
    • 2006
  • Houttuynia cordata Thunb, well known as 'E-Sung-Cho' in Korea, is a traditional medicinal plant generally used in Oriental medicine therapy.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ter extract of H. cordafa (WEHC) on the growth of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Exposure of MCF-7 cells to WEHC resulted in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MTT assay and fluorescent microscop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WEHC was associated with a dose-dependent up-regul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 in a p53-independent fashion. We found WEHC decreased the levels of cyclooxygenase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ease (iNOS) expression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COX-1 , which was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prostaglandin $E_2{\;}(PGE_2)$ synthesi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new insights into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H. cordata.

Houttuynia cordata Improves Cognitive Deficits in Cholinergic Dysfunction Alzheimer's Disease-Like Models

  • Huh, Eugene;Kim, Hyo Geun;Park, Hanbyeol;Kang, Min Seo;Lee, Bongyong;Oh, Myung So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3호
    • /
    • pp.176-183
    • /
    • 2014
  • Cognitive impairment is a result of dementia of diverse causes, such as cholinergic dysfunction and Alzheimer's disease (AD). Houttuynia cordata Thunb. (Saururaceae) has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t ha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amyloid beta ($A{\beta}$) toxicity, via regulation of calcium homeostasis, in rat hippocampal cells. To extend previous repor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H. cordata herb (HCW) on tauopathies, also involving calcium influx. We then confirmed the effects of HCW in improving memory impairment and neuronal damage in mice with Ab-induced neurotoxicity.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CW against scopolamine-induced cholinergic dysfunction in mice. In primary neuronal cells, HCW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tau by regulating p25/p35 expression in $A{\beta}$-induced neurotoxicity. In mice with $A{\beta}$-induced neurotoxicity, HCW improved cognitive impairment, as assessed with behavioral tasks, such as novel object recognition, Y-maze, and passive avoidance tasks. HCW also inhibited the degeneration of neurons in the CA3 region of the hippocampus in Ab-induced neurotoxicity. Moreover, HCW, which had an $IC_{50}$ value of $79.7{\mu}g/ml$ for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meliorated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significantly in Y-maze and passive avoidance task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CW improved cognitive impairment, due to cholinergic dysfunction, wi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tauopathies and cholinergic antagonists, suggesting that HCW may be an interesting candidate to investigate for the treatment of AD.

재배지역이 다른 어성초의 부위별 화학성분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Cultivated from Different Local Area)

  • 조영숙;김용택;손미예;최성희;이용수;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8-112
    • /
    • 2000
  • Proximate composition , volatile compounds, free amino acids, fatty acids and inorganic compounds in leaf, stem and root of Houttyunia cordata Thunb cultivated from two different area, Bosung and Sunchon , were analyzed. Each par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from both local area showed moisture contents of 80-84% and crude ash contents of 2.1 ∼2.8%. Crude fat and protein contents were less than 3 % showing slightly higher contents in leaf than in both stem and root . Twenty six volatile compunds were identified from the parts of the plant, the volatile contents were high in the oder of leaf, root and stem.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mostly derivatives of decanoic acid ; decanoic acid, 20 tridecanoie, decanal and dodecanoic acid. Of free amino acids in leaf asparagine was the highest, while in stem hydroxyproline, proline and arginine were the major free amino acids.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in the stem and root, and linolenic acid was highest in leaf. the major minerals of all parts were K, Ca. Mg, P, Fe, Zn and Cu, showing highest with K.

  • PDF

어성초 분말 및 즙의 급이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간장, 뇌 및 신장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and Juice on Lipid Composition of Liver, Brain and Kidney in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 성낙주;이수정;신정혜;정미자;임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230-1235
    • /
    • 1998
  • For the investigation to the effects of H. cordata on prevention of hypercholesteromia, dietary hypercholesteromic rats were fed for 4 weeks with basial diet containing 5, 10, 15, 20% H. cordata powder, 5, 10 and 15% H. cordata juic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of liv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xperimental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Phospholipid contents in liver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ntents of free cholesterol in livers were ranged from 0.4$\pm$0.2 to 0.7$\pm$0.5mg/kg and cholesteryl ester contents were lower in H. cordata juice added groups than H. cordata powder added groups. Total cholesterol content in brain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lesterol not added, H. cordata powder added at 15, 20% and its juice added group at 15%. The more powder and juice of H. cordata were added to basial diets, the lower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were detected in brains. Contents of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in brains were not significance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 kidneys, total cholesterol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 in control group and H. cordata powder of 5% was added group. Triglyceride, phospholipid and cholesteryl ester contents in kidney were not significant in all groups. Contents of free cholesterol in kidney were equally significant between cholesterol free and 15% H. cordata juice treat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