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Financ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공동주택 후분양 전환에 따른 프로젝트 금융의 현황 및 활용방안 (The Current State and Application of project Financing followed by Sale after Building System of the Apartment)

  • 이성록;문휘영;이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218-225
    • /
    • 2004
  • 주택건설시장에서 정부의 후분양 방식 도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기존의 건설금융 기법으로는 건설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없게 되어 자금의 유동성 및 사업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주택건설산업에서 분양대금 수입의 시기변화에 따라 선분양의 장점이었던 건설금융 및 사업안정성 확보가 어려워지기 때문으로, 시장충격의 완화를 위한 방안마련 및 건설 자금조달을 위한 건설금융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양을 통해 공급되는 공동주택으로 시행사-건설업체 도급방식의 계약으로 이루어진 주택공급사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설 SWOT 분석을 통하여 주택분양사업의 후분양 전환시 선분양 자금을 대체할 수 있는 자금조달 기법으로서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기대효과 및 적절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택분양사업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활용할 경우, 자금조달 및 사업위험 감소를 위한 전략 수립 시 기초적 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것으로 기대된다.

노인공동생활가정의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 (Elderly Group Homes in Korea - How They are Operated and What Needs to Be Done to Promote Them? -)

  • 지은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53-60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and evaluating the current operating model of elderly group homes in Korea, which were introduced with the amendment to the Welfare of the Aged Act in 2008, based on a survey of 25 managers of such homes. There are several key themes identified in the evaluation of their operation in terms of human resources, service, space and finance. The number of employees at the homes complied with the applicable law, with the majority having more employees than the minimum legal requirement for the care of residents. A wide variety of service programs were offered for residents. Typically located within detached houses purchased on the first floor, the homes varied in size from 73 square meters to 560 square meters, with each having a distinctly residence-like atmosphere. The greatest challenge such homes face was a shortage of financial resources. Many struggled to operate because they have no other source of revenue than payments from residents. Consequently, to help promote elderly group homes, there needs to be state-level support for the view that providing assistance for self-sufficient elders can save social costs in the long run by delaying their transition to a physical state requiring constant nursing.

가계저축규모의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Family Savings)

  • 양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1-215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family savings. Family savings were defined in four ways such as monthly savings, average propensity to save, financial assets, and net financial assets.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dealt with were family income, household size, number of earners, age, occupation, education, housing tenure, and urbanization.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Survey of Family Finance 1990. The main statistical method was multiple regression. Family income was found to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determine four family saving variables holding other characteristics constant. Also, household siz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savings. Two-earner households were found to have high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and less financial assets compared to single-earner households. Fro monthly savings and average propensity to save, the households with forties andfifties household head tended to be less than others, while financial asset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age of household head. Compared to salary earner households, blue-colored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low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and the households with professionals had significantly higher financial assets. The college-graduated households tended to have less monthly savings than the elementary-graduated households. Also, the housing renters were found to have more monthly savings and higher average propensity to save, compared to the housing owners.

  • PD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Residential Space Demand in the Untact Era: The Case of South Korea

  • KIM, Sun J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675-682
    • /
    • 2021
  • The study analyzes the demand for residential space in the Untact Era. Residential space comprises six categories: the most necessary dedicated space (DS), most preferred south-facing space (SFS), largest space (LS), most necessary shared space (SS), most necessary infra-space (IS), and others.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1) All respondents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relaxing spaces except DS. 2)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S, SFS, and LS by age and SS; IS by residential area; and DS, SS, and IS by household size. 3) People aged 60+ preferred a living room while people aged 40-59 preferred a larger kitchen. Seoul citizens preferred gardens or parks in the complex or neighboring forests whereas local citizens preferred shared offices and medical centers. Households of three or more persons preferred a park/forest and two-person households preferred a honbap restaurant. The implications for housing policy are as follows. 1) Nature-friendly spaces are needed to alleviate a sense of isolation. 2) Changing demand for residential space should be reflected in housing policies. 3) The government's housing supply policy with the same residential space and structure must be changed to provide various residential spaces according to age, residential area, and household size.

권역별 주택금융부채 실태 (Home Financing and its Debt Load of Home-owning Households in korea)

  • 한지영;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6-300
    • /
    • 2011
  • It's well known that housing is one of the largest holdings in household wealth and at the same time the majority of households highly concentrate on it for their wealth accumulation. Coupled with a low interest rate and increasing housing price, the rationale is conspicuous and the propensity to debt-financed consumption becomes strengthened.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isk of home financing. In doing so, the study utilized several secondary dat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ho finance loans for home buying in three regions of the nation - so-called Bubble 7,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s. Based on the 2009 KB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tudied household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ho owned a house lived in rental housing, housing accounted for 89% of the household wealth, and home loans taken on were a ballon payment amortized for a short-term period (5 years) with an adjustable interest rate. In addition, the payment method most of the households depend on is income. The financing mechanism fueled debt load of the households, and further they are financially very vulnerable to such factors as increase in interest rate, unemployment and market downturn. In the absence of understanding the financial system, the consumption behavior leads to house-poor, so that financial accountability and ethics are addressed while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in home financing system should be more cautious but stimulate financial soundness in household wealth accumulation.

  • PDF

주택 정책의 지역별 시장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A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for Analyzing Ripple Effect of Housing Policy by Region)

  • 윤인석;박문서;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68-78
    • /
    • 2019
  • 최근 주택 가격이 전국적으로 상승하였고 정부는 실수요자 보호를 위해 금융, 세금 등 다양한 규제를 지역에 따라 시행하였다. 정책 시행 이후 전국적인 주택 가격 평균은 안정되었으나 지역 별로 살펴보면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규제로 인해 오히려 실수요자가 피해를 볼 우려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정책 계획 및 분석에 있어 시장 변수 간의 상관관계 뿐 아니라 미시적으로 시장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정책의 효과가 파급되는 지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수 간 인과관계로 구성되는 시장 구조 분석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와 시장 참여자들의 의사 결정 과정 모델링을 위한 행위자 기반 모델을 통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개발한 모델에 금융 규제와 세금 규제를 적용하여 주택 가격의 변화와 이에 시장 참여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 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격 안정화라는 같은 목적을 가진 두 규제에 대해 시장 참여자들이 다른 의사결정을 함에 따라 시장을 지배하는 피드백의 차이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정책 대상 지역 뿐 아니라 그 이외의 지역에 대해서도 다른 파급효과가 나타났다.

도시 주택시장의 변동성과 부동산 정책의 한계 : IMF 위기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Volatility of Urban Housing Market and Real Estate Policy after the IMF crisis)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8-160
    • /
    • 2009
  • IMF 위기로 위축되었던 도시 주택시장은 당시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과 더불어 대규모 도시개발 및 부동산 관련금융의 팽창으로 활성화되면서 주택가격의 폭등으로 이어졌고, 지난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정책에 의해 겉으로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 그러나 주택시장에 내재된 문제점들과 2008년 중반 이후 국제금융위기의 영향으로, 한국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의 주택시장은 금융위기 및 실물경제 위기와 맞물려 붕괴될 우려를 자아내게 되었고, 현 정부는 이에 대한 강력한 규제완화 정책을 펴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 주택시장의 역동성은 기본적으로 자본축적을 위한 지속적인 대규모 도시(재)개발, 주거지분화와 독점적 자산이득(즉 독점지대)의 전유, 그리고 부동산의 금융자본화 및 부동산 시장과 금융시장의 결합에 기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도시 주택가격이 완만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로 인한 국내 금융위기 발생의 우려를 명분으로 현 정부는 각종 탈규제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탈규제정책들은 오히려 부동산 투기와 주택가격의 폭등을 초래할 가능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완만한 가격하락은 부동산 시장, 나아가 사회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임을 전제로, 대안적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국민주택 공급 및 건설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Zero Rate of V.A.T. to National Housing Supply and Construction Service)

  • 노기원;황욱선;이종광;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4-73
    • /
    • 2010
  • 본 연구는 현행 국민주택 공급 및 건설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제도의 한계를 분석하고, 주택건설업체 아파트 건설현장 부가가치세 신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민주택에 대한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불공제 규모를 산출하였다. 매입세액을 공제하고 건설업체의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부가가치세 영세율을 적용하는 경우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국민주택 면세제도가 갖고 있는 한계를 근원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영세율 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영세율 제도 적용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국민주택 공급 및 건설과정에서 부담한 매입세액이 공제되며, 건설원가의 6.06%에 상당하는 매입세액 공제로 건설업체의 유동성 개선과 이로 인한 차입금 규모 축소, 이자비용 감소 등으로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동성 개선으로 국민주택 공급을 현재보다도 늘리려 할 것이며, 현재보다 국민주택 건축비 분양가를 최소 4.59%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act of Microfinance Programs on Borrowers' Asset Accumulation: An Empirical Study in Bangladesh

  • AHAMAD, Shamsuddin;BHUIYAN, Abul Bashar;SOLAIMAN, Mohammad;JOARDER, Mohd Hasanur Raih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1147-1154
    • /
    • 2021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microfinance program on loan borrowers' asset accumulation. In doing this, the study used descriptive and statistical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s.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192 respondents from Bangladesh using survey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borrowers said their assets such as farm, land, and livestock remained the same, which implies that microfinance borrowers still lag behind accumulating household assets. However, in the case of housing conditions and household appliances, there was a marginal increase. The regression result provides evidence that, among other factors, the amount of loan received from microfinance institutions and time duration with them is the most significant role-playing factor for borrower's sustainable well-being. The age and education level of borrowers are identified as positively related to asset accumulations, but not substantially so. Moreover, training provided by microfinance institutions is not effective and influential for microfinance borrowers' wealth accumulation, which is evidenced by the findings. This study's insights are worthwhile for any microfinance institution's decision-makers, development partners, and government to stress the shortcomings and accelerate the borrower's wealth status.

중국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중국에 대한 FDI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about Effect Factors of Chinese Housing Price: Focusing on FDI into China)

  • 최백렬;곽화빙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263-283
    • /
    • 2011
  •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30년간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주택체제 개혁, 주택금융의 신속한 발전에 따라 중국 부동산산업이 빠르게 성장했으며 부동산투자가 급증하고 부동산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특히 2001년 중국이 WTO 가입한 후 부동산시장의 개방에 따라 외국계 기업은 잠재적 이익기회가 많은 중국 부동산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 외자부동산기업의 투자영역은 주택에서 오피스 빌딩, 고급상가 등으로 다양화해지고 경영분야도 부동산개발에서 관리, 중개서비스, 임대경영, 금융투자 등 다양한 업무로 확대했다. 본 연구는 중국 주택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외국인직접투자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 모형을 설정하고, 중국을 경제발전이 앞선 동부 16개 도시와 중서부 19개 도시로 구분하여 부동산분야 외국인직접투자, 부동산분야 대출총액, 이자율, 환율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동부지역에 대한 부동산분야 외국인직접투자는 동 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중서부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환율변수의 경우 양지역 모두에서 가격상승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부동산분야 대출총액과 이자율은 주택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