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ta breed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4초

좀비비추[Hosta minor (Baker) Nakai] '늘푸름 1' 육성 (New Cultivar Breeding of Hosta minor 'Neulpureum 1')

  • 고충호;이종석;김현진;이정호;이기철;이승연;김상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9-422
    • /
    • 2018
  • '늘푸름 1 (Neulpureum 1)'은 국립수목원에서 육종한 품종으로, 좀비비추와 원예품종인 Hosta 'Krossa Regal'을 교잡 후 얻은 개체를 특성에 따라 선발하여 육종하였다. 선발은 잎의 색이 진하고 잎에 존재하는 굴곡의 크기가 작은 개체를 기준으로 하여 선발하였다. 그 결과 대조품종에 비해 짙은 녹색을 유지하는 기간이 길고, 초장이 짧으며, 풍부한 잎을 가지고 있는 개체가 선발되었다. 이렇게 선발된 개체는 무성증식방법으로 개체수를 늘렸으며, 3년간 재배하며 특성을 고정 및 조사하였다. 이렇게 육종된 '늘푸름 1 (Neulpureum 1)'은 가지고 있는 특징 때문에 반음지의 지피용 뿐만 아니라 분화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는 만큼 활용적 가치가 매우 높은 신품종이다.

Incidence and variability of Hosta virus X and seed-transmission in Hosta plants

  • Park, M.H.;Lee, J.S.;K.H. Ry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44.2-145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Hosta uirus X (HVX), a Potexvirus, from cultivated hosta ornamental plants in Korea and to ascertain seed transmission of the virus from infected parent plant to progeny ones for breeding program of hosta plants. Infection rate of HVX in cultivated hostas was 25.6 % (11 out of 43 collected samples contained HVX) based on Western blot and RT-PCR detection methods. Most of HVX-infected hostas showed visible systemic leaf symptoms (mosaic, mottle, curling, stunting or combinations). Variability of HVX was confirmed by sequences of coat protein gene of individual isolates from different hostas. HVX was seed-transmitted on Hosta 'Blue Cadet'. The virus was detected from seeds, and sprouts and seedlings from the virus-contaminated seed sources. Over 7.5 % of seeds were HVX-contaminated surveyed in this study, Our data suggest that HVX can be transmitted by seed source, and indexing of the virus should be done for breeding program of Hosta.

  • PDF

좀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Blue Edge' 육성 (New Cultivar 'Blue Edge' of Leaf Variegated Hosta minor)

  • 김현진;이종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2-655
    • /
    • 2012
  • 좀비비추 'Blue Edge'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EMS(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에서 잎 가장자리에 진한 녹색무늬가 들어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3년부터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하였는데, 'Blue Edge'는 잎가장자리에 진한 녹색무늬가 년 중 변함없이 균일하게 발현 되는 것이 특징이다. 잎의 무늬가 독특하여 분화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신품종이다.

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Yellow Tiara' 육성 (New Cultivar 'Yellow Tiara' of Leaf Variegated Hosta)

  • 김현진;이종석;김재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4-506
    • /
    • 2012
  • 'Yellow Tiara'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MMS(m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에서 연두색의 잎을 가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4년부터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하였는데, 'Yellow Tiara'는 잎 전체가 순수한 연두색으로서 년 중 색상에 변함이 없고 특성이 균일하게 발현된다. 잎의 색상이 독특하고 분화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신품종이다.

EMS 처리에 의한 좀비비추[Hosta minor (Baker) Nakai]의 엽색변이 품종 '황나래' 육성 (New Cultivar 'Hwangnarae' of Leaf Color Variegated Hosta minor Developed by EMS Treatment)

  • 김진호;이종석;오혜진;김상용;김희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2-176
    • /
    • 2021
  • '황나래(Hwangnarae)'는 국립수목원에서 육종한 품종으로 돌연변이 유기 화학물질인 EMS를 활용하여 돌연변이 개체를 유도하였다. 변이체 선발을 통해 잎 가장자리에 황록색의 테두리가 들어간 무늬종을 선발하였다. 이렇게 선발된 개체는 영양번식을 통하여 개체 수를 늘렸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간 특섬검정을 실시하여 잎 가장자리에 황록색 무늬가 균일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한 후 2019년 최종 선발되었다. '황나래 (Hwangnarae)'는 지피용이나 분화용으로 활용적 가치가 매우 높다.

좀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White Edge' 육성 (New Cultivar 'White Edge' of Leaf Variegated Hosta minor)

  • 김현진;이종석;박광우;김성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6-518
    • /
    • 2013
  • 좀비비추 'White Edge'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EMS(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 잎 가장자리에 흰색의 테두리가 들어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3년에서 2005년까지 3차례의 특성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White Edge'를 선발하였다.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한 결과, 'White Edge'는 잎 가장자리에 흰색무늬가 년 중 변함없이 균일하게 발현 되어 2007년에 종자산업법에 따라 국립종자원에 비비추 신품종 'White Edge'로 등록(품종보호 제 1880호)을 하였다. 잎의 무늬가 독특하여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신품종이다.

Allozyme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Korean Endemic Plant Species : II. Hosta yingeri (Liliaceae)

  • Chung, Myong G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41-149
    • /
    • 1994
  • Levels of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gene flow in Hosta yingeri, a herbaceous perennial endemic to Taehuksan, Sohuksan, and Hong Islands, were investigated.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conducted on leaves for 101 plants collected from three populations.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thespecies is restricted in the islands, it maintains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n; 64% of polymorphic loci in at least one population (Ps),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p) of 1.92, and the mean effectiv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ep) of 1.52. Overall, mean genetic diversity (Hep=0.250)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mean estimate for species with very similarlife history traits (0.102). Large populaton size, the persistence of multiple generations within populations, high fecundity, predominantly outcrossing breeding system, large size of pollinator visitation areas may be explanatory factors contributing the higher level of genetic diversity maintained within populations. Analysis of fixation indices showed an overall slight excess of heterozygotes (mean FIS=-0.066) relative to Hardy-Weinberg expectations, which may in part be due to the near self-incompatible breeding system in the speci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le frequencies among populaitns were found for 14 out of 16 polymorphic loci (P<0.05). Slightly more than 80% of the total variation in the species was common to all populations (GST=0.198). As expected, indirect estimate of the number of migrants per generation (Nm=0.45, calculated from mean GST) and nine private alleles found in the three populations indicate that gene movement among three isolated island populations was low.

  • PDF

잎이 강건하고 화색이 엷은 좀비비추 '청나래' 육성 (Cultivation of Hosta minor 'Cheongnarae' with Thick Leaves and Light-Colored Petals)

  • 오혜진;이종석;김진호;김상용;서강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78
    • /
    • 2021
  • '청나래'는 국립수목원(Korea National Arboretum)에서 2019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제주도에서 채집한 좀비비추(H. minor)를 모본으로, 외국에서 육성된 H. 'Krossa Regal'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종자를 채종하였다. 파종 후 얻은 개체 중 잎의 모양, 색깔 등의 형태적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계통을 우선 선발하였다. 이 중, 잎이 강건하고 화색이 연한 개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과 재배를 반복하며 특성 고정 및 검정을 실시하였다. '청나래'는 대조품종인 H.'Black Hills'과 비교하여 잎이 두텁고 색이 진하며(RHS 137A) 잎자루(petiole)와 잎몸(leaf blade)이 만나는 부위에 날개가 있다. 잎몸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 뚜렷하고 화색은 흰색(White N155B)에 가깝다. 이와 같이 육성된 청나래는 분화 또는 정원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