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t preferenc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3초

家住性 쥐의 Mites ( Mesostigmata ) 에 關한 硏究 ( 1 ) (Study of Mesostigmatid Mites Parastic from House-Mice)

  • Kim, Meung Hai;Hai Poong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2호
    • /
    • pp.75-79
    • /
    • 1985
  • 330 House-Mice (Rattus norvegicus; 288, Rattus rattus; 42) were captured in surveyed areas (Downtown Seoul, Yeom-gok dong, and Sung-nam city) from May 1st, 1983 to April 30, 1984. Total 6170 of their Mites were collected from the above-indicated House-Mice. The survey on the number of species, the average individual number, preference of host, infection rate, and monthly abundance of Mites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Seven species of Mites in Rattus norvegicus, and 5 species of Mites in Rattus rattus were respectively found. Accordingly whole Mites were found in 4 families, 6 genera, 9 species including unrecorded Hirstionysssus apodemi and Roadfordia ensifera. The most common species among Mites were Laelaps nuttalli (70.6). In aspect of the average individualnumber of Mites by host, 19.9% of Rattus norvegicus is more excessive than 10.2% of Rattus rattus. Eulaelaps stabularis, Androlaelaps glasgowi, Hirstionys년 apodemi were shown in preference of host in Rattus norvegicus, while Laelaps jettmari and Rodfordia ensifera in Rattus rattus. Rattus norvegicus was much infected by Laelaps nuttalli, while Rattus rattus by Laelaps echidninus. The seasonal development of it in Rattus norvegicus and Rattus rattus was at peak in July and in September. And Ornithonyssu bacoti was at peak in June, while Laelaps echidninus and Laelaps nuttalli in July.

  • PDF

보리와 둑세풀에 대한 애멸구$\cdot$끝동매미충의 기주 선택성(제1보) (Host Preference by the Small Brown Planthopper and Green Rice Leafhopper on Barley and Water Foxtail (I))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9-184
    • /
    • 1976
  • 봄철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기주선택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태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애멸구 약충은 둑새풀이나 벼에 비하여 보리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고 둑새풀과 벼사이에는 별 차이없이 식이선호성이 낮았다. 끝동매미충 약충은 벼 보다는 독새풀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었다. 2. 보리, 둑새풀 및 벼에 대한 애멸구의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간에 차이가 없었고 끝동매미충은 벼에 비하여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산란선호성이 현저히 낮았다. 3. 애멸구는 보리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고 우화율이 높았으나 둑새풀에서는 발육이 늦고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끝동매미충은 보리에서는 약충기 사충율이 $100%$로서 한마디리로 우화하지 못하였으며 둑새풀은 벼에 비하여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4. 보리에서 사육한 애멸구 성충의 평균수명과 평균산란수는 각각 32일 182개인데 비하여 둑새풀에서 사육한 것은 성충의 수명이 9일이었고 산란수는 불과 13개이었다. 둑새풀에서 사육한 끝동매층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5일, 평균산란수는 24일기이었다. 5. 벼 진흥의 유묘에서 얻어진 애멸구, 끝동매미충 성충을 보리와 둑새풀에 옮겼을 때 애멸구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27일, 둑새풀에서 9일이었으며 끝동매미층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8일, 둑새풀에서 12일이었다. 6. 월동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증식 가능 여부면에서 볼 때 애멸구는 보리를 좋은 기주식물로서 선택하나 독새풀은 그렇지 않으며 보리는 끝동매미충의 기주식물로서 그 가치가 낮아 세대의 증식이 크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

  • PDF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 "마름무늬매미충(Hishimonus sellatus Uhler)"의 기주범위 및 생태에 관한 연구 (Host range and Bionomics of the Rhombic Marked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Homoptera: Cicadelliae) as a Vector of the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 김규진;김미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8-347
    • /
    • 1993
  •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인 마름무늬매미충(Hish[monus sellatus Uhler)의 생태, 혼식 및 산란 호성, 기주이동, 월동태를 조사한 결과 남부지방에서 연 5세대가 경과되었고, 제 1세대 6월 중 ~하순, 2세대 7월 중~8월 상순, 3세대 8월 중~하순, 4세대 9월 상~중순, 5세대 10월 상~중순이었고, 최대 발생기는 3화기인 8월 중~하순이었다. 계절에 따른 한 세대에 요하는 기간은 춘계 80, 하계 69, 추계 77.8일이었으며, 각 단계별 크기는 란 0.8 mm, 1령충 0.9mm, 2령충 l.4mm. 3령충 2.1mm, 4령충2.5mm, 5령충 3.2 mm 이었으며 성충 암컷 4.1mm, 수컷 3.8mm였다. 년중을 통한 기주식물의 이동을 보면 주로 뽕나무, 환삼덩굴, 대추나무에서 란으로 월동하며, 5월 중~하순경까지 뽕나무와 환삼덩굴의 신호를 계속 증가하면서 일부가 6월 하순~7월초순경에 대추나무로 이동하며 가해하는데 이들 란이 10월 중~하순 경부터 월동태로 들어간다. 산란부위는 신초, 엽병, 엽통 등이며 1마리의 암컷 산란수는 32~62개였다. 파식선호성에서는 환삼덩굴, 대추나무, 쥐똥나무, 뽕나무에서 높은 선호성(38.2S-21.64 %)을 보였고 닥나무, 개머루, 구기자나무, 구지뽕나무, 모시풀, 벼, 골담초, 일일초, 차풀 등이 4.65~2.48%였다, 산란이호성에서는 식이호성이 높은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24~12개 정도였으며 성충의 생명에서는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41.4~44.4일, 개멀, 차풀, 쥐똥나무, 일일초, 자운영, 샐러리에서 25일 이상이었고 기지 기주식물에서는 20일 이하이었다.

  • PDF

피투자국의 부패에 따른 신흥국 다국적기업의 파트너 선택 (The Effect of Corruption in Host Country on Joint Venture Partner Selection of Emerging Multinational Enterprises)

  • 노태우;최지훈;김정근;박수빈
    • 무역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91
    • /
    • 2021
  • Based on the existing OFDI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literature, this study endeavored to verify how the corruption of host countries affects the partner strategy of EMNEs (emerging multinational enterprises) when EMNEs enter global markets through joint ventures. Following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classified corruption and partner strategies into two categories, respectively. First, the corruption of host country was divided into grand corruption and petty corruption. Second, EMNEs' joint venture partner strategy was divided into home country partner joint venture and host country (i.e., local) partner joint venture. Our hypothesis suggested that the greater the host country's grand corruption, the more EMNEs would choose the host country partner, while the strong petty corruption leads to the preference of home country partner in host country.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a sample of 890 foreign direct investment cases of Chinese multinational companies from 2005 to 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rruption,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 joint ventures with home country partners when EMNEs enter the global market through joint ventures.

Piperazine 리간드를 가진 시아노카드뮴 호스트 착물의 방향족 게스트 분자에 대한 포접선택성 (Inclusion Selectivity of the Cyanocadmate Host Complex with Piperazine Ligand for Aromatic Guest Molecule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Isomers)

  • 김종혁;이석근
    • 분석과학
    • /
    • 제16권4호
    • /
    • pp.333-338
    • /
    • 2003
  • Inclusion selectivity of a three-dimensional piperazine-ligated cyanocadmate host complex, $[Cd_x(CN)_{2x}\{HN(CH_2CH_2)_2NH\}_y]{\cdot}zG$, has been investigated for benzene (B), toluene (T), ethylbenzene (E), o- (O), m- (M), and p-xylene (P) isomers as the aromatic guest molecules. From the binary, ternary and quarternary guest mixtures of E and xylene isomer (X), the order of inclusion selectivity in the host complex is O>E>P>M. From the binary to quinary BTX mixtures, the order of preference in the complex is seen to be B>T>O${\gg}$P>M.

Mycorrhization of Quercus spp. with Tuber huidongense and T. himalayense Collected in Korea

  • Gwon, Ju-Hui;Park, Hyeok;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50권2호
    • /
    • pp.104-109
    • /
    • 2022
  • Fungi of the genus Tuber are ectomycorrhizal fungi that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mainly with oak and hazel trees. Tuber spp. exhibit a highly selective host plant preference; thus, for cultivation purposes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host plant for successful mycorrhization. In addition, as mycorrhizal characteristics differ according to Tuber spp.,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mycorrhizae according to the fungal species. Tuber huidongense and Tuber himalayense were recently discovered in Korea; therefore, we used spore suspensions from these two species to inoculate two species of oak trees,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to compare colonization rates and morphologies of the mycorrhizae. The colonization rate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t Tuber spp. favored different host plant species. In addition, uniqu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for T. huidongense and T. himalayense depending on the host species. These findings can lead to new economically important agricultural activities related to truffle cultivation in Korea.

작은뾰족민달팽이의 기주 선호성 및 기주에 따른 발육과 수명 (Host Preference of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üller, and Its Development and Longevity on Host Plants)

  • 김현주;배순도;윤영남;최병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3-37
    • /
    • 2012
  •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 M$\ddot{u}$ller)의 채소류에 대한 기주선호성 및 식이기주에 따른 작은뾰족민달팽이의 발육기간과 수명을 조사하였다. 작은뾰족민달팽이의 기주선호성은 배추($Brassica$ $campestris$ L.)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오이($Cucumis$ $sativus$ L.)이었으며, 당근($Daucus$ $carota$ L.),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 및 비트($Beta$ $vulgaris$ var. Ruba) 간에는 유의성이 없이 낮았다. 산란수는 오이에서 109.6개로 가장 많았으며, 잎들깨에서 10개로 가장 적었다. 부화율도 오이에서 92.4%로 가장 높았으며, 잎들깨에서 62.5%로 가장 낮았다. 알기간은 12~13일로 기주식물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체기간 및 성체수명은 각각 75~111일 및 66~187일 이었다. 그리하여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알에서 성체수명까지의 총 수명은 오이에서 273일로 가장 길었고, 잎들깨에서 190일로 가장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