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ized childre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8초

자원봉사자에 의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제공이 입원 뇌 병변 장애환자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by Volunteers on the Relief of Constipation in Hospitalized Disability Patients with brain lesions)

  • 김태임;남미정;방영이;연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67-2277
    • /
    • 2012
  • 본 연구는 배변 문제가 있는 뇌 병변 장애 입원 환자에게 자원봉사자들이 주 3회의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7분/1회)를 4주간 적용하여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5개월 이상 입원중이며 배변문제가 있는 뇌 병변 장애환자 3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1년 5월 9일부터 6월 19일까지 총 6주간 이었다. 변비완화 효과는 좌약 또는 관장 적용 횟수, 배변 횟수, 배변 양으로 측정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좌약 또는 관장횟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03, p=.361).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변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2.14, p=.133). 셋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변 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F=3.56, p=.033). 시점 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시기 보다 중재 1-2주(p<.05)와 중재 3-4주(p<.01)에 배변 양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원봉사자에 의한 주 3회의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는 입원 뇌 병변 장애 환자의 변비완화에 효과가 있는 비 침습적인 간호중재라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간호실무 현장에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와 지침을 제공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대상자에게 반복 연구를 실시하여 경험적 증거를 축적할 것을 제언한다.

Surveillance Study of Acute Gastroenteritis Etiologies in Hospitalized Children in South Lebanon (SAGE study)

  • Ghssein, Ghassan;Salami, Ali;Salloum, Lamis;Chedid, Pia;Joumaa, Wissam H;Fakih, Had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1권3호
    • /
    • pp.176-183
    • /
    • 2018
  • Purpose: Acute gastroenteritis (AGE)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remains a major cause of hospitalization. Following the Syrian refugee crisis and insufficient clean water in the region, this study reviews the etiological and epidemiological data in Lebanon. Methods: We prospectively analyzed demographic, clinical and routine laboratory data of 198 children from the age of 1 month to 10 years old who were admitted with the diagnosis of AGE to a private tertiary care hospital located in the district of Nabatieh in south Lebanon. Results: Males had a higher incidence of AGE (57.1%). Pathogens were detected in 57.6% (n=114) of admitted patients, among them single pathogens were found in 51.0% (n=101) of cases that consisted of: Entamoeba histolytica 26.3% (n=52), rotavirus 18.7% (n=37), adenovirus 6.1% (n=12) and mixed co-pathogens found in 6.6% (n=13). Breast-fe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ess prone to rotavirus (p=0.041). Moreover, children who had received the rotavirus vaccine were significantly less prone to rotavirus (p=0.032). Conclusion: Our findings highlight the high prevalence of E. histolytica infection as the major cause of pediatric gastroenteritis in hospitalized children, during the summer period likely reflecting the insanitary water supplies and lack of hygiene. Moreover the 42.4% of unidentified causative pathogens should prompt us to widen our diagnostic laboratory arsenal by adopting new diagnostic technologies.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and incidence of diabetic ketoacidosis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in the Daegu-Gyeongbuk area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 Lee, Mi Seon;Lee, Rosie;Ko, Cheol Woo;Moon, Jung Eu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46-52
    • /
    • 2022
  • Backgroun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utbreak in the Daegu-Gyeongbuk area in 2020 has caused difficulties in the daily life and hospital care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We detected an increase in blood sugar levels in these children and the number of patients hospitalized with more severe diabetic ketoacidosis (DKA) compared to those before COVID-19. Methods: This single-center study was conducted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following patient groups were included; 45 returning patients diagnosed with T1DM and undergoing insulin treatment for more than 2 years and 20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T1DM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selected by age matching. Returning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were selected, and changes in hemoglobin A1c (HbA1c) level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HbA1c levels and severity of symptoms in newly diagnosed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were examined. Results: HbA1c levels in returning patients with T1D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VID-19 (before, 7.70%±1.38% vs. after, 8.30%±2.05%; p=0.012). There were 10 and 10 newly diagnosed pati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drowsiness and dyspnea at the time of admission was higher after COVID-19 than before (before, 2 of 10 vs. after, 4 of 10). The HbA1c levels were higher in newly diagnosed patients hospitalized after COVID-19 than before (before, 11.15% vs. after, 13.60%; p=0.036). Conclusion: Due to COVID-19 in the Daegu-Gyeongbuk area, there was an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s in children with T1DM and in the incidence of severe DKA in newly diagnosed diabetes mellitus patients.

20년간(1988-2007) 1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소아결핵 환자의 동향 (Trends of hospitalized tuberculosis at a children's hospital during a 20-year period (1988-2007))

  • 양미애;성지연;김소희;은병욱;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1호
    • /
    • pp.59-67
    • /
    • 2008
  • 목 적 : 2008년 WHO 보고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결핵의 유병률, 발생률,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제 7차 전국결핵실태조사에서도 결핵 유병률이 감소하였으나, 최근 소아결핵 환자에 대한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20년간 결핵으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소아결핵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결핵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만 15세 이하 환자의 임상 양상, 검사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등을 의무 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 5년 단위로 4개의 분기로 나누어 분기별 입원 환자 비율 및 주요 침범 부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중 결핵으로 입원치료 받은 환아는 총 186명으로, 남자가 59.1%였다. 진단시 나이의 중간 값은 55세(범위 : 10일-15세)였다. 결핵의 주요 침범 부위로는 폐가 54례(29%), 중추 신경계 49례(26.3%), 속립성 32례(17.2%), 림프절 15례(8.1%), 흉막 12례(6.5%), 골 및 관절 9례(4.8%), 장관 5례(2.7%), 복막 5례(2.7%), 심낭 2례(1.1%), 기타 3례(1.6%)이었다. 분기별 소아 전체 입원 환자에 대한 결핵 입원 환자의 비율은 1988-1992년의 0.61%에서 2003-2007년 0.09%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 for trend<0.001 by linear-by-linear association). 분기별 소아 전체 입원환자에 대한 폐결핵, 결핵성 수막염, 속립성 결핵 및 기타 폐외결핵 환자의 비율 또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 for trend<0.001, <0.001, 0.002, 0.008 by linear-by-linear association). 결 론 : 본 연구 결과 최근 20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의 소아결핵 입원 환자비율은 감소하는 추세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소아결핵에 대한 국가적 또는 다기관 차원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 대한 임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s of Hospitalized Children Due to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

  • 곽병옥;김동현;이환종;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3호
    • /
    • pp.161-16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의 임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피부 병변의 수포액으로 시행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배양검사와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진된 40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진단 시 연령 및 성별, 수두 백신 시행유무, 임상증상 및 경과, 기저질환, 치료와 합병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수두 환자는 16명, 대상포진 환자는 24명이었고, 연령 중앙값은 10.5세로 생후 16일부터 19세까지 분포하였다. 기저질환이 동반된 환자는 35명(87.5%)이었고, 24명의 대상포진 환자 중 과거에 수두를 앓았던 경우가 11례에서 있었고, 재발한 대상포진은 1례에서 있었다. 20명(50%)은 이전에 수두 백신의 접종력이 있었고, 이 중 19명은 면역저하환자였다. 대부분의 환자(95%)는 정맥용 또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았고, 정맥용 항바이러스제 투여 후 치료 실패는 관찰되지 않았다.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열의 기간은 평균 4.4일(1-10일)로 정상 면역력을 가진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간은 평균 12일(7-23일)로 유의하게 길었다(P=0.014). 두 명(5.0%)의 환자에서 Streptococcus pyogenes와 Klebsiella oxytoca에 의한 이차 세균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1명(2.5%)에서 폐렴이, 11명(27.5%)에서 대상포진후 신경통이 합병되었다. 결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은 면역저하 소아에서 발생할 시에 장기간의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므로 이 같은 환자들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면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의 원인균 진단: 단일 병원에서 1년간의 전향적 연구 (Diagnosis of Enteropathogen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One Year Prospective Study in a Single Hospital)

  • 장주영;최지은;신수;윤종현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1-13
    • /
    • 2006
  • 목 적: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은 매우 흔하고 입원율이 높은 중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에서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 및 세균을 대상으로 1년간 발생 경향에 대한 최근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소아과에 3일 이내의 급성 설사를 주소로 내원한 15세 미만의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대변 검사를 시행하였다. 입원 소아는 200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1년간, 외래 소아는 2003년 4월부터 7월까지 단일 외래를 방문한 환아들에 국한하여 연구하였다. 방문 2일 이내에 대변 검체를 얻었으며 바이러스성 원인균 검사로는 로타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 항원 검출법을, 세균성 원인균 검사로는 Salmonella, Shigella, Vibrio, Campylobacter 균종 및 Yersinia enterocolitica 대해 배양검사를 시행하였고 병원성 E.coli (ETEC, EHEC, EPEC) 검출을 위해서는 PCR 법을 이용하였다. 입원 환아들은 전해질 검사를 포함한 혈액 검사를 같이 시행받았다. 결 과: 전체 입원 환아는 130명, 외래 환아는 28명이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6세 미만의 환아가 각각 94.6% (123명), 92.8% (26명)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모두 단일 원인균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로타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입원 환아의 42.3% (55명)에서, 외래 환아의 29.6% (8명)에서 검출되었다. 대변 배양 검사에서는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이 입원 환아의 3.9% (4명), 외래 환아의 3.6% (1명)에서 배양되었다. 병원성 대장균은 입원 환아의 2.1% (2명/97명), 외래 환아의 25.0% (3명/12명)에서 분리되었으며 EPEC (4명), ETEC (1명) 순이었고 EHEC는 분리되지 않았다. 이외에 장 아데노바이러스와 Campylobacter, Yersinia, Shigella 균종은 한 예도 없었다. 결 론: 로타바이러스는 국내 지역 사회 병원에서 소아기 위장관염으로 입원하게 되는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세균성 장염의 원인균으로는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와 병원성 대장균, 특히 EPEC와 ETEC가 중요하다. Campylobacter 균종은 급성 설사로 입원하게 되는 환아에서는 흔하게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나 외래 환아를 다수 포함한 대단위의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특징 (Clinical Manifestation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 안정민;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1호
    • /
    • pp.28-35
    • /
    • 2013
  • 목 적 : 2000년이후human metapneumovirus (hMPV)는 하기도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바이러스로 인식되고 있다.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에서의 hMPV의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그리고 혈액학적 특징 및 hMPV에 감염되지 않은 환자와의 비교, 중복 감염등을 통해 hMPV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10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 1,554명의 비인두 흡인을 통해 객담 검체를 채취하여 RT-PCR을 시행 후 hMPV가 검출된 99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분석 비교 하였다. 결 과 : 1,554명 중 1,004명(64.6%)에서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그 중 hMPV가 양성인 환자는 99명으로 양성 검체의 9.8%였다. hMPV에 감염된 환자의 평균 연령은 25.0개월이었으며 해마다 유행 정도는 다르나 4월부터 6월에 주로 발현하였으며 발열기간이 다른 바이러스 보다 길고 호흡기 증중을 보였으며, 천명(wheezing)이 특징적 임상 증상이었다. 진단으로 폐렴이 가장 많았지만, 12개월 이하의 연령군에서는 모세기관지염이 가장 흔하였다. 혈액학적 검사소견은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 (C-reactive protein) 모두 hMPV에 감염된 환자군에서 정상 범위 보다 상승된 소견을 보였다. hMPV의 단독 감염과 중복 감염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임상증상 및 혈액 검사 소견에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hMPV는 폐렴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며 13개월 이상부터 48개월 이하의 연령에서 호발하며 평균 연령은 25개월이며 4월에서 6월까지 유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천명이 임상적 특징이며, hMPV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점차 증가되고 있으나 아직은 생물학적, 유전학적 특징과 관련된 임상 분석이 더 필요하다.

  • PDF

풍선 아트를 이용한 관심 전환이 학령전기 아동의 정맥 주사 삽입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on Pain during Intravenous Injections in Preschool Children)

  • 구현영;임정혜;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6-72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on pain experienced by preschool children when undergoing an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40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20) were distracted by balloon art while undergoing an intravenous injectio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20) received regular care. Pain experienced by the children was measured using self-report, observation tools,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as shown by pulse rate. However,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decrease in pain in the self-report or behavior observation when compared with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Distraction using balloon art can be used to reduce pain for preschool children when undergoing an intravenous injection. Further nursing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preschool children when undergoing painful procedures.

  • PDF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부모 역할 효능감 영향 요인: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간호 교육 요구도 (The Contribution of Competence in Parenting: Uncertainty related Children's Diseases, and Nursing Educational Need)

  • 남현아;이화진;김미옥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6
    • /
    • 2014
  • Purpose: Competence in parenting helps the parent to recognize the ability to resolve problems arising to children, allowing positive interactions with children through desirable child-rasing behavior and smooth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uncertainty and educational needs to the competence in parenting. Methods: Total 159 mothers responded a questionnaire developed to measure uncertainty, educational needs, and competence in parenting.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 found that uncertainty, nursing educational need, and mothers' age had influence to the competence in parenting.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s provided to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for better parental competence need to include programs for alleviating uncertainty and satisfying the need for nursing education.

  • PDF

Clinical and laboratory profiles of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virus infection

  • Choi, Eunjin;Ha, Kee-Soo;Song, Dae Jin;Lee, Jung Hwa;Lee, Kwang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6호
    • /
    • pp.180-186
    • /
    • 2018
  • Purpose: Despite the availability of molecular methods, identification of the causative virus in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RIs) has proven difficult as the same viruses are often detected in asymptomatic children. Methods: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ct 15 common respiratory viruses in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ho were hospitalized with ARI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5. Viral epidemiology and clinical profiles of single virus infections were evaluated. Results: Of 3,505 patients, viruses were identified in 2,424 (69.1%), with the assay revealing a single virus in 1,747 cases (49.8%). While major pathogens in single virus-positive cases differed according to age, human rhinovirus (hRV) was common in patients of all age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influenza virus (IF), and human metapneumovirus (hMPV) were found to be seasonal pathogens, appearing from fall through winter and spring, whereas hRV and adenovirus (AdV) were detected in every season. Patients with ARIs caused by RSV and hRV were frequently afebrile and more commonly had wheezing compared with patients with other viral ARIs. Neutrophil-dominant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ARIs caused by IF, AdV, and hRV, whereas lymphocyte-dominant inflammation was observed with RSV A, parainfluenza virus, and hMPV. Monocytosis was common with RSV and AdV, whereas eosinophilia was observed with hRV. Conclusion: In combination with viral identification, recognition of virus-specific clinical and laboratory patterns will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y of viral ARIs and help us to establish more efficient therapeutic and preventive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