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acquired infec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4초

Secondary Analysis 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Pressure Injury

  • Hyun, Sookyung;Moffatt-Bruce, Susan;Newton, Cheryl;Kaewprag, Pacharm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211-215
    • /
    • 2018
  •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s a lung infection that develops in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VAP contributes to about 50% of hospital-acquired pneumonia in ICU settings. One of the recommendation of the Institute of for Healthcare Improvement ventilator bundle is HOB elevation. HOB elevation affects shearing forces and makes higher risk for pressure injury development. Pressure injury (PI) is localized damage to the skin over a bony prominence. PI prevention guidelines recommend that HOB positioning should be lower to reduce risk for PI development which contradicts VAP prevention guidelines for the HOB between 30 and 45 degrees for ICU patients. This presents a care dilemma and 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cumulative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in order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HOB elevation with VAP and PI in ICU patient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HOB elevation is associated with VAP and PI. HOB elevation was not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VAP prevention whereas it was likely to be related to PI development. This is somewhat contrary to popular data and publications. Prospective cohort study is desired to inform us in an evidence-based fashion what actually is optimal HOB elevation for ventilated patients in ICU settings.

면역 기능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영아에서의 침습성 녹농균 감염증 2례 (Two Cases of Invasive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that Developed in the Apparently Immunocompetent Infants)

  • 강민재;김소희;김남희;이진아;은병욱;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80-185
    • /
    • 2006
  • 침습적 Pseudomonas 감염은 대개 면역 저하 환자들에서 발생하며, 이는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드물게는 면역력이 정상인 숙주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 증례는 괴저성 농창과 Pseudomonas 패혈증이 발생한 5개월 여아이며, 두번째 증례는 9개월 남아에서 지역사회 감염으로 발생한 폐렴과 Pseudomonas 패혈증이다. 두 환아 모두에서 녹농균이 배양검사로 증명되어 감수성 있는 항생제를 사용하였으며, T 림프구, B 림프구, 보체, 식세포 등 면역력에 대한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저자들은 이전에 건강했던 영아들에서 발생한 침습성 녹농균 감염증 2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국내 코로나19 판데믹 기간 발생한 입원을 요하는 소아청소년 지역사회폐렴의 원인과 위험 인자 (Etiology and Risk Factor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Hospitalized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 강혜민;송승하;안빈;박지영;강현미;곽병옥;김동현;이준기;최수한;최재홍;최은화;윤기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1호
    • /
    • pp.20-32
    • /
    • 2023
  • 목적: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지역사회폐렴의 원인병원체 분포에 대해 잘 설계된 임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코로나 19 판데믹 기간 동안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진단된 입원을 요하는 지역사회폐렴의 역학과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지역사회폐렴의 치료 방침 결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2월 28일 사이에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 및 2022년 1월과 2월 전국 7개 대학병원에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의 임상 정보를 후향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 기간 동안 참여 기관들에서는 폐렴 진단명을 임상 증상과 진찰 소견, 그리고 흉부방사선 소견에 대해 각각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이를 종합해서 선별적으로 넣도록 하였고, 이들에 대해 추후에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다시 한번 폐렴 진단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자 여부를 결정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유행기의 14개월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은 총 91명이었다. 이 중 5세 이하가 68.1%로 높은 비중을 보였고, 79.1%는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총 95건의 지역사회폐렴 중 호흡 보조가 필요했던 경우는 70.5%였으며, 인공호흡기는 20.0%에서 적용되었다. 최종적으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모두 면역저하 혹은 신경계 기저질환이 있었다. 위험인자분석에서도 신경계 기저질환과 면역저하상태는 각각 호흡 보조(P=0.003) 및 사망(P=0.014)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검출된 호흡기 병원체의 54.7%는 바이러스였고 그 중 리노바이러스의 비율이 35.9%로 가장 높았다. 2022년 초 2개월 간 8개 기관에서 지역사회폐렴 진단 하에 퇴원한 소아청소년은 총 169명이었고, 이들 중 92.3%에서 한 개 이상의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대부분 respiratory syncytial virus (79.8%)였다. 결론: 코로나19 판데믹 기간에도 국내 소아청소년들이 주로 계절성 호흡기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치료를 받았다. 주요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들은 아직 유행이 없으나 지속적인 임상 감시와 연구가 필요하다.

방사선조사후 마우스에서의 Cytokine 생산능 및 Listeria monecytogenes에 대한 저항성의 변화 (Effect of lonizing Radiation on the Host Resistanc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and the Cytokine Production in Mice)

  • 오윤경;장미영;강인철;오종석;이현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175-186
    • /
    • 1997
  • 목적 : 방사선조사가 세포내재성 병원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LM)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감염면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식세포에서의 $TNF-\alpha$ 및 Nitric oxide (NO) 생산능의 변화와 비장세포에서의 $IFN-\gamma$ 및 IL-2생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동물로는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Co-60 원격치료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LM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서 방사선조사 1일후 $10^5$의 LM균을 복강내에 주사하고 1일, 3일, 5일후에 비장조직에서 LM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가 마우스의 생체내에서와 시험관내에서의 $TNF-\alpha$의 생산능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각각 LPS로 유도하여 L929/Actinomycin D assay에 의해 $TNF-\alpha$량을 측정하였다. $IFN-\gamma$의 생성능은 방사선조사후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액을 제조하여 Concavalin A (Con-A)로 자극한 후 정량검사를 하였다. IL-2의 생성능은 $IFN-\gamma$실험에서와 같이 비장세포를 얻어서 Con-A로 자극하여 CTLL-2세포의 성장촉진능력을 관찰함으로써 판정하였다. 방사선조사가 복강내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에 미치는 영향도 관찰하였다. 결과 : 방사선 (300cGy)을 조사한 군에 LM을 감염시킨 1일후 비장으로부터 검출되는 생균수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감염 3일 5일후의 생균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오히려 증가하였다. 시험관내 복강대식세포에 방사선 (100-850cGy)을 조사하면 1일후 생산되는 $TNF-\alpha$의 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방사선조사 (100-600cGy) 5일후 수집된 복강대식세포에 의한 $TNF-\alpha$의 생산은 오히려 감소하였고. 방사선조사 (300cGy)후 LM감염시 5일후 유도된 생체내 $TNF-\alpha$의 생산도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방사선 (300cGy)을 조사한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비장세포로부터 생산되는 $IFN-\gamma$와 IL-2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NO의 양은 100cGy 및 300cGy조사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 조사량을 증가하면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 방사선조사후 세포내재성 병원균인 LM감염에 대한 초기 저항성의 증가와 감염중반이후의 저항성 감소는 대식세포에서의 초기 $TNF-\alpha$ 생산능 증가후 감소, 그리고 T림프구에서의 $IFN-\gamma$및 IL-2 생산능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Isolated from the Specime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im Tae-Un;Kim Dae-Hyun;Kim Yun-T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5-531
    • /
    • 2005
  • Staphylococcus aureus is a major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s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isolated bacterial species in the hospital and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pathogen in both community and hospital-acquired infection.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 which is associated with hospitals is now being isolated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rier rate of S. aureus in the community,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the organism, detection of MRSA and mecA gene in MRSA. Ninety strains $(46.4\%)$ of S. aureus were isolated from the nasal specimens of 1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Eighty-nine strains $(98.9\%)$ of 90 S. aureus were resistant to penicilin, 36 strains $(40.0\%)$ to erythromycin, 14 strains $(15.6\%)$ to fusidic acid, 11 strains $(12.2\%)$ to gentamycin, 9 strains $(10.0\%)$ to tobramycin, 5 strains $(5.6\%)$ to oxacillin, 4 strains $(4.4\%)$ to clindamycin, 2 strains $(2.2\%)$ to tetracycline, 1 strains $(1.1\%)$ to fosfomycin. None of $90(0\%)$ S. aureus isolates was resistant to ciprpfloxa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levofloxacin, linezolid, moxifloxacin, nitrofurantoin, norfloxacin, rifampicin, quinupristin/dalfopristin, teicoplanin, and vancomycin. Five strains $(5.6\%)$ of 90 S. aureus isolates were MRSA. The mecA gene was detected from five MRSA strains by PCR.

  • PDF

Prevale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macrolide resistant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 Lee, Eun;Cho, Hyun-Ju;Hong, Soo-Jong;Lee, Jina;Sung, Heungsup;Yu,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5호
    • /
    • pp.151-157
    • /
    • 2017
  • Purpose: Macrolide resistance rate of Mycoplasma pneumoniae has rapidly increased in children. Studies on the clinical features between macrolide susceptible-M. pneumoniae (MSMP) and macrolide resistant-M. pneumoniae (MRMP) are lack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crolide resistance rate of M. pneumoniae in Korean children with M. pneumoniae penupmonia in 2015 and compare manifestations between MSMP and MRMP. Methods: Among 122 children (0-18 years old) diagnosed with M. pneumoniae pneumonia, 95 children with the results of macrolide sensitivity tes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cquired using retrospective medical records. Results: The macrolide resistant rate of M. pneumoniae was 87.2% (82 of 94 patients) in children with M. pneumoniae pneumonia. One patient showed a mixed type of wild type and A2063G mutation in 23S rRNA of M. pneumonia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 findings between the MSMP and MRMP groups at the first visit to our hospital. The time interval between initiation of macrolide and defervescenc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MRMP group ($4.9{\pm}3.3$ vs. $2.8{\pm}3.1days$, P=0.039). Conclusion: The macrolide resistant rate of M. pneumoniae is very high in children with M. pneumoniae pneumonia in Korea.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MRMP are similar to MSMP except for the defervescence period after administration of macrolid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occurrenc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RMP is required to control its spread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treating second-line antibiotic resistant M. pneumoniae infection.

Seropositivity of Toxoplasmosis in Pregnant Women by ELISA at Minia University Hospital, Egypt

  • Kamal, Amany M.;Ahmed, Azza K.;Abdellatif, Manal Z.M.;Tawfik, Mohamed;Hassan, Ebtesam 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5호
    • /
    • pp.605-610
    • /
    • 2015
  • Toxoplasmosis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bad obstetric history (BOH) and one of the major causes of congenitally acquired infect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stimate the seropositivity of T. gondii infection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the attendees of high risk pregnancy and low risk antenatal care clinic of Minia Maternity and Pediatric University Hospital, Minia, Egypt.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3 to April 2014 through 2 phases, the first phase was case-control study, and the second phase was follow-up with intervention. A total of 120 high risk pregnant and 120 normal pregnant females were submitted to clinical examinations, serological screening for anti-Toxoplasma IgM and IgG antibodies by ELISA, and an interview questionnaire. Seropositive cases were subjected to spiramycin course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roprevalence of toxoplasmosis in high-risk pregnancy group was 50.8%,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pregnancy group (P<0.05). Analysis of seropositive women in relation to BOH showed that abortion was the commonest form of the pregnancy wastage (56.5%). The high prevalence of T. gondii seropositive cases was observed in the age group of 21-30 years. Post-delivery adverse outcome was observed in 80.3% of high-risk pregnancy group compared to 20% of normal pregnancy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ropositivity and living in rural area, low socioeconomic level, and undercooked meat consumption (P<0.05). Serological screening for anti-Toxoplasma antibodies should be routine tests especially among high-risk pregnant women.

1세 이하의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Gram-Positive Uropathogens의 발생 빈도 및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and Incidence of Gram-positive Uropathogens in Pediatric Patients Younger than 1 Year of Age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양태환;임형은;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65-72
    • /
    • 2013
  • 목적: 요로감염은 대부분 그람 음성 균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병원내 감염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졌던 그람 양성균에 의한 요로감염이 증가하고 있고 일반적인 경험적 항생제에 내성이 증가하고 있어 균혈증 등으로 진행이 가능하지만 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감염에 미치는 연구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세 이하의 지역사회 획득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이 요로감염의 중증도 및 동반 비뇨기계 기형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입원 치료한 1세 이하의 발열성 요로감염 소아 5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골 상부 방광 천자 및 도뇨관 으로 채취한 요 배양 검사에 따라 그람 양성균 군과 그람 음성균 군으로 나누어 입원 전후 발열 기간, 말초 혈액 내 백혈구 수와 혈청 C-반응성 단백, 수신증의 유무, 초기 신결손 및 신반흔의 유무, 방광요관역류의 유무 등의 항목들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566명 중 그람 양성균 군은 23명, 그람 음성균 군은 543명 이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 E. faecalis가 20주(71.4%)로 가장 많았고, 그람 음성균에서는 E. coli가 493주(86.8%)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람 양성균 군의 평균 입원 전후 발열 기간은 $3.4{\pm}1.2$일 이었으며 그람 음성균 군은 $2.9{\pm}1.6$일로 그람 양성균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배뇨 중 방광요도조영술상 방광요관역류는 그람 양성균 군에서 55.6%, 그람 음성균 군에서 17.8%로 그람 양성균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혈액 및 영상 검사 소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은 그람 양성균에 의한 1세 이하의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 기간 및 방광요관역류가 증가 할 수 있으므로 요로감염의 치료에 있어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동반 기형을 찾기 위한 요로계 영상 검사와 추적 관찰이 꼭 필요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Comparative Analysis of Spontaneous Infectious Spondylitis : Pyogenic versus Tuberculous

  • Lee, Yangwon;Kim, Bum-Joon;Kim, Se-Hoon;Lee, Seung-Hwan;Kim, Won-Hyung;Jin, Su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1호
    • /
    • pp.81-88
    • /
    • 2018
  • Objective : Spondylitis is often chemotherapy resistant and requires long-term treatment. Without adequate chemotherapy, the outcome can be fatal or result in severe neurologic damage. Therefore, differentiating the etiology of spondylitis is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spontaneous cases. As the prevalence of tuberculosis in Korea has decreased in recent years, updated clinical research about spondylitis is warranted. Methods : From April 2010 to March 2016, data from spondylitis patients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In total, 69 patients (51 with pyogenic spondylitis and 18 with tuberculous spondylitis) were included. Clinical data,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C-reactive protein (CRP) level, measurements of Cobb angles at the initial and final follow-up, and radiologic featur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were evalua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pyogenic and tuberculous groups, numerical data were compared using the student's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and categorical data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 The patients' mean age was 60.0 years. Male sex was slightly predominant (56.5%).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 age and sex between the two groups. The pyogenic group had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e peak CRP value was higher in the pyogenic group than in the tuberculous group (14.08 mg/dL and 8.50 mg/dL, respectively, p=0.009), whereas the ES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81.5 mm/h and 75.6 mm/h, respectively, p=0.442). Radiologically, the presence of disc space sparing and vertebral body collapse differed between the groups. In the tuberculous group, the disc was more commonly preserved on contrast-enhanced MRI (50% and 23.5%, respectively, p=0.044), and vertebral body collapse was more common (66.6% and 15.7%, respectively, p<0.001). The mean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longer in the pyogenic group (56.5 days and 41.2 days, respectively, p=0.001). Four mortality cases were observed only in the pyogenic group. The most commonly isolated microorganism in the pyogenic group was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methicillin susceptible S. aureus and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 in 8 and 4 cases,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manifestations of spontaneous spondylitis differ based on the causative organism. Pyogenic spondylitis patients tend to have a higher CRP level and a more severe clinical course, whereas tuberculous spondylitis patients present with destruction of the vertebral body with disc sparing more frequently. The presence of MRSA is increasing in community-acquired spondylitis cases.

Acute Appendicitis: A Rare But Probable Manifestation of Kawasaki Disease

  • Wonshik Choi;Sin Weon Yun;Mineui Hong;Suk-Won Suh;Dae Yong Yi;Ji Young Park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2호
    • /
    • pp.97-103
    • /
    • 2023
  • 가와사키병은 종종 관상동맥을 침범하는 급성 전신적 염증 질환이다. 소아에서 가장 흔한 후천성 심장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빠른 진단과 정맥 면역글로불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비정형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면 의사들은 진단에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 본 저자들은 5세 남아가 복통으로 응급센터를 내원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받아 충수돌기 절제술을 시행받은 이후에도 발열이 지속되어 소아감염분과로 전과된 케이스를 공유하고자 한다. 환아는 응급센터 내원 당시 발열없이 우하복부 복통으로 내원하여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받았으며, 응급실 재실 중 발열이 처음 발생하였다. 환아는 충수돌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나 이후에도 발열 호전없고 발진 동반되어 소아감염분과 의뢰되었고, 최종적으로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받았다. 이 환아가 약간의 결막 충혈이 보여 소아감염분과 의사는 진단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수술의와 수술 소견, 병리과 의사와의 병리 소견에 대한 상의를 통하여 비정형 가와사키병을 의심할 수 있었다. 결국 비정형 가와사키 진단을 받고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로 성공적으로 회복됐다. 또한, 문헌 검토를 실시하여 가와사키와 관련된 충수염 21건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평균 연령이 5.3세인 남성이었다. 대부분은 불완전 가와사키 및 관상 동맥 합병증의 비율이 전형적인 가와사키에 대해 예상되는 것보다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맹장염은 가와사키의 드문 합병증이다. 따라서 다학제간 진료를 통한 비정형 가와사키의 조기 인식은 시기 적절한 진단에 필수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