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seback Riding Progra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수안보 온천축제의 평가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uanbo Spa Festival Evaluation on Visitors' Recommend Intentions)

  • 정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91-19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안보 온천제의 참관객들이 축제의 운영성과, 행사내용, 축제 이미지, 편의시설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호응도와 추천의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평가에서 60대의 노인계층이 축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온천축제의 성격상 노인계층에게 많이 어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인계층에게 소구될 수 있는 전통차 만들기, 허브 마사지의 건강 체험중심의 Eco-therapy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이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축제 이미지와 편의시설은 높은 호응도뿐만 아니라, 주변지인들에게 강력한 추천의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쏘기, 말타기, 가마타기, 사극복장입기의 전통체험중심의 내용을 통하여 이미지 제고와 편안히 쉴 수 있는 편의 및 휴식공간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운동경기 VR Simulation을 위한 나무 사실감 연구 "가상현실 나무의 그림자와 거리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R Simulation Program for the Sport of Realistic Trees)

  • 신화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8-382
    • /
    • 2010
  • 승마, 사격, 골프 등 운동경기에서 현장 화면을 구성하는 배경 그래픽은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이들 경기는 현장에서 직접 해야 하는 한계성이 있으며, 운동경기의 게임이나 simulation에서는 실시간 운용인 이유로 배경의 사실감 표현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 한계성 극복을 위해서 경기 현장에서의 사진을 3d graphic으로 변환하여 모델링 한다. z-depth를 이용한 원근감을 표현하기 위한 특수 기법을 분석 연구하여 운동경기의 VR(virtual reality) simulation 배경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감 있는 운동 경기 VR 배경을 구현 하여 스포츠 과학과 디자인학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강원도 스포츠복지 정책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s of Sports Welfare in Gangwon Province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 김흥태;김태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11-424
    • /
    • 2019
  • 본 연구는 강원도민의 건강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은 물론 행복하고 즐거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스포츠복지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동향, 강원도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현황, 스포츠복지정책 방향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중심의 강원도 스포츠복지 정책 방향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요자 맞춤형 스포츠복지정책 추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고도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보편적 복지로의 접근 강화 추진을 제안하였다. 둘째, 공공체육시설 활용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강원도내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체육시설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수혜 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강원도체육회 또는 강원도 사회복지모금공동회에 「스포츠복지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스포츠복지 전문가 육성」을 통해 스포츠복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 도모, 「지역 스포츠복지 연구회를 구성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지원토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적자원 육성과 네트워크화이다. 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스포츠복지사 교육기관 설립」을 설립과 함께 전문가의 시각에서 스포츠복지 진흥 발굴 및 활용을 위한 「스포츠복지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제도 정비 및 지원체계구축이다. 이는 가칭 「강원도 스포츠복지추진위원회」의 구성, 행정지원체계의 일원화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보건복지여성국 또는 문화관광체육국내에 가칭 「스포츠복지 사업 지원팀」 신설, 도내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한 수요에 대응하여 장기적으로는 가칭 「강원도스포츠복지 지원센터」로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강원도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전 도민이 혜택을 부여받을 수 있는 맞춤형 스포츠복지 실현을 위해서는 예산과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강원도스포츠복지 진흥 조례」 제정으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스포츠 복지진흥의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을 보완한 가칭 「강원도 스포츠복지 경진대회」 개최를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