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s of Sports Welfare in Gangwon Province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강원도 스포츠복지 정책방향 연구

  • Received : 2019.11.22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easible policy directions for sports welfare that can not only improve the standard of living through health but also ensure a happy and enjoyable life for the people of Gangwon Province. For this purpose, I have conducted studies such as the analysis on the sports class voucher project being implement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case analysis in sports welfare, and present policy direc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about upgrading the sports class voucher project. And as its implementation plans, I suggest ① increased publicity, ② the earmarking of the province's own budget for the sports class voucher project, ③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cooperation for work implementation between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ir staff in charge with a view to activating the sports class voucher project, and ④ the upgraded services for the sports class voucher project and the upgraded access to the life cycle-based universal welfare. Second, it is about using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developing various programs. I suggest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that enable people to learn the skills for such sports disciplines as baseball, badminton, ice sports, and golf an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distin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dance for media entertainment shows for female youths, climbing, cheer leading, fencing, surfing and horseback riding. Third, it is about nurturing the human resources and networking. For this, I suggest the creation of 'Sports Welfare Specialist Training Program' and the training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orts science with the aim of creating a number of jobs. Fourth, it is about refurbishing the system and establishing the support system. I suggest the dismantling of the partitions in the welfare policy related to sports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tentatively named) 'Gangwon Province Sports Welfare Implementation Committee', and the creation of (tentatively named) 'Sports Welfare Project Support Team' in Health, Welfare & Women's Affairs Bureau or Culture, Tourism and Sports Bureau in the short term and then its long-term expansion into (tentatively named) 'Gangwon Province Sports Welfare Support Center' in responding to the needs that reflect the provincial demographics, with a view to establishing a single lineup for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Furthermore, as budget and manpower are needed to realize customized sports welfare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vince and in which all the provincial residents can collect benefits, I suggest that the province provide the legal basis through creating 'Ordinance Promoting Sports Welfare in Gangwon Province' and pushing forward with (tentatively named) 'Gangwon Province Sports Welfare Competition' as what revises the sports class voucher project for the purpose of broadening the basis for sports welfare promotion.

본 연구는 강원도민의 건강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은 물론 행복하고 즐거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스포츠복지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동향, 강원도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현황, 스포츠복지정책 방향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중심의 강원도 스포츠복지 정책 방향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요자 맞춤형 스포츠복지정책 추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고도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또한 생애주기별 보편적 복지로의 접근 강화 추진을 제안하였다. 둘째, 공공체육시설 활용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강원도내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체육시설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수혜 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강원도체육회 또는 강원도 사회복지모금공동회에 「스포츠복지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스포츠복지 전문가 육성」을 통해 스포츠복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 도모, 「지역 스포츠복지 연구회를 구성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지원토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적자원 육성과 네트워크화이다. 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스포츠복지사 교육기관 설립」을 설립과 함께 전문가의 시각에서 스포츠복지 진흥 발굴 및 활용을 위한 「스포츠복지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제도 정비 및 지원체계구축이다. 이는 가칭 「강원도 스포츠복지추진위원회」의 구성, 행정지원체계의 일원화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보건복지여성국 또는 문화관광체육국내에 가칭 「스포츠복지 사업 지원팀」 신설, 도내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한 수요에 대응하여 장기적으로는 가칭 「강원도스포츠복지 지원센터」로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강원도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전 도민이 혜택을 부여받을 수 있는 맞춤형 스포츠복지 실현을 위해서는 예산과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강원도스포츠복지 진흥 조례」 제정으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스포츠 복지진흥의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을 보완한 가칭 「강원도 스포츠복지 경진대회」 개최를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