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mesi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저선량 감마선이 조사된 대두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산성강우 효과 (Influence of Artificial Acid Rain on the Growth of Soybean Irradiated with Low Dose Gamma Radiation)

  • 김재성;이은경;이영근;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5-249
    • /
    • 1999
  • 저선량의 감마선이 조사된 대두종자로부터 자라난 작물체에 인공 산성강우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금콩과 방사콩의 생육 양상을 조사한 결과 초장은 감마선조사 선량에 따라서만 생육 차이를 보였을 뿐 산성강우 무처리구(pH 6.00)와 처리구(pH 2.45와 2.20)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종자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황금콩의 경우 생육 촉진을 위한 적정 조사선량이 산성강우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해 병징 양상은 산성강우 pH 2.20 처리구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방사콩에 비해 황금콩에서 산성강우 내성 효과가 컸으며, 종자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1995년산에 비해 1997년산 작물체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사콩의 생육 양상은 산성강우 처리 농도와 감마선 조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IDENTIFICATION OF GENES EXPRESSED IN LOW-DOSE-RATE γ-IRRADIATED MOUSE WHOLE BRAIN

  • Bong, Jin Jong;Kang, Yu Mi;Choi, Seung Jin;Kim, Dong-Kwon;Lee, Kyung Mi;Kim, Hee Su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8권4호
    • /
    • pp.166-171
    • /
    • 2013
  • While high-dose ionizing radiation results in long term cellular cytotoxicity, chronic low-dose (<0.2 Gy) of X- or ${\gamma}$-ray irradiation can be beneficial to living organisms by inducing radiation hormesis, stimulating immune function, and adaptive responses. During chronic low-dose-rate radiation (LDR) exposure, whole body of mice is exposed to radiation, however, it remains unclear if LDR causes changes in gene expression of the whole brain. Therefore, we aim to investigate expressed genes (EGs) and signaling pathways specifically regulated by LDR-irradiation ($^{137}Cs$, a cumulative dose of 1.7 Gy for total 100 days) in the whole brain. Using microarray analysis of whole brain RNA extracts harvested from ICR and AKR/J mice after LDR-irradiation, we discovered that two mice strains displayed distinct gene regulation patterns upon LDR-irradiation. In ICR mice, genes involved in ion transport, transition metal ion transport, and developmental cell growth were turned on while, in AKR/J mice, genes involved in sensory perception, cognition, olfactory transduction, G-protein coupled receptor pathways, inflammatory response, proteolysis, and base excision repair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LDR. We validated LDR-sensitive EGs by qPCR and confirmed specific upregulation of S100a7a, Olfr624, and Gm4868 genes in AKR/J mice whole brain. Therefore, our data provide the first report of genetic changes regulated by LDR in the mouse whole brain, which may affect several aspects of brain function.

커큐민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 - 재평가 (Effects of curcumin on human health - A reassessment)

  • 김대옥;이창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09-513
    • /
    • 2021
  • 커큐민은 산화방지능, 항염증, 항우울, 항균, 항종양 등의 다양하고 유익한 생리학적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커큐민은 면역조절, 대사조절, 신경보호 효과도 가지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13,000편 이상의 연구 논문에서 커큐민의 건강상 이점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커큐민을 의약품으로 시장에 출시하지 못하고 있다. 긍정적인 결과가 많음에도, 건강상의 이점을 내세우는 대부분의 연구는 커큐민의 다양한 화학적 거동을 고려하지 않은 시험관실험 및 동물실험에 기반으로 하고 있다. 커큐민은 PAINS이자 IMPs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엄격한 연구 설계에도 불구하고, 인체적용시험 및 임상시험은 특별한 이점을 입증할 수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커큐민의 다면적 특성을 검토하여 커큐민의 부정적 특성이 이로운 효과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건강상의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잠재적 연구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저선량 X-선 조사가 쥐의 정자에 미치는 생물학적효과 (The Effects of Rat's Sperm Bioassay for Low Dose X-Ray)

  • 진계환;민수영;이상복;이삼열;박종배;이준행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84-189
    • /
    • 2007
  •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쥐의 전신에 저선량 X-Ray을 조사하여 쥐의 정자에 미치는 생물학적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용 동물인 Sprague-Dawley(SD) rat 총 36마리를 6마리씩 구분하여, 각각 대조군, 10 mGy, 20 mGy, 50 mGy, 100 mGy, 200 mGy의 X-Ray을 전신 조사하였다. 0.1g 당 정자수는 각각 $14.216{\times}10^6,\;13.901{\times}10^6,\;14.153{\times}10^6,\;13.831{\times}10^6,\;14.137{\times}10^6,\;14.677{\times}10^6$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정자의 운동성은 각각 50.9%, 49.5%, 55.1%, 54.3%, 48.0%, 52.2%이었다. 그리고 남성호르몬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증가함을 보였고, 현미경 시야에서 고환조직을 확인한 바로는 정세관, 정소세포에서 공포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의 법령에서 제한하는 선량이하에서 피폭선량이 관리된 SD rat에게 유해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숫자의 동물에게서 확인한 결과이므로 인체에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향후 다른 동물과 궁극적으로 인체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선량 ${\gamma}$ 선 조사가 배추와 무 종자의 발아와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uptake of mineral nutrients in chinese cabbage and radish)

  • 윤영만;김남범;김재성;김정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4-348
    • /
    • 1999
  • 배추와 무의 영양생리에 대한 저선량${\gamma}$선에 의한 자극작용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1998년산 흑진주배추, 1995년산 서림엇갈이배추, 1998년산 청운무 종자에 1에서 10Gy의 저선량 ${\gamma}$선을 조사하고 생육시기에 따른 생장량과 무기양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시된 배추품종들은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발아율과 건물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생산의 증가는 흑진주배추에서 가장 현저하여 10Gy 처리구에서 143%로 증가되었고, 서림엇갈이배추는 10Gy에서 138%로 증가하였다. 청운무는 ${\gamma}$선 조사에 따른 발아율과 건물생산량의 일관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무기영양소들의 함량변화는 선량-반응 곡선의 ${\gamma}$ 또는 ${\delta}$형을 나타내 ${\gamma}$선에 의한 자극효과가 일부처리구에서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일반적 현상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저선량 ${\gamma}$조사가 배추와 무의 영양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연구결과의 집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