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 soil strength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1초

인장시험(引張試驗)에 의한 보강토(補强土)의 거동결정(擧動決定) (Soil-Reinforcement Interaction Determined by Extension Test)

  • 김운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40
    • /
    • 1988
  • 흙과 보강재 사이의 거동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hollow cylinder type의 샘플 내에 보강재를 인장방향으로 삽입하여 주위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가운데 축력(軸力)을 감소시키는 소위 삼축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특성(引張特性)(extensibility)이 상이(相異)한 3종류의 보강재를 사용한 결과 파괴변형율(failure strain), 최대강도후의 응력강소(loss of post-peak strength), 변형모양(deformation mode) 등이 보강재에 따라 각각 독특하였고, 파괴의 양상은 breakage 또는 pull-out 이 발생하였으며, 보강재단(補强材端)의 고정여부에 따라 보강효과가 영향을 받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강토해석 및 설계시 흙 및 보강재 자체의 강도(强度)와 더불어 보강재의 인장특성(引張特性)과 경계조건(境界條件)이 매우 중요한 고려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선행압축(先行壓縮)이 점성토(粘性土)의 전단특성(剪斷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Pre-compression on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Cohesive Soil)

  • 강예묵;박헌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77-291
    • /
    • 1983
  • 토목공사(土木工事)에서 흙구조물(構造物)의 시공후(施工後)에 변화(變化)하는 전단특성(剪斷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입도(粒度)가 다른 4종류(種類)의 시료(試料)를 사용(使用)하여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와 최대건조밀도(最大乾燥密度)로 다짐한 공시체(供試體)에 여러가지 선행압축하중(先行壓縮荷重)을 가(加)한 후(後) 직접전단시험(直接剪斷試驗)과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00번(番)체 통과율(通過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점착력(粘着力)은 일률적(一律的)으로 증가(增加)하였고,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감소(減少)하였으나 그 감소율(減少率)은 완만(緩慢)하였다. 2. 선행압축(先行壓縮)은 다짐 점성토(粘性土)의 전단강도(剪斷强度)를 증가(增加)시키는데, 점착력(粘着力)의 증가(增加)는 현저(顯著)하나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일률적(一律的)인 변화(變化)의 경향(傾向)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선행압축하중(先行壓縮荷重)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응력일변위(應力一變位) 곡선(曲線)의 기울기는 초기(初期)에 급(急)하고, 수직변위(垂直變位)는 압축단계(壓縮段階)에서는 작았으나 팽창단계(膨脹段階)에서는 큰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수평변위(水平變位)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전단시(剪斷時)의 수직응력(垂直應力)이 작은 경우에 응력비(應力比)(전단응력(剪斷應力)/수직응력(垂直應力))는 큰 값을 나타냈고 곡선(曲線)의 기울기도 급(急)하게 나타났다. 5. 직접전단시험(直接剪斷試驗)과 삼축압축시험결과(三軸壓縮試驗結果)를 종합(綜合)하면 동일조건(同一條件)의 시료(試料)에서 점착력(粘着力)은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에서,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직접전단시험(直接剪斷試驗)에서 큰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 PDF

재활용재료를 이용한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 - 모형챔버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Facility with Recycling Materials - Small-Scaled Laboratory Chamber Test and FEM Analysis)

  • 이관호;이경중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7-1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장발생토사, 정수장슬러지 및 폐타이어분말 등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해 실내모형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은 교통하중을 모사한 정하중을 이용하였고, 현장에서의 시공과정을 고려하여 터파기, 베딩재시공 및 관부설, 유동성뒤채움재 타설 및 양생, 교통하중재하 순으로 평가하였다. 모형실험에는 관의 내공변위측정계, 토압계, 변형률게이지, LFWD등이 적용되었다. 유동성뒤채움재를 타설하는 시공과정중 관에서 발생한 최대 수직 및 수평변위는 0.83% 및 1.09%로 측정되었다. 양생 후 교통하중 재하시 최대수직 및 수평변위는 2.54 mm 및 3.15 mm이다. 하중제거시 회복되는 수직 및 수평 변형량은 0.603 mm 및 0.676 mm이다. 측정된 수평 및 수직토압으로부터 토압경감효과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모형실험에 이용된 재료물성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다양한 유동성뒤채움재 시공시 PVC관에서 발생하는 변위, 토압, 변형률 등을 평가하였다.

Mitigation of seismic pounding between RC twin high-rise buildings with piled raft foundation considering SSI

  • Farghaly, Ahmed Abdelraheem;Kontoni, Denise-Penelope 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2권6호
    • /
    • pp.625-635
    • /
    • 2022
  • High-rise buildings (HRBs) are considered one of the most common structures nowadays due to the population growth, especially in crowded towns. The lack of land in crowded cities has led to the convergence of the HRBs and the absence of any gaps between them, especially in lands with weak soil (e.g., liquefaction-prone soil), but then during earthquakes, these structures may be exposed to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m due to the large increase in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which may be destructive in some cases to the one or both of these adjacent buildings. To evaluate methods of reducing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adjacent twin HRB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ree vibration control methods to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due to five different earthquakes for the case of two adjacent reinforced concrete (RC) twin high-rise buildings of 15 floors height without gap distance between them, founded on raft foundation supported on piles inside a liquefaction-prone soil. Contact pounding elements between the two buildings (distributed at all floor levels and at the raft foundation level) are used to make the impact strength between the two buildings realistic. The mitigation methods investigated are the base isolation, the tuned mass damper (TMD) method (using traditional TMDs), and the pounding tuned mass damper (PTMD) method (using PTMDs connected between the two buildings). The results show that the PTMD method between the two adjacent RC twin high-rise buildings is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 two methods in mitigating the earthquake-induced pounding risk.

토양의 주파수의존성을 고려한 정보통신설비용 수평접지전극의 과도전위상승 분석 (Analysis of Transient Potential Rises of Horizontal Ground Electrodes Considering the Frequency-Dependent of Soil)

  • 안창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147-153
    • /
    • 2016
  • 정보통신설비의 피뢰설계는 정보통신기기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뇌격전류에 의한 접지전극의 과도전위상승은 전원설비 및 정보통신기기의 절연내력의 기초 자료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해석이 요구된다. 접지전극의 과도전위상승은 접지임피던스로부터 계산되어지며, 접지임피던스는 접지전극의 형상과 토양의 주파수의존성에 크게 의존적이다. 토양의 주파수의존성은 인가된 전계에 의한 토양의 유전체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디바이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접지임피던스로부터 과도전위상승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디바이식을 적용한 과도전위상승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전송선로 모델과 대지저항률이 일정한 경우에 대해서 각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수평접지전극은 30 m이며, 표준 뇌격전류파형에 대해서 대지저항률이 10, 100, $1000{\Omega}{\cdot}m$에 대해서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바이식을 적용하여 계산된 수평접지 전극의 과도전위상승이 다른 모델의 경우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shield TBM 터널 근접시공에 의한 인접 단독말뚝의 거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of pre-existing single piles to adjacent shield TBM tunnelling from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 전영진;전승찬;전상준;이철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3-4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터널 근접 시공으로 인한 기 존재 단독말뚝의 공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터널로부터 말뚝선단의 이격거리와 막장압의 변화를 고려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터널 막장압을 고려하여 말뚝의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터널굴착으로 유발되는 지반침하, 말뚝두부침하, 말뚝축력 및 말뚝-지반 사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고찰하였다. 말뚝이 터널 크라운(crown) 바로 상부에 위치하고 말뚝선단까지의 수직 이격거리가 0.25D (여기서, D는 터널직경)인 경우 초기 응력의 50%에 해당하는 막장압을 적용할 경우 25%의 막장압을 적용한 것과 비교한 결과 말뚝두부의 침하가 약 38% 감소하였다. 또한, 막장압의 크기가 작을수록 지반침하, 말뚝의 축력 및 말뚝-지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이 증가하며, 말뚝이 터널굴착 영향권 밖에 존재할 경우 말뚝에는 압축력 형태의 축력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막장압의 크기 및 터널-말뚝선단의 상대위치는 지반 침하와 말뚝 침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의 경우 기존에 보고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터널굴착으로 인한 말뚝의 거동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말뚝의 허용횡방향지지력 결정법의 비교연구 (An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 of Determining Allowabl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Piles)

  • 이승현;한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67-274
    • /
    • 2021
  • 말뚝의 허용횡방향지지력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지반반력법과 극한횡방향지지력에 근거한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는데 설계시 지반반력법에 근거한 방법만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건과 말뚝머리 구속조건 그리고 말뚝길이에 따른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이들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구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해석에서 고려한 조건들이 말뚝의 허용횡방향지지력 결정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말뚝머리 구속조건 및 말뚝길이에 상관없이 연약 점성토 지반에 설치된 말뚝의 경우 지반반력법에 의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이 설계를 지배함을 알 수 있었고 점성토의 비배수강도가 커짐에 따라 극한횡방향지지력을 통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이 설계를 지배함을 알 수 있다.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말뚝의 경우 느슨한 사질토지반에 설치된 말뚝머리 자유인 짧은말뚝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경우에 있어 극한횡방향지지력을 통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이 설계를 지배함을 알 수 있다. 횡방향말뚝의 설게시 허용 횡방향변위량에 근거한 설계만으로 충분하다는 견해도 있지만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극한횡방향지지력에 근거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의 계산 또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평지반반력계수는 허용횡방향변위량 이내에서는 말뚝폭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실제 많이 쓰이는 말뚝폭의 범위인 20~90cm 인 경우 말뚝폭의 영향을 무시해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DCM 공법으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 말뚝기초의 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Piled Abutment Subjected to Lateral Soil Movement of Soft Ground Improved by Deep Cement Mixing Method)

  • 최연호;강경호
    • 지질공학
    • /
    • 제30권2호
    • /
    • pp.131-145
    • /
    • 2020
  •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시공할 경우 연약지반에는 편재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이나 활동파괴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말둑기초의 안정성과 말뚝의 거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말뚝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파악하고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교대말뚝기초의 거동특성과 보강효과를 확인하여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말뚝기초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압밀도 분석 결과, 압밀 단계에 따라 연약지반 강도증가율에 의해 연약지반의 강도정수인 점착력은 약 1.1~1.8배 증가하였다. 측방유동 검토 결과, 허용수평변위 기준은 3.8 cm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공적인 면에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나, 구조물의 중요도 및 지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여 시공 시 계측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측방유동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준설매립토의 조기안정을 위한 수평배수공법에서 부압과 배수재 배치간격의 영향 (The Effects of Negative Pressure and Drain Spacing in the Horizontal Method for an Early Settlement of Dredged and Filled Grounds)

  • 김수삼;한상재;김병일;김정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수평배수공법에 있어서 부압과 배수재 배치간격에 대한 영향을 일련의 실내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형토조실험를 이용한 적정 부압 산정에 관한 실험결과 초기에 낮은 부압을 가하고 단계적으로 높은 부압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은 부압을 가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배수재의 위치 변화를 작게 하며, 배수재로부터 거리에 따라 함수비를 균등하게 감소시킴으로서 함수비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사전 등(1988씰 제안식을 이용하여 배수재의 평균 타설간격을 산정하여 Barron(1948)의 이론식을 이용한 계산 값과 신사전 제 침하량 측정으로부터 구한 시간 경과에 따른 압밀도를 비교한 결과 실측 압밀곡선은 신사전 등(19880의 평균타설간격(dm)을 적용한 실측 압밀곡선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현장에서 수평배수재를 설치한 준설지반 의 배수재 배치간격과 압밀속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신사전등과 Barron의 이론식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토지반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 사면의 경사에 따른 트렌치 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rench Slope Stability in Permafrost Regions 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of Slope)

  • 김종욱;김정주;;유한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7-33
    • /
    • 2017
  • 동토지역에서의 파이프라인 시공 시 계절변화와 그에 따른 지반의 강도변화가 트렌치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국, 러시아, 국내 파이프라인 기준들을 분석하여 직경 30in. 파이프의 트렌치 형상을 도출하였다. 러시아 야쿠츠크(Yakutsk) 지역의 계절별 지반조건에서 횡방향 사면경사($0^{\circ}$, $10^{\circ}$, $20^{\circ}$, $30^{\circ}$)와 종방향 사면경사($20^{\circ}$, $30^{\circ}$, $40^{\circ}$)에 따른 트렌치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강도감소법을 이용하여 트렌치와 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면의 경사가 높을수록 안전율이 낮게 나왔으며 여름철 지반조건에서는 횡방향 사면경사가 $30^{\circ}$일 때 트렌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지상으로부터 1m 아래에서 예상 파괴면을 확인하였다. 종방향 사면의 경사가 낮을 때에는 트렌치 부근의 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지만 종방향 사면의 경사가 높을 때에는 트렌치 부근의 파괴 보다는 사면 전체의 파괴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겨울철 지반조건에서는 지표면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서 지반 공극 내 얼음 발생으로 인하여 점착력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어, 특수한 외부 하중이나 급격한 온도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트렌치 사면 경사 $0{\sim}40^{\circ}$에서 안전성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