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 Repor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Multiple fibro-osseous lesions of the jaws: A report of a rare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 Makkad, Ramanpal Singh;Naidu, Giridhar S.;Nagi, Ravleen;Sagtani, Alok;Patil, Santosh;Shrivastava, Swatantr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4호
    • /
    • pp.461-466
    • /
    • 2021
  • Fibro-osseous lesions are a poorly defined category of conditions affecting the jaws and craniofacial bones, and include developmental lesions, reactive or dysplastic lesions, and neoplasms. Fibrous dysplasia and ossifying fibroma are the 2 main types of fibro-osseous lesions affecting the jaw, and ossifying fibroma is a true benign neoplasm of the bone-forming tissues with several well-recognized variants ranging from innocuous to extensively aggressive lesions. However, multiple simultaneous fibro-osseous lesions of the jaw bones involving all quadrants are exceedingly rare. One such case diagnosed by conventional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is discussed here.

미국 멕시코만 오염사고 분석을 통한 국가방제정책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Marine Pollution Respons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Gulf of Mexico Oil Spill Incident)

  • 김상운;임창수;이완섭;하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7-264
    • /
    • 2011
  • 2010년 4월 20일, 반잠수식 시추선 Deepwater Horizon호가 폭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490만배럴(약 77.8만톤)의 원유가 미국 멕시코만으로 유출되었다. 이 사고로부터 1년 이상이 경과함에 따라 정부 측과 오염행위자 측의 각종 분석보고서와 사고로부터 얻은 교훈 등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시로 구성된 "Deepwater Horizon 기름유출과 원해 석유시추에 관한 국가위원회"의 최종보고서와 미국 해안경비대(USCG)와 미국 에너지 관리 규제 집행국(BOEMRE) 합동조사반의 중간보고서를 바탕으로 기름오염 사고 원인과 사고대응에 대한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정부에서 유출구 봉쇄조치 지도감독 능력 강화, 현장소각과 임시방제정 프로그램의 도입검토 및 향후 미국의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국가방제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고등교육의 미래 동향과 학습분석 기술 (Future Trends of Higher Education and Learning Analytics Technology)

  • 이명숙;박주건;이주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345-347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Horizon report 2020에서 소개하는 고등교육 분야에 영향을 줄 트렌드와 기술 사례들을 수집하여 고등교육의 미래 동향과 학습 분석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고등 교육이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영향을 줄 트렌드로는 기술적 트렌드, 고등교육 트렌드, 경제적 트렌드 등이 있으며 기술 사례로는 적응형 학습, 인공지능/머신기능 기술의 교육적 활용, 학업 성취도 분석을 위한 학습 분석, 확장 현실 기술 등이 있다. 이 중 학습 분석 기술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유용한 기술이기도 하며 고등교육에 영향을 줄 가장 핵심 트렌드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 학습에 적용하는데는 데이터 격차, 품질 문제, 개인 정보보호에 대한 문제 등 윤리적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향후 학습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Optimal Reporting Stategy of an Insured -Dynamic Programming Approach-

  • Min, Jae-Hyung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3-97
    • /
    • 1990
  • We consider an insured who wishes to determine his optimal reporting strategy over a given planning horizon, when he has option of reporting of not reporting his at-fault accidents. Assuming that the premium in future period is continually adjusted by the insured's loss experience, the insured would not report every loss incurred. Rather, consider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each decision, the insured may want to seek a way of optimizing his interests over the planning horizon. The situation is modeled as a dynamic programming problem. We consider an insured's discounted expected cost minimization problem, where the premium increase in future period is affected by the size of the current claim.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two cases ; (1) the premium increase in the next is a linear function (a constant fraction) of the current claim size; (2) the premium increase in the next period is a concave function of the current claim size. In each case, we derive the insured's optimal reporting strategy.

  • PDF

Halo interactions in the Horizon run 4 simulation

  • L'Huillier, Benjamin;Park, Changbom;Kim, Juhan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46-46
    • /
    • 2014
  • Interactions such as mergers and flybys play a fundamental role in shaping galaxy morphology. We used the Horizon Run 4 cosmological N-body simulations to study the frequency and the type of halo interactions as a function of the environment, the separation p, the mass ratio q, and the target halo mass. We defined targets as haloes more massive than 10^11 Msun/h, and a target is interacting if it is located within the virial radius of a neighbour halo more massive than 0.4 times the target mass. We find that the interaction rate as a function of time has a universal shape for different halo mass and large-scale density, with an increase and saturation. Larger density yield steeper slopes and larger final interaction rates, while larger masses saturate later. Most interactions happen at large-scale density contrast ${\delta}$ about 10^3, regardless of the redshift. We also report the existence of two modes of interactions in the (p,q) plane, reflecting the nature (satellite or main halo) of the target halo. These two trends strongly evolve with redshift, target mass, and large-scale density. Interacting pairs have similar spins parameters and aligned spins, with radial trajectories, and prograde encounters for non-radial trajectories. The satellite trajectories become less and less radial as time proceed. This effect is stronger for higher-mass target, but independent of the large-scale density.

  • PDF

Report on the Current Status of EAO/JCMT

  • Dempsey, Jessica;Ho, Paul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58.3-59
    • /
    • 2017
  • The JCMT is now in its third year of operations under EAO management. During this past year, we continued with calls for regular PI programs as well as the second call for Large Programs. The performance of SCUBA-2 has been improved by replacing internal optical filters. The 230GHz Receiver A is in the process of being replaced by a new closed-cycle system. The SCUBA-2 polarimeter, POL-2, commissioned during the past year, has been working very well in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structures in molecular clouds. The JCMT successfully participated in the Event Horizon Telescope experiment during April 2017, which utilized the phased-up ALMA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round of Large Programs are nearing completion, with first publications beginning to be published. The JCMT continues to welcome inputs from the community, and the next users meeting will be held in Seoul in January 2018.

  • PDF

Do Analyst Practices and Broker Resources Affect Target Price Accuracy? An Empirical Study on Sell Side Research in an Emerging Market

  • Sayed, Samie Ahme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권3호
    • /
    • pp.29-36
    • /
    • 2014
  •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the impact of non-financial factors including analyst practices and broker resources on performance of sell sid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these non-financial factors have a measurable impact on performance of target price forecasts. Number of pages written by an analyst (surrogate for analyst practice) is significantly and directly linked with target price accuracy indicating a more elaborate analyst produces better target price forecasts. Analyst compensation (surrogate for broker resource) is significantly and inversely linked with target price accuracy. Out performance by analysts working with lower paying firms is possibly associated with motivation to migrate to higher paying broking firms. The study finds that employing more number of analysts per research report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target price accuracy -negative coefficient indicates that team work may not result in better target price forecasts. Though insignificant, long term forecast horizon negatively affects target price accuracy while stock volatility improves target price accuracy.

KaVA and EAVN large program on two Supermassive Black Holes, Sgr A∗ and M87

  • Sohn, Bong Won;Kino, Motoki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52.1-52.1
    • /
    • 2019
  • Exploring the vicinity of super-massive black holes (SMBHs) is one of the frontiers in astrophysics. KaVA AGN Science WG has launched its Large Program in 2014 focusing on two SMBHs, Sgr A∗ and M87. They are selected based on their large apparent size. Sgr A∗ is the excellent laboratory for studying gas accretion process onto SMBH and M87 is well known as the best case for investigating plasma outflow ultimately driven by SMBH. For Sgr A∗, KaVA and EAVN provides superb UV-coverage on its emitting region and its scattering medium. In the case of M87, we have conducted high cadence dual-frequency (22and 43GHz )VLBI monitoring to clarify the global profile of the M87 jet velocity field and the spectral index map, which should reflect global structure of magnetic fields in the jet. From 2017, the AGN LP is recognized as multi-wavelength EHT project, conducting quasi-simultaneous coherent observations of M87 and Sgr A∗ with the Event Horizon Telescope (EHT) during its campaign observation periods. AGN WG is reviewing and revising its LP to convert it to EAVN LP. We will briefly report our scientific results and future plan which includes even broade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namely East-Asia to Italy Nearly Global (EATING) VLBI to reach higher angular resolution.

  • PDF

우리나라 전토양(田土壤)의 특성(特性)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에 분포(分布)된 적황색토(赤黃色土)를 중심(中心)으로) (The Morpholog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d-Yellow Soils in Korea)

  • 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52
    • /
    • 1973
  • 우리나라 전작물(田作物)의 저위생산성의 원인(原因)과 그 대책(對策)을 토양학적(土壤學的)인 면(面)에서 추궁(追窮)함에 있어 우선(于先) 현재경작(現在耕作)이 많이 되여 있고 또 앞으로 개발(開發)의 가능성(可能性)을 가진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의 적황색토(赤黃色土)에 대(對)하여 현재(現在)까지 밝혀진 조사(調査)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적황색토(赤黃色土)는 우리나라 남부(南部)를 비롯하여 중부이북(中部以北)의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에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을 비롯한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그리고 홍적층(洪積層) 등(等)을 모재(母材)로 하고 있다. 2. 적황색토(赤黃色土)는 A, Bt, C층(層)으로 되여 있다. A층(層)은 유기물(有機物)이 엷게 덮여서 암색(暗色)을 띄우는 양질(壤質), 식양질(埴壤質)이며 Bt층(層)은 진갈색(眞褐色), 적갈색(赤褐色), 황적색(黃赤色)의 식질(埴質) 혹은 식양질(埴壤質)로서 토괴표면(土塊表面)에 점토피막(粘土皮膜)이 형성(形成)되여 있다. C층(層)은 모재(母材)에 따라 다양다색(多樣多色)하며 Bt층(層)에 비(比)하여 토성(土性)이 거칠고 토양구조(土壤構造)의 발달(發達)이 없다. 토양(土壤)의 깊이는 지형(地形) 모재(母材)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大部分)이 100cm 이내(內外)이다. 3. 적황색토(赤黃色土)의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에 있어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에서 18~35% 심토(心土)에서 30~90%로서 심토(心土)의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약(約) 2배(倍) 내외(內外)가 된다. 가비중(假比重)은 표토(表土)에서 1.2~1.3심토(心土)에서 1.3~1.5 그리고 삼상(三相)의 분포(分布)는 표토(表土)에서 고상(固相) 45~50 액상(液相) 30~45, 기상(氣相) 5~25, 심토(心土)에서 고상(固相) 50~60, 액상(液相) 35~45, 기상(氣相) 15미만(未滿)으로 대부분(大部分)이 치밀(緻密)하다, 유효수분범위(有効水分範圍)는 비교적(比較的) 좁아서 표토(表土)에서 10~23%, 심토(心土)에서 5~16% 범위(範圍)이다. 4. 적황색토(赤黃色土)의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에 있어 토양반응(土壤反應)은 모재(母材)에 따라 달라서 석회암(石灰岩) 및 구하해혼성퇴적(舊河海混成堆積)을 모재(母材)로한 토양(土壤)에서는 중성(中性) 급지(及至) 염기성(鹽基性) 그밖의 토양(土壤)에서는 산성(酸性) 급지(及至) 강산성(强酸性)을 띠운다. 표상(表上)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식생(植生), 침식(侵蝕), 경종(耕種) 등(等)에 따라서 차(差)가 크며 1.0~5.0% 범위(範圍)에 있다.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5~40me/100gr이며 이는 유기물(有機物), 점토(粘土), 미사함량(微砂含量) 등(等)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다. 치환침출염기(置換浸出鹽基)는 용탈(溶脫)되여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대체(大體)로 낮지만 석회암(石灰岩)에 기인(基因)된 토양(土壤)에서는 석회(石灰), 마구네슘함량(含量)이 높아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도 높다. 5. 적황색토(赤黃色土)의 점토광물(粘土鑛物)은 대부분(大部分)이 Kaolin 광물중(鑛物中)의 하나인 Halloysite와 운모(雲母)의 풍화생성물(風化生成物)인 Vermiculite, Illite를 주광물(主鑛物)로 하고 있으며 소량(少量)의 Chlorite, Gibbisite, Hematite 혼층광물(混層鑛物)과 1차(次) 광물(鑛物)인 석영(石英) 및 장석(長石)이 존재(存在)한다. 6. 적황색토(赤黃色土)는 미국(美國)의 Red-yellow podzolic Soils 및 Reddish Brown Lateritic Soils의 일부(一部) 그리고 일본(日本)의 적황색토(赤黃色土)와 유사(類似)한 특성(特性)을 가진다. 미(美)7차(次) 시안(試案)에 의(依)하면 적황색토(赤黃色土)는 Udults 및 Udalfs 그리고 FAO 분류안(分類案)에 의(依)하면 Acrisols, Luvisols 그리고 Nitosols로 분류(分類)할 수 있다.

  • PDF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Radio's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y Residents A Field Report on Mapo FM's Case)

  • 반명진;김영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8권
    • /
    • pp.79-115
    • /
    • 2016
  • 이 연구는 마포 FM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대안 미디어, 테크놀로지, 그리고 콘텐츠 중심의 논의로 치우쳐져 있는 기존의 공동체 라디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한다. 지역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방송 제작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문화적 정체성을 재구성해낸다는 측면에서 공동체 라디오는 구성원들의 문화적 실천을 엮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동체 라디오를 전유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정체성을 재구성해내는 양상들은 공동체 라디오의 정체성을 재조명할 수 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해준다. 심층 인터뷰를 동원한 현장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동체 라디오는 참여형 제작과정이라는 문화적 실천을 통해서 엮이게 되는 -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 삶이 묻어나는 매체인 동시에, 지역성과 대안성이라는 특성을 넘어 시민성과 공동체성과 관계망의 형성에 기여하는 미디어, 즉 사회적 유대감과 연대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는 미디어라고 재정의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