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g xiuqua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한중일 삼국 지식인 '사(士)'의 이상 - 배상제교·동학·천리교의 종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The Intellectuals' Ideals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Societies : Focused on the Religious Thoughts of Donghak, Tenrikyo and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 임태홍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375-406
    • /
    • 2011
  • 이 글은 근대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배상제교, 조선의 동학, 그리고 일본의 천리교를 선택하여 각 종교 교리 가운데 내포되어 있는 지식인 '사(士)'의 이상적인 이미지와 사상적인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각 종교교단의 교조 즉 배상제회의 홍수전(洪秀全, 훙시우취엔, 1814-1864), 동학의 최제우(崔濟愚, 1824-1864), 그리고 일본 천리교의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 1798-1887)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폈는데, 이들 세 사람이 추구했던 이상은 각자가 어려운 환경에서 겪은 종교체험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홍수전은 하늘이 보낸 관리로서 신으로부터 칼과 도장을 받았으며, 최제우는 주문과 부적을 받아 그것으로 사람들을 가르쳐 신을 위하도록 하였다. 미키는 자기 자신이 하늘의 '쇼군(將軍)'이 되기도 하고, 또 그러한 쇼군을 섬기는 자가 되기도 하였다. 쇼군은 무사가운데 가장 높은 무사이다. 그녀는 스스로 인간을 구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현세이익적인 다양한 징표들을 만들어 제공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분적으로도 이상적으로도 신사 선비 무사였던 세 사람은 각자가 만든 종교에 어떠한 사상을 담았을까? 홍수전은 끊임없이 중국 내부로 관심을 돌리고 거기에 들어가 있는 악마적인 존재를 제거하고 평화를 이루는데 관심을 가졌다. 태평천국의 혁명 논리는 여기에서 나왔다. 최제우는 교인들을 가르치고 수양시키는데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새로운 시대가 개벽되었다고 선언하였다. 현실적으로 보이는 이익보다는 추상적인 사상에 집착하였다. 반면에 미키는 '인간'을 위한 구제를 선언하고 현실적인 이익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러한 이익은 오직 '우리 편' 혹은 '일본'에만 한정된 것으로 '타자'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입장을 취했다. 아울러 그녀의 관심은 끊임없이 '외부'로 향했는데 그 외부는 정복하고 극복해야할 대상이었다.

태평천국운동에 있어서 서양 기독교와 중국 문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Western Christianity and Chinese Culture in Taiping Religion)

  • 김석주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475-503
    • /
    • 2016
  • 태평천국운동은 현대중국의 성립과 관련하여 차지하는 특별한 위상으로 인하여 세계 여러 곳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상당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측면의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 글은 이 점을 중시하여 태평천국운동과 기독교와의 관계 중 19세기 중국 개신교가 홍수전과 태평천국운동에 끼친 영향을 먼저 파악한다. 홍수전은 양발과 이사카 로버츠로부터 유일하신 존재 하나님께만 예배드려야 함을, 예수님을 구세주로 고백해야 함을, 그리고 성경을 배우고 익혀야 함을 깨달았다. 심오한 여러 기독교 사상을 배웠고 영생을 소망하며 천국과 지옥이 존재함을 믿었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이 땅에서, 특히 19세기 중국에서의 삶 속에 적용함은 이와는 다른 별개의 이야기였다.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홍수전은 19세기 중국이라는 시공간적인 토대 위에 생성된 중국문화의 영향 아래 살아가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서양 기독교적 믿음은 중국화 되고 또 그들 중국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문화와 세계관으로 재해석되어 실행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