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omologue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2초

HepG2 세포에서 까마귀쪽나무 과육 열수 추출물의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Litsea japonica Flesh Water Extract against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epG2 Cells)

  • 김은옥;제갈경환;김재광;이주상;박정아;김상찬;조일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7-318
    • /
    • 2018
  • Objectives :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designates cellular responses to the accumulation of misfolded and unfolded proteins in ER, which is related to a variety of liver diseases.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Litsea japonica flesh water extract (LJE) aganist ER stress. Methods : After HepG2 cells were pretreated with LJE and subsequently exposed to tunicamycin (Tm) or thapsigargin (Tg), expression of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glucose regulated protein 78 kDa (GRP78), asparagine synthetase (ASNS), and endoplasmic reticulum DnaJ homologue 4 (ERDJ4)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 and real-time PCR analysis. Three canonical signaling pathways in response to ER stress were examined to explor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Results : Pretreatment of 1 mg/mL LJE inhibited Tm- or Tg-induced CHOP expression, while L. japonica fruit water extract did not. In addition, LJE decreased the levels of GRP78, ASNS, and ERDJ4 mRNA by Tm. Moreover, phosphorylations of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2{\alpha}$ and inositol-requiring enzyme 1, expression of nuclear form of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6{\alpha}$, and transactivation of ER stress response element- and unfolded protein response element-harboring luciferase activities were inhibited by LJE pretreatment. Conclusions :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LJE would be a candidate to prevent or treat ER stress-mediated liver injuries.

산발성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의 임상적 의의 및 MTHFR 677C>T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 (5,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677C>T polymorphism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sporadic colorectal cancer)

  • 권수경;김종우;김남근
    • 대한종양외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0-86
    • /
    • 2013
  • Purpose: Hypermethylation of human mut L homologue 1 (hMLH1) promoter region is known to cause sporadic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colorectal cancers. 5,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is the key enzyme in folate metabolism, acting as a methyl donor for DNA methyl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the polymorphism of MTHFR 677C>T plays a role in the alteration of the promoter-specific hypermethylation, predisposing to MSI colorectal cancers. Methods: Total of 487 sporad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in CHA Bundang Medical Center were collected. MSI was identified when two or more are positive among five microsatellite markers (BAT25, BAT26, D17S250, D5S346, D2S123). The others were classified as microsatellite stable (MSS). Polymorphism of MTHFR 677C>T was genotyp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Results: MSI was observed in 65 of 487 patients (12.73%). MSI colorectal cancers showed simila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ith previously reported; younger age onset, right-sided preponderance, mucinous and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y, lower stage, fewer lymph node metastases than MSS tumors (each P<0.05). The frequency of MTHFR 677TT genotype was 17.7% in the MSI group higher than 14.6% in the MSS group (P=0.17).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MTHFR 677CC referent, MTHFR 677 CT+TT genotype was more likely to have MSI than MSS (odds ratio, 1.81; 95% confidence interval, 0.94 to 3.68; P=0.06).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MTHFR 677TT genotype in MSI colorectal cancers. Furthermore, individuals with MTHFR 677CT+TT variant type might potentially develop MSI rather than MSS colorectal cancers.

Hippo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in T Cell Immunity

  • Antoine Bouchard;Mariko Witalis;Jinsam Chang;Vincent Panneton;Joanna Li;Yasser Bouklouch;Woong-Kyung Suh
    • IMMUNE NETWORK
    • /
    • 제20권5호
    • /
    • pp.36.1-36.13
    • /
    • 2020
  • Hippo signaling pathways are evolutionarily conserved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mainly involved in organ size control, tissue regeneration, and tumor suppression. However, in mammals, the primary role of Hippo signaling seems to be regulation of immunity. As such, humans with null mutations in STK4 (mammalian homologue of Drosophila Hippo; also known as MST1) suffer from recurrent infections and autoimmune symptoms. Although dysregulated T cell homeostasis and functions have been identified in MST1-deficient human patients and mouse models, detailed cellular and molecular bases of the immune dysfunction remain to be elucidated. Although the canonical Hippo signaling pathway involves transcriptional co-activator Yes-associated protein (YAP) or transcriptional coactivator with PDZ motif (TAZ), the major Hippo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in T cells are YAP/TAZ-independent and they widely differ between T cell subsets. Here we will review Hippo signaling mechanisms in T cell immunity and describe their implications for immune defects found in MST1-deficient patients and animals. Further, we propose that mutual inhibition of Mst and Akt kinases and their opposing roles on the stability and function of forkhead box O and β-catenin may explain various immune defects discovered in mutant mice lacking Hippo signaling components. Understanding these diverse Hippo signaling pathways and their interplay with other evolutionarily-conserved signaling components in T cells may uncover molecular targets relevant to vaccination, autoimmune diseases, and cancer immunotherapies.

두개골 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과정에서 Msx 유전자들의 발현양상 (THE EXPRESSION OF MSX GENES DURING EARLY CRANIAL SUTURE EMBRYOGENESIS)

  • 이상엽;박미현;유현모;남순현;김영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1-180
    • /
    • 2003
  • 두개골의 성장은 뇌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두개봉합부 주위 여러 조직들사이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두개골의 조기융합으로 알려진 craniosynostosis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불균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으며, craniosynostosis의 원인 유전자의 하나로 Msx2가 알려져 있다. Msx1, Msx2, Msx3로 구성되어 있는 Msx 유전자는 homeobox를 포함하고 있는 전사조절인자로, 초파리의 muscle segment homeobox 유전자의 homologue이다. Msx1과 Msx2 유전자들은 척추동물의 발생과정에서 조직 상호작용하는 여러 부위에 서로 겹치는 양상으로 발현되며 기관형성동안 상피-간엽조직 상호작용과 연관되어 나타나고, BMP와 FGF signaling의 표적 유전자들이다. Mouse 두개골의 시상봉합부와 관상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과정에서의 Msx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태생 15일에서 태생 18일까지의 mouse의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vo 실험을, 태생 15.5일 mouse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시상두개봉합부에서는, Msx1은 봉합부의 간엽조직과 dura mater에 발현하였으며 Msx2는 두개봉합부와 dura mater에 강하게 발현되었다. 관상두개봉합부에서는 Msx1, Msx2 유전자 모두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골막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고, Msx1이 Msx2보다 좀더 광범위하게 발현되었다. In vitro 실험결과, BMP2 bead 주위로 Msx1 mRNA와 Msx2 mRNA 모두 발현되었으나, FGF2 bead 주위로는 Msx1만 발현되고 Msx2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sx1, Msx2 유전자들은 태생기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를 조절하는데 중요하며, Msx 유전자들은 거의 유사한 발현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상위 siganling에 의해 서로 보완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기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E. coli에서 발현된 human HtrA1 단백질의 정제와 HtrA1의 serine protease 활성 조건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of Human HtrA1 Expressed in E. coli and Characterization of Its Serine Protease Activity)

  • 김경희;김상수;김구영;임향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33-1140
    • /
    • 2006
  • E. coli HtrA (High temperature requirement protein A)의 human homologue 중 하나인 HtrA1은 IGFBP를 절단하여 IGF의 활동을 조절하는 serine protease으로 알려졌다. HtrA1의 serine protease 활성이 여러 질병의 발병 mechanism과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이런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다량의 HtrA1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조건과 HtrA1 serine protease의 최적 활성조건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GEX 시스템을 이용하여 E. coli에서 mature HtrA1인 ${\Delta}149(WT)$와 catalytic site mutant인 ${\Delta}149(S328A)$를 85%의 순도로 1 liter 배양 시, 정제된 단백질을 각각 $400{\mu}g,\;520{\mu}g$ 얻을 수 있는 발현조건을 정립하였다. 또한 HtrA1 serine protease 활성은 protease의 농도와 substrate와의 반응시간에 dependent하며, substrate와의 반응온도가 $42^{\circ}C$일 때 최적의 serine protease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0{\mu}M$의 HtrA1 serine protease를 $37^{\circ}C$에서 3시간 반응 시켰을 때, substrate로 사용한 ${\beta}-casein$의 약 50%가 절단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이 반응조건에 사용한 HtrA1의 양을 1 unit으로 하여 HtrA1의 serine protease활성을 여러 조건에서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mature HtrA1을 다량으로 얻을 수 있는 발헌 및 정제조건과 serine protease 최적 활성조건은 HtrA1의 serine protease 활성과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HtrA2 유전자가 결손된 mouse embryonic fibroblast 세포주의 형태학적 특징 및 세포사멸 자극에 대한 감수성 조사 (Characterization of HtrA2-deficient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Based on Morphology and Analysis of their Sensitivity in Response to Cell Death Stimuli.)

  • 이상규;남민경;김구영;임향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2-529
    • /
    • 2008
  • High-temperature requirement A2(HtrA2)는 대장균에서 42도 노출 시 세포 보호 기능을 하는 단백질인 HtrA의 human homologue로 동정되었다 현재까지 human HtrA2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serine protaese로 세포사멸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생리적 기능 및 mammalian 세포 내에서 heat shock에 대한 보호기능에 대해서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최근 HtrA2 유전자가 결실된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가 보고되어 세포 내 HtrA2의 기능 연구가 가능해 졌으나, 이 세포에 대한 정보가 많은 부분 밝혀져 있지 않다. 생리기능연구를 위해서는 자체의 특성들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차후 기능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HtrA2^{+/+}$, $HtrA2^{-/-}$ MEF 세포주를 확보하고, 두 세포주의 성장속도, 세포 형태 및, heat shock에 의한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HtrA2^{+/+}$, $HtrA2^{-/-}$ MEF 세포주에서 HtrA2의 발현 유무를 PCR과 IB로 확인하였고, fractionation을 통해 $HtrA2^{+/+}$ 세포주에서만 HtrA2가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두 세포에서 형태학적인 차이가 있음을 Coomassie staining으로 확인하였고, 성장속도 또한 $HtrA2^{-/-}$ 세포주가 1.4배 빠름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HtrA2의 고온에 대한 반응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heat shock 자극에서 세포사멸을 측정하여, 기존에 알려진 세포사멸자극에서와 동일하게 heat shock에 의해서도 세포사멸이 야기됨을 확인하였다. $HtrA2^{+/+}$$HtrA2^{-/-}$ MEF 세포주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 HtrA2 유무에 따른 세포의 생리학적 특징을 제공하였고, 향후 heat shock에 의한 세포사멸에서의 HtrA2 기능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HtrA2의 기능을 심도있게 연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Molecular Cloning, Tissue Distribution and Segmental Ontogenetic Regulation of b0,+ Amino Acid Transporter in Lantang Pigs

  • Zhi, Ai-Min;Feng, Ding-Yuan;Zhou, Xiang-Yan;Zou, Shi-Geng;Huang, Zhi-Yi;Zuo, Jian-Jun;Ye, Hui;Zhang, Chang-Ming;Dong, Ze-Min;Liu, Zh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8호
    • /
    • pp.1134-1142
    • /
    • 2008
  • Cationic amino acid transporter $b^{0,+}AT$ (HGMW-approved gene symbol SLC7A9, solute carrier family 7, member 9) plays a crucial role in amino acid nutrition. In the present study, we describe the cloning and sequencing of porcine $b^{0,+}AT$. Based on the sequence of porcine $b^{0,+}AT$ deposited in the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ical Information), we identified a putative porcine homologue. Using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the full-length cDNA encoding porcine $b^{0,+}AT$ was isolated. The porcine $b^{0,+}AT$ cDNA was 1,680 bp long, encoding a 487 amino acid trans-membrane protein.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was found to have 88.9% and 87.1% identity with human and mouse $b^{0,+}AT$, respectively. Real-time RT-PCR indicated porcine $b^{0,+}AT$ transcripts expressed in heart, kidney, muscle and small intestine. The small intestine had the highest $b^{0,+}AT$ mRNA abundance while the muscle had the lowest (p<0.05). Along the longitudinal axis, the ileum had the highest $b^{0,+}AT$ mRNA abundance while the colon had the lowest (p<0.05). The $b^{0,+}AT$ mRNA level was highest on day 7 and 90 in the duodenum (p<0.05). It increased from day 1 to day 26 in the jejunum (p>0.05) and had the highest abundance on day 60 (p<0.05).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between day 1, 7, 26, 30, 90 and 150 (p>0.05). The strongest $b^{0,+}AT$ expression appeared on day 7 in the ileum before weaning, and then decreased till day 30 but rose gradually again from day 60 to 150 (p<0.05).

Dihydroxy-acid Dehydratas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the Branched-Chain Amino acids, Isoleucine and Valine, from the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 Kim, Seong-Hun;Lee, Sun-Bok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327-333
    • /
    • 2005
  • Dihydroxy-acid dehydratase (DHAD, 2,3-dihydroxy-acid hydrolyase, EC 4.2.1.9) is one of the key enzymes involved in the biosynthetic pathway of the branched chain amino acid isoleucine and valine. Although the enzyme have been purified and characterized in various mesophiles including bacteria and eukarya,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DHAD has bee not yet reported from hyperthermophilic archaea. In this study, we cloned, expressed, and purified a DHAD homologue from the thermoacid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P2, which grows optimally at $80\;^{\circ}C$ and pH 3, in E. coli. Characterization of the recombinant S. solfataricus DHAD (rSso_DHAD) revealed that it is the dimeric protein with a subunit molecular weight of 64,000 Da in native structure. rDHAD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oward 2,3-dihydroxyisovaleric acid among 17 aldonic acid substrates Interestingly, this enzyme also displayed 50 % activities toward some pentonic acids and hexonic acids when compared with the activity of this enzyme to the natural substrate. Moreover, rSso_DHAD indicated relatively higher activity toward D-gluconate than any other hexonic acids tested in substrates. $K_m$ and $V_{max}$ values of rSso_DHAD were calculated as $0.54\;{\pm}\;0.04\;mM$ toward 2,3dihydroxyisovalerate and $2.42\;{\pm}\;0.19\;mM$ toward D-gluconate, and as $21.6\;{\pm}\;0.4\;U/mg$ toward 2,3-dihydroxyisovalerate and $13.8\;{\pm}\;0.4\;U/mg$ toward D-gluconate, respectively. In the study for biochemical properties, the enzyme shows maximal activity between $70^{\circ}C$ and $80^{\circ}C$, and the pH range of pH 7.5 to 8.5. The half life time at $80^{\circ}C$ was 30 min. A divalent metal ion, $Mn^{2+}$, was only powerful activators, whereas other metal ions made the enzyme activity reduced. $Hg^{2+}$, organic mercury, and EDTA also strongly inhibited enzyme activities. Particularly, the rSso_DHAD activity was very stable under aerobic condition although the counterparts reported from mesophiles had been deactivated by oxygen.

  • PDF

저장에 따른 생태형별 현미의 발아율과 지질 성분의 변화 (Changes of Seed Germination Rate and Lipid Components in Different Brown Rices during Ageing)

  • 곽지은;이점식;윤미라;김인환;이정희;김미정;이춘기;김보경;김욱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33-940
    • /
    • 2015
  • 토콜즈(tocols) 이성질체 조성이 서로 다른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을 이용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지질 관련 품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의 현미를 $35^{\circ}C$, 습도 80%에서 8주간 저장하며, 2주 간격으로 품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자포니카 품종들의 발아율은 저장 초기 98.0%에서 저장 8주 후 22.4%까지 감소한 데 반해, 통일형 품종들은 저장 초기 93.3%에서 8주 후 59.7%로 감소해 통일형 품종의 발아율 감소율이 2배 이상 낮았고, 쌀의 저장 중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지방산가 또한 통일형 품종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발아율 및 지방산가는 쌀의 저장 중 품질 저하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며, 본 실험을 통해 통일형 벼 품종이 자포니카 품종에 비해 저장에 따른 품질 저하 속도가 늦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통일형 벼는 토코페롤 대비 토코트리에놀 함량이 높고, 특히 지질 안정성 및 지질의 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난 ${\gamma}$-토코트리에놀의 함량이 높은 지질 특징을 지니고 있어, 벼 저장 중의 지질 산패 지연에 관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벼의 저장성과 관련된 명확한 성분 구명을 위해서는 자포니카와 통일형의 토콜즈(tocols) 조성 혼합물을 이용한 저장 실험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광양만내 지속성유기염소계화합물의 잔류농도 및 분포특성 (Environmental Occurrence of Persistent Organochlorines in Gwangyang Bay)

  • 홍상희;임운혁;심원준;오재룡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30-37
    • /
    • 2004
  • PCB 화합물 및 유기기염소계농약류는 난분해성이며 독성이 높은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질로서 환경 중에 배출되면 오랜 시간 잔류하게 된다. 대부분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은 우선적 관찰 및 규제 대상물질로 분류되어 지구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양만은 대단위의 공업단지가 밀집해있고 반폐쇄적인 지형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이 우려되는 대표적인 해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 모니터링에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퇴적물과 부착성 이매패류를 채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광양만내 지속성유기 염소계화합물의 잔류현황을 파악하고 각 화합물의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퇴적물 및 생물에잔류하는 유기염소계화합물은 전반적으르_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독성학적 관점에서 볼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퇴적물 및 이매패류 모두에서 PCB화합물은 만의 안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만의 안쪽에 PCB오염원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광양만 퇴적물층에서의 PCB화합물은 Low-chlorinated PCB (Di-, Tri-, Tetra-PCBs)가 우세한 조성을 나타냈다. 이는 대부분의 연안해역의 퇴적물 층에서 전반적으로 Mid- 혹은 High-chlorinated PCB가 우세한 점을 고려할 때 광양만의 독특한 패턴으로서 PCB 화합물의 오염원의 종류 및 유입경로와 관계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차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DDT 화합물 및 기타 유기염소계농약류의 조성비는 광양만내로의 유기염소계농약의 최근 유입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어졌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