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ogenizer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7초

유탁해수의 RO막에 대한 영향 (The Effect of Sea Water Containing Heavy Oil on RO Membrane)

  • 조봉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00
  • 원해수와 증류수에 각각 A중유를 첨가하여 homogenizer로 30분간 처리하여 emulsion올 만들어 유탁해수 및 유탁수가 RO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해수를 RO막에 공급할 경우, 투과수량은 실험 초기부터 저하했다. 염소이온 및 전기전도도는 원수중의 현탁 물질이 막 표면에 축척되어, 이 fouling에 의해 막의 성능이 떨어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하였다. 염의 저지율은 99.6~99.7%이었다. 유탁해수를 RO막에 공급한 경우, 투과수량은 실험초기부터 서서히 저하했지만, 원해수만의 실험결과와 비교하면 차이가 없다. 그러나 염소이온농도 및 전기전도도는 oil을 첨가한 시점에서 상당히 상승하였다. 유탁해수를 RO막에 공급한 재현성 실험에서, 여과시간은 상당히 짧았다. 염소이온은 oil을 첨가한 시점에서 상당히 상승한 반면, 투과수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또한 emulsion을 $0.3{\sim}0.8mg/{\ell}$의 범위로 만들어 RO막에 공급했지만, fouling에 의해 실험 종료시 투과수에는 약 10ppb 정도 oil이 유출했다. 유탁수의 경우, 전기전도도는 큰 변화없이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투과수량은 실험개시부터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A중유를 첨가한 시점에서 감소하여 실험 종료시는 초기의 투과수량에 비해 약 30% 밖에 투과하지 않았다. 유탁해수를 이용한 실험과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oil이 유입되면 영향은 상당히 컸다. 유분이 RO막 시스템에 유입되면, RO막 장치에 대한 유분의 부착과, RO막 자체에 유분이 부착하여 fouling을 일으켜, 거의 운전을 행할 수 없었다. 즉 유분의 영향으로 인해 막 성능, 투과 수량 및 투과수 수질이 상당히 저하되었다.

  • PDF

Membrane을 이용한 고분자 합성 신공정

  • 김중현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4
    • /
    • 1996
  • 유화제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O/W와 W/O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예:PIT method, D-phase method)은 이제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colloid mill, homogenizer, ultrasonic emulsifier와 같은 유화장치도 지속적으로 개발 및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방법은 공정의 정확한 조절이 어려우며,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크기 분포가 다분산적(polydispersed)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1980년대 중반에 일본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막유화법이 있다. 이 기술은 pouous glass membrane 가운데 기공크기(pore size)가 균일한 SPG(Shirasu Porous Glass)막을 사용하여 균일한 입자분포를 가지는 에멀젼을 제조하는 것이다. 한편 막유화에 사용되는 막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 PDF

기계적 교반이 팽화슬러지 부상에 미치는 영향

  • 박영식;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17-320
    • /
    • 2006
  • 20500 rpm에서 10분 교반까지 계면높이는 감소하였으나 10분 이상의 시간에서는 계면 높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슬러지 농도도 10분까지 경향을 농축농도가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교반시간에서는 농도가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omogenizer의 교반에 의한 최적조건에서의 부상효율은 약 10%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mage analyser로 교반하지 않은 경우와 교반한 경우 슬러지의 sauter mean diameter를 측정한 결과 각각 631 $\mu$m와 427 $\mu$m로 나타나 슬러지 플록의 입경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슬러지의 함수율은 10분의 교반시간까지 조금 감소하였으나 10분 이상의 교반시간에서는 슬러지 함수율이 증가하여 60분에는 99.1%까지 증가하였다.

  • PDF

The effect of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on the o/w microemulsion droplet size and stability

  • Changgui Han;You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40
    • /
    • 1996
  • The oil in water type ME of 4 component system was composed with POE monoalkyl ether and POE sorbitan monoalkyl ester as surfactant, saturated hydrocarbon, side chain structure and aromatic structure as oil, and glycerine as cosurfactant using high pressure homogeniz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urfactant and oil structure on droplet size and stab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droplet size was smaller with bigger polarity of oil, less hydrocarbon, longer hydrophilic chain of surfactant and higher concentration of glycerine. SQ and LP systems showed very stable but AB and ISB system unstable microemulsion.

  • PDF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나노에멀젼 연구 (A Study on Nano-emuls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

  • 채교영;권순식;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01, 0.03, 0.05, 0.10%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고, 5주 동안 이들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입도분포 및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나노에멀젼은 균질기(homogenizer) 처리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은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5주 동안 실험에서,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였다.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함유 나노에멀젼의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을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il-in-water (O/W) 에멀젼과 비교할 때 나노에멀젼이 피부 흡수가 더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O/W 에멀젼보다 안정성과 피부 투과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연료전지용 다공성전극에 있어서 백금촉매의 분산성개선 (Improvement of Platinum Particle Dispersion on Porous Electrode for Phosphoric Acid Fuel Cell)

  • 박정일;김조웅;이주성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224-231
    • /
    • 1990
  • 백금촉매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본블랙의 표면처리, 용매, 계면활성제 및 초음파분산기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였다. 카본블랙을 산화처리하여 카본블랙 표면에 친수성기인 작용기들을 도입함으로써 작용기들이 염화백금산 이온의 anchorage center역할을 하여 이 염화백금산을 환원시킬 때 백금입자(이온)의 이동이나 성장을 억제시켜 미립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혼합용매, 계면활성제, 초음파분산기 등을 이용한 경우, 염화 백금산이온이 anchorage center 역할을 하고 있는 작용기들에 까지 잘 스며들어감으로써 백금촉매의 분산성이 향상됨을 알았다. 혼합용매에 초음파분산기를 사용하여 공기산화시킨 카본블랙에 백금촉매를 담지시킨 결과, 분산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입자크기는 $30A^{\circ}$ 이하로 미립화 되었다.

  • PDF

향기성분 미세캡슐화를 위한 유화 및 분무건조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mulsification and Spray Drying Process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Flavor Compounds)

  • 조영희;신동석;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139
    • /
    • 2000
  • 본 연구는 분무건조를 이용한 미세캡슐화 기술을 이용하여 유화압력 및 분무건조에 있어서 송풍 온도와 분무 속도를 최적화하는데 목표를 갖고 수행되었다. 분석지표로 유화액의 유화안정성과 flavor release를, 분무건조 분말의 total oil, surface oil, flavor release, 흡습성을 측정하고, SEM에 의해 분말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Wall system을 이용하여 piston-type homogenizer의 압력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최적 유화압력은 20.7MPa이었다. 분무건조공정에 있어서 송풍 온도와 분무 속도를 독립변수로, total oil retention, surface oil content, flavor release를 종속변수로 반응 표면 분석법을 행한 결과 송풍 온도는 $170{\circ}C$, 분무 속도는 15,000rpm이 우수한 공정 조건임을 예측 할 수 있었다.

  • PDF

버섯류의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고효율 효소 선발 (Selection of High Efficient Enzyme for Protoplasts Isolation from Mushrooms)

  • 김종군;김진희;공원식;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24
    • /
    • 2010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세포벽 분해 효소 중 cellulase onozuka R-10(Yakult Honsha, Japan), yatalase(Takara), $Glucanex^R$ 200G(Novo Industry, Denmark)를 조합하여 Flammulina velutipes를 대상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발하고, 선발된 방법을 Pleurotus ostreatus, P. eryngii, Hypsizygus marmoreus에 적용하였다. F. velutipes의 포자, 셀로판지에 배양한 균사, homogenizer로 마쇄한 균사체를 대상으로 공시한 세포벽 분해효소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포자현탁액이나 셀로판지에 배양한 균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homogenizer로 마쇄한 균사체를 사용하는 것이 높은 수율로 원형질체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에 사용한 효소 중선발된 $Glucanex^R$ 200G와 cellulase onozuka R-10 효소의 혼합 처리에서 고효율의 원형질체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원형질체를 대상으로 재생률을 조사한 결과, 0.39~0.51% 범위의 재생률을 나타내었다

Water/Oil 에멀젼 연료가 배출가스에 미치는 영향 (It's effects for engine emission of water/oil emulsified fuel)

  • 김문찬;이창숙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159-1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water/oil 유화연료를 제조하여 제조된 연료의 점도, 밀도, 최적의 조사시간, 유화 안정성 등의 유화연료 특성 및 배기배출물 특성인 NOx, THC, CO의 농도와 smoke density를 측정하였다. 유화연료는 경유, 물, 유화제를 첨가한 후 homogenizer와 초음파 발생장치를 일정시간 조사하여 제조하였고, 배출가스 시험은 2476 cc diesel engine을 사용하여 engine dinamo meter로 실험하였다. 유화연료에서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함수율 60%까지는 W/O type이 형성되어 증가하다가 70%에서는 O/W type이 형성되어 감소하였다. 배출가스 시험결과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NOx 농도와 smoke density는 감소하고, THC와 CO 농도는 증가하였다. 출력감소 시험 결과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배출온도와 출력이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압축착화 디젤기관에 유화연료를 사용하는 것은 NOx와 smoke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되어진다.

LED배양조건에서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oculata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공정 최적화 (Optimized Processing Condition of Production of Nannochloropsis oculata under Light-emitting Diode (LED) Condition)

  • 이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54-759
    • /
    • 2017
  • 100 l scale 미세조류 배양 시스템은 LED 광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하였으며 Nannochloropsis oculata를 f/2 medium에서 광도($100{\mu}mol/m^2/s$), 배양온도($20^{\circ}C{\pm}1^{\circ}C$), LD cycle (12 hr)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LED blue (475 nm)에서 $100{\mu}mol/m^2/s$의 광도, 24 mg/l의 nitrate 농도에서 100 l 대량배양 결과 최대 biomass인 1.07 g/l를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미세조류에서 유용물질을 추출의 위한 추출방법을 확보하고 나아가 산물의 추출, 농축 및 건조공정 기술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추출은 물리적인 방법인 sonicator, homogenizer를 이용한 파쇄법과 화학적인 방법인 0.5M HCl 파쇄법을 이용한 결과 chlorophyll a, chlorophyll b, carotenoid 함량은 물리적인 파쇄법인 sonicator를 이용 시 1.6, 0.5, 0.3 mg/g cell, homogenizer 이용 시 1.0, 0.6, 0.2 mg/g cell로 측정되었다. 0.5M HCl의 화학적 파쇄법 이용 시 chlorophyll a, chlorophyll b 함량은 0.9, 0.8 mg/g cell으로 측정되었다. 파쇄시간당 추출되는 영양물질이 가장 높은 시간은 15 min 파쇄 시 3.6 mg/g cell로 측정되었으며 acetone, methanol, ethanol의 3가지 용매 중 acetone이 3.6 mg/g cell로 효과적이 용매로 측정되었다. 농축은 2종류의 연속원심분리장비(tubular type, disk type), 마이크로필터, 필터프레스 4종 장비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마이크로필터, disk type 연속원심분리기, Tubular type 연속원심분리기의 경우 16.0, 1.1, 0.5 g/l의 순으로 시간당 수율을 확인하였다. 건조공정 최적화를 위하여 열풍건조기, 진공건조기, 분무건조기, 동결건조기 등의 4종 시생산설비를 이용해 미세조류의 시간당 회수율 분무건조기는 Dextrin 0.5 kg이 첨가되면 회수율이 80%이지만 순도가 떨어졌고 동결건조기 회수율은 60%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