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Education

검색결과 3,255건 처리시간 0.024초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고교학점제 준비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Operation Cas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사례를 통해 가정과 교육공동체에서 고교학점제를 준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한 강원도 지역 H 고등학교의 운영 과정을 5개월간 모니터링 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운영 내용을 파악하였다. H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공동체의 준비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매력적이고 의미 있는 가정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업과 평가를 개선하고,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가정교과 영역의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정과 교사 공동체 및 관련 학회는 지역의 가정교과 연구회를 하나로 연결하는 공고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수업 연구 결과를 확산하는 채널로 삼을 필요가 있다. 가정교과 교원양성기관은 변화하는 교원양성정책에 발맞추어 예비교사가 현장에서 다교과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교육과정을 혁신하고, 현장교사 재교육을 위한 질 높은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한.일 여자고등학생의 가정과에 대한 관심과 학습요구의 실태조사 -가족과 보육을 중심으로- (Senior High School Students'Concerns about Home Economic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in Korea and Japan -In the areas of the Family and Child Care-)

  • 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32
    • /
    • 199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girl students’concerns about the family lif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nd their needs for learning in home economics classes in order to develop an advisable co-education curriculum. Th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96 first grade students in Seoul in 1993 and 765 first grade students in Tokyo and Kanagawa Prefectures in 1991.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1) students’interests in the area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2) students'concerns in their daily life 3) students’interests in a new curriculum for family life education:16 contents from human birth to death. 4) students’experience with their family, and 5) students’educational needs in Home Economics’teaching method. The result of our research showed that:1) Most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had strong interests in their life and life span. 2)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cerns between Korea and Japa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had strong concerns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heir “future job”, their “looks and figure”and their “hobby and amusement”, these had not bee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in Korea and Japan, but had been in U.S. 3) Very few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Japan and especially in Korea had contacts with their grandparents. 4)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showed strong interests in their near future stage, but they showed less interest in the stage of early childhood. 5)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showed their diverse needs for learning in home economics clas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education curriculum for family life education should meet adolescent needs and concerns, and our new curriculum, “from one’s birth to death/one’s life span”, would be more advisable.

  • PDF

가정교육과 교사교육의 TQM(Total Quality Management: 총체적 질 관리) 구성요소에 대한 재학생들의 평가 (Evaluation of TQM(Total Quality Manage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by Students)

  • 김성교;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9-200
    • /
    • 2008
  • 본 연구는 사범대 가정교육과 교사교육을 TQM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여 TQM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가정교육학의 미래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설문조사 대상은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3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사범대학 가정교육과를 방문(3개교)하거나 우편발송(10개교)하여 총 342부 가운데 302부(88.3%)를 회수하고 285부(83.3%)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온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사범대 가정교육과 교사교육을 TQM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여 TQM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가정교육학의 미래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설문조사 대상은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3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사범대학 가정교육과를 방문(3개교)하거나 우편발송(10개교)하여 총 342부 가운데 302부(88.3%)를 회수하고 285부(83.3%)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온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사교육을 통하여 습득하게 된 가정과교사의 전문적 자질 성취도를 보면, 가정교육에 대한 열정, 가정과교사로서의 긍지와 사명감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교과에 대한 미래비전 제시, 가정교과 관련 특별활동 지도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에 대한 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 만족도의 경우 평균 3.15로 나타났는데 본인의사로 입학한 경우와 재입학을 희망하는 경우, 성적이나 기타 사유로 입학한 경우와 재입학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보다 높았다. 가정과교사교육자의 리더쉽에 대해서는 거래적 리더쉽보다 변혁적 리더쉽을 취한다고 인식하였다. 재학만족도가 높고 재입학을 희망하는 재학생일수록 가정과교사교육자에 대한 리더쉽 인식 수준이 높았다. 가정교육과 재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평균 3.52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재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가정교육 전공교수가 재직하고 있는 대학의 재학생이 그렇지 않은 재학생보다 높았다. 가정과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개혁을 위한 일반적인 요구를 사정한 결과, 가정과교사 교육과정은 중등현장의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가장 개혁이 필요한 분야로 교수방법의 혁신을 들고 있었다. 교수법 가운데에서는 실험 실습수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점이수에 있어서는 교과내용학을 우선 충실 이수를 한 뒤 부족한 교과교육학은 현장에서 연수과정을 개설하여 보완하도록 요구하고 있었다. 대학의 가정과교사 교육과정 개발 주체는 현장의 가정과교사와 재학생이 되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가정과교육에 TQM을 어떻게 도입하여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공급자 중심에 서의 평가 연구, 내러티브 연구를 통한 질적연구의 활성화를 제언한다.

  • PDF

가정과교육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Cultu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
    • /
    • 2006
  • 이 연구는 인간 삶의 근본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에 목표를 둔 문화교육의 이론을 탐색하여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는 가정과교육의 가치를 재정립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즉 가정과교육이 인간다운 인간,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문화인을 키울 수 있는 교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문화교육 이론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제까지의 가정과교육은 과학화, 산업화된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효율성 위주로 교과내용을 편성하여 왔다. 그 결과 가정과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삶의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근본적인 능력 대신에 당면한 현실 문제의 처방을 전수하는 것에 치우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처방적인 교육은 사회가 변하면 그 지식의 가치가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가정과교육의 정체성 혼란을 야기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혼란은 가정과교육 내용이 삶 혹은 '문화' 그 자체임에도 불구하고 문화를 교육적 관점으로 접근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교육내용 자체에 문화를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문화인, 자유인을 키워내지 못한다는 한계는 다시금 교과 내용의 구성과 교육과정의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물론 교과 내용 속에 문화적 가치를 모두 담아낼 수 없지만 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지성인을 키워낼 최소한의 필수적인 내용을 어떻게 담아 낼 수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우선 이 연구에서는 문화교육을 개념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 본 후 문화교육의 관점에 입각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간략하게 제시해보았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화교육의 이론과 문화교육 방법을 토대로 가정과 교육을 문화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심도 있는 탐색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중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Consumer Life Area to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정유진;이경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517-530
    • /
    • 202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nsumer life area to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AI) literacy. To achieve this objective, a 10-session AI-consumer lif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literature on AI Literacy, AI curriculum, consumer education, and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 consumer life area. The program's validity was assessed by nine teachers using a four-point Likert scal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item an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ere calculated. Based on expert feedback, the program was revised and improved accordingly. The expert validity assessment of the lesson plans,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resources resulted in an average score of 3.78 for all items and an average CVI of 0.96. For the overall program, the expert validity assessment yielded an average score of 3.72 for all items and an average CVI of 0.97. Since the content validity index for all questions was above 0.78, the program demonstrated high validity across achievement standards integration, learning objectives,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motivation, and volume areas. This confirms its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AI lite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defining and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AI literacy, developing an AI-integrated program encompassing the entire consumer life area and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enhancing digital consumer competencies and promoting sustainable consumption.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potential to integrate AI into the home economics and consumer life area.

차기 교육과정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의 구조화 (Structuralization of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Subject Group) in Preparation for the Next Curriculum)

  • 유난숙;백민경;주수언;한주;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9-14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가정 관련 전공 개설 현황과 중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 요구되는 변화를 분야별로 살펴보고, 차기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편성할 수 있는 가정교과(군)의 선택과목을 구조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고, 가정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는 자연계열의 생활과학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등과 연관성이 높았다. 2019학년도 가정교과와 관련된 학과수는 전문대학교 1,405개, 4년제 대학교 961개였으며, 총 입학생수를 기준으로 가정교과 관련 학과 입학생수는 전문대학교는 약 12%, 4년제 대학교는 약 7.3%를 차지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을 개설할 기반이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서는 분야별로 달라진 식·의·주·가족·소비생활 패턴과 삶의 가치관에 따라 문화, 관계, 자립, 지속가능성 등의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단순 지식적인 측면의 내용은 줄이고, 깊이 있고 고차원적인 사고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정교과 내용이 구성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요구는 가정교과(군)의 선택과목을 다양화, 전문화하여 구조화함으로써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등학교 가정교과(군) 선택과목을 아동·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가정관리, 가정교과 통합분야에서 총 18개의 선택과목명과 과목 개요를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가정과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고등학생들에게 가정교과(군)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다.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Using Brain-Based Education Principles in Home Economics)

  • 이은진;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3-172
    • /
    • 2021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DDE(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의 절차에 따라 공감 및 뇌과학에 관련된 문헌 분석과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3종을 분석하여 중학생 대상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을 위한 뇌기반 교육원리는 '모방을 통한 이해', '상상을 통한 추론', '경험을 통한 상호작용', '실천을 통한 내면화'라는 네 가지로 도출된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공감은 가정과의 교과역량인 관계형성능력을 기르는 요소로서 '자신', '타인', '공동체'에서의 관계 차원에서 공감 관련 내용요소들이 다루어졌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도 평가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항목의 타당도 평균이 4.88, 타당도 지수(CVI)는 0.98로 프로그램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 가정과교육에서는 뇌과학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인데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을 '뇌과학'과 접목하여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매체 활용 및 관련 변인 (A Study on the Use and Related Variables of Instructional Media by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용숙;이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7-8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use and related variables of instructional media by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o provide the foundations for the use and developments of instructional media by some teachers in Home Economics educational fields.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collected by stamps from Sep. 10 to Sep. 30, 1999, and 138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chi$(sup)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Schools in city areas, public schools, and boy’s schools allocated more budget to instructional media for creative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got instructional media information from colleagues, catalogues from media company, and advertisement or columns of journals or newspapers. 2. More younger teachers with short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active members in related academic associations owned more instructional media and had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instructional media. 3. Most teachers showed dissatisfaction to the prices, purchasing processes, information, quality, and assortments of instructional media.

  • PDF

가정학에서의 인구교육내용 연구 - 가족관계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s of Populatio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 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7-96
    • /
    • 1982
  • For the solution of population problem, a population education is urgently need since family member size(that is population size) will be on the decrease fro the reason of changes in family consciousness by population education. The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terdisciplinary, but, above all, home economics is more suitable to the populatio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issues are the contents of population education in relation to family relations of home economics. Those contents are as follows: 1. A change in family consciousness through the value of child 1) Conventional value of child 2) Criticism about conventional value of child 3) Current value of child 4) Desirable number of children 2. A change in family consciousness through the preparation for one's declining years 1) Analysis of periodic family life cycle by number of children 2) Desirable number of children 3. A change in family consciousness through the parental responsibility 1) Mental responsibility 2) Physical responsibility 3) Economics responsibility 4. A change in family consciousnes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1) Conventional relationship 2) Current relationship 3) Desirable relationship 5. A change in family consciousnes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1) Conventional relationship 2) Current relationship 3) Effects of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of husband and wife By the above contents of popul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family relations of home economics parents will have their deliberate plans and aims.

  • PDF

가정교과 학습을 통한 남중생의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신현자;김기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Home Economics learning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boy’s home life and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students’opinion of Home Economic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Cheong-ju area using questionaire. The subjects were 487 boys who studied Home Economics (HE group)and 480 boys who studied Technique (T group) in middle school.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and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 home lif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life; In urban area, the interests in bealth and the role of the consum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rural areas-on the bases of the standard of life, the middle class students had a higher interest in nutrition and food habits, the students whose father were engaged in special job had a higher interest in health and nutrition. 2. The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between HE & groups; In the field of food life, HE’s knowledge about the six nutrients and the basic food groups and attitude toward buying food were higher than T’s. In the field of family life and resources, HE and T accepted the importance of family life and the role of home as important, hoped to get psychological relax from home and to take the right sexual education. In the field of clothes life, HE and T had the general tendency to have their clothes in proper manner and to select their clothes for themselves, but HE took a higher interest in clothes mending and the role of clothes. 3. The opinions on Home Economics; HE answered that Home Economics was useful to them (more than 90% of HE) and that 57.1% of HE were interested in Home Economics. The order of interest among three fields were as follows: food life, clothes life, family life and resources. 71.9% of T hoped to take Home Economics cour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