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low type ba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부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Bond Characteristics of Deformed Bar Embedded in Donut Type Biaxial Hollow Slab)

  • 정주홍;강성훈;이승창;최창식;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55-163
    • /
    • 2013
  • 이 연구는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에 매입된 이형철근의 부착특성 및 부착강도 산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철근 부착특성 및 부착강도 산정을 위해 pull-out test를 수행하였다. 도넛형 중공형성체는 슬래브 내부에 배치되어 철근과 중공형성체 사이에 내부의 피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피복두께는 외부피복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피복두께를 가지며 중공형상에 따라 $2.5d_b$보다 작은 내부피복두께가 형성되기 때문에 철근의 부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중공형성체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장철근을 감싸고 있는 피복두께의 조건이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부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공형성체 형상에 따라 부착구간을 구분하였다. 구간별로 내부피복두께에 따른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중공형성체 전 구간에 걸친 부착응력분포를 확인하여 철근의 길이방향에 따른 부착응력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간별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도넛형 중공슬래브의 부착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부착강도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브레이드 투루젼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섬유강화 복합재료 리바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Fiber Reinforced Plastics Rebar for Concrete Structure by the Braidtrusion Process)

  • 최명선;한길영;이동기;심재기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9-205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methodology, manufacturing process, rebar tensile and bending properties. Braidtrusion is a direct Composite fabrication technique utilizing an in-line braiding and pultrusion process. The produced Composite rebar exhibits ductile stress-strain behavior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steel bar. Various rebar diameters ranging from modeling scale(3m) to full-scale prototype of 9.5mm have been produced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GFRP) rebar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t $\phi$8.5mm and $\phi$9.5mm nominal diameters of soild and hollow type using a braidtrusion process. Tensile and bending specimen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behavior of stress-strain of GFRP rebar and steel bar.

  • PDF

중공형 GFRP리바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Ho1low Typ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Re-bar)

  • 한길영;이동기;오환교;홍석주;신용욱;배시연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1
    • /
    • 2000
  • In this paper was studied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GFRP) of the steel bar it is to replace. The advantage of FRP such as high strength, low weight and chemical inertness or noncorrosiveness can be fully exploited. GFRP bar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at l0mm nominal diameters of solid and hollow types using a pultrusion method. Tensile and bending specimens from this bar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behavior of GFRP rebar and steel bar.

  • PDF

인장웨브재 형태에 따른 각형강관 갭K형 접합부의 거동 비교 (Comparison on the Behavior according to Shapes of Tension Web member in gap K-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 정상민;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통권78호
    • /
    • pp.561-568
    • /
    • 2005
  • 본 논문의 목적은 트러스 인장웨브재의 형상이 정방형 각형강관인 기존 연구(강관웨브형)와 고장력 강봉을 인장웨브재로 사용하기 위해 연결플레이트를 가지는(강봉웨브형) 냉간성형 각형강관 갭 K형 접합부의 거동 비교를 통하여 고장력 강봉 사용의 적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주관폭두께비가 33.3으로 동일한 강관웨브형 실험체 4개와 강봉웨브형 실험체 8개의 최대내력, 파괴모드, 초기강성, 연성율 등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접합부의 내력은 강관웨브형에서는 압축지관의 선행파괴로 결정되었으며, 강봉웨브형에서는 인장측의 선행파괴로 결정되었다. 무차원화 내력은 동일 폭비에서 강관웨브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폭비 증가에 따른 내력증가현상도 강관웨브형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강봉웨브형은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인장과 압축폭비로 나누어 살펴보면 인장폭비 증가에 따라서는 선형적인 증가현상이 나타남을 알았다. 파괴모드는 강관웨브형의 경우에는 압축지관의 미소 국부좌굴과 인장웨브와 주관 접합면의 소성파괴가 나타났고, 강봉웨브형의 경우는 주관플랜지면 소성변형 후 연결플레이트 용접부위의 파단이 나타났다. 따라서, 강봉웨브형에서 연결 플레이트를 갖는 갭K형 접합부의 경우에는 강관웨브형에 비해 주관의 폭두께비를 낮게 할 필요가 있으며, 폭비도 인장지관과 압축지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수축 모르타르 충진형 슬리브 개발 (Development of Non-Shrink Mortar Grouting Type Splice Sleeve)

  • 이영호;송재준;조재영;김도학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7-7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 단축과 초기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 PC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고, 슬리브와 일반 철근만으로 구성된 경제적이면서 시공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교각 공법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형식 철근이음 장치인 그라우팅형(形) 슬리브(Splice sleeve, 이하 슬리브)를 제안하고 최적의 슬리브를 개발하기 위하여 슬리브 길이, 철근직경, 양생방법 등을 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 및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리브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최적의 형상을 도출하였으며, 인장 성능 검토 결과, 철근의 인발에 의한 파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철근의 인장 파괴 혹은 슬리브의 기계적 결함에 의한 볼트 파단만이 관찰되었다. 제안된 슬리브는 우수한 인장성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프리캐스트 교각에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메탄의 완전산화 반응을 위한 중공사형 페롭스카이트 촉매 제조 (Preparation of the Hollow Fiber Type Perovskite Catalyst for Methane Complete Oxidation)

  • 이성운;김은주;이홍주;박정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97-302
    • /
    • 2018
  • 선행 연구를 통해서 우수한 메탄 완전 산화 특성을 보인 $La_{0.1}Sr_{0.9}Co_{0.2}Fe_{0.8}O_{3-{\delta}}$ (LSCF1928) 페롭스카이트 분말 촉매로 비드형과 중공사형 촉매를 제조하였다. 중공사형 촉매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태이며, 상전이법을 통해 기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비표면적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Methyl Cellulose (MC)를 넣어 제조한 비드형 촉매의 경우 MC에서 배출되는 $CO_2$와 촉매 성분인 Sr이 반응하여 원래 촉매 조성이었던 LSCF1928 조성 외에 $SrCO_3$가 생성되었다. 중공사형 촉매의 경우 불순물 없이 단일상의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얻었다. $700{\sim}900^{\circ}C$에서 하소한 중공사형 촉매는 손가락구조-스펀지구조-손가락구조의 기공 형태를 보였으며, 모두 $475^{\circ}C$에서 메탄의 완전 산화 반응을 통해 99.9% 산소 전화율을 달성하였다. 중공사형 촉매의 기공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 갭과 방사압력 조건을 변경하였다. 2 cm 에어 갭, 7 bar의 방사 압력으로 제조한 중공사형 촉매가 가장 우수한 촉매 성능을 보였으며, $425^{\circ}C$, $450^{\circ}C$$475^{\circ}C$에서 각각 70.65%, 93.01%, 99.99% 이상의 산소 전화율을 달성하였다.

중공 회전체형 감쇠기의 흡진작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Damping Characteristics of a Hollow Rotor Type Absorber)

  • 김원철;양보석;문덕홍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24-29
    • /
    • 1992
  • This paper describes a technique to suppress vibrations of structure under excitation by attaching the hollow rotor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liquid, number of fins and their widths on absorbing vibration i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ffect on suppressing vibration at filling ratio, H over bar = 0.54 is greatest. 2. The viscosity of liquid hardly influence on suppressing vibration. 3. The rotor fitted with two pins having width of pin =(D-$D_f$)/4 is effective generally. 4. The vibration damping effect of the axial fins is greater than that of radial fins.

  • PDF

마이크로 중공구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 코팅 박막의 단열 특성 (Thermal Insulation Property of UV Cure Coatings Using Hollow Micro-Spheres)

  • 김남이;장영욱;김성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21-6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기공의 중공구를 유기 고분자 수지와 복합화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제조하여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는 코팅유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기 고분자 물질로는 투명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6관능기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P118), 3관능기의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2관능기의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광 개시제(Irgacure184) 등으로 구성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였다. 유리 및 실리카 중공구를 고분자 수지에 각각 10~40 vol%까지 첨가하여 얻어진 코팅 졸을 투명유리에 바(bar)코팅 방식으로 박막을 형성시킨 후 자외선 경화를 통해 최종 코팅유리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중공구의 종류 및 함량이 제조된 코팅유리의 광 투과율, 열전도도, 접착성 및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복합물 코팅유리는 중공구가 과량 첨가되어도 우수한 접착성(5B)을 유지하였으며, 단열 성능은 각 중공구가 20 vol%만 함유되어도 뚜렷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실리카 중공구(SP)를 단열 재료로 사용하였을 경우 광 투과율 80 %의 투명 코팅유리를 얻을 수 있었다.

무수축 모르타르 충진형 슬리브를 사용한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개발 (Development of Precast Hollow Concrete Columns with Non-Shrink Mortar Grouting Type Splice Sleeve)

  • 조재영;이영호;김도학;박종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A호
    • /
    • pp.215-225
    • /
    • 2011
  •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교각은 공장에서 모든 제품을 생산하여 품질의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어 중공 형태로 블록을 제작할 수 있어 사하중 절감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교각 공법은 미국 일본 등에서 이미 실용화하여 적용되고 있는 공법으로 주로 PC 긴장재를 사용한 블록간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PC 긴장재를 사용하게 되면 과다한 초기 공사비가 소요되어 비경제적 시공이 불가피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 단축과 초기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 PC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고, 슬리브와 일반 철근만으로 구성된 경제적이면서 시공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교각 공법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형식 철근이음 장치인 그라우팅형(形) 슬리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각 단면에 대하여 중공율, 주철근 직경, 단면 크기 등을 변수로 총 5개의 축소모형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스케일 효과가 배제된 상태에서의 현장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최종적으로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형모형실험을 통해 교각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복합하중을 받는 복합소재 중공 토크바 설계 (Development of composite torsion shaft for the aircraft structure under multiple load condition)

  • 정종재;김승철;김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84-4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기 메커니즘 구조물에 사용되는 금속 소재 토크바를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무게절감이 가능한 구조물을 개발 하는것에 있다. 토크바에 주어진 하중조건 및 구조물의 설계 경계조건에 부합하는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복합소재의 적층 조건 및 토크바의 두께 요건을 설정하였다. 설계요건에 맞게 제작된 시제품을 이용하여 복합소재 토크바의 비틀림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동구조 시험을 통해서 토크바의 강도 및 강성 요구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