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engseong Yakda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4계통 재래종 닭고기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규철;이성기;김혜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9-128
    • /
    • 2016
  • 본 연구는 4종의 재래닭인 연산오계,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의 무기성분, 비타민, 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백색 레그혼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닭은 품종별 3수씩 총 15수를 동일한 조건에서 53주간 사육하여 도계한 후 화학적 성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래닭의 Fe과 K 함량 특히 황봉 가슴육, 현인흑계 및 횡성약닭의 다리육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고, Na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낮았다(p<0.05). 비타민 A 함량은 다리육에서 백색레그혼과 현인흑계가 높았고, 비타민 $B_1$은 횡성약닭이 낮았으며, 비타민 $B_3$는 가슴육의 경우는 4종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고, 다리육은 횡성약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다. 4종류의 재래닭 가슴육 총 아미노산 함량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재래닭 4종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p<0.05), 다리육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좋은 맛을 내는 아미노산 합계에 대한 좋지 않은 맛을 내는 아미노산 합계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다리육의 비율이 가슴육에 비하여 모든 품종에서 높았다. 가슴육은 횡성약닭이 가장 높았고, 다리육은 현인흑계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높았지만, 연산오계, 횡성약닭 및 황봉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낮았다. IMP 함량은 현인흑계와 백색레그혼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MP 함량은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에서 백색레그혼과 현인흑계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GMP 함량은 황봉과 횡성약닭의 가슴육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고, 다리육의 경우는 백색레그혼, 황봉과 횡성약닭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4종류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무기질, 비타민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이 우수하였고, 닭고기의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도 품종별 차이는 있었지만,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재래닭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4계통 재래종 닭고기의 화학적 특성 및 면역활성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Immune-enhancing Activity of the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규철;임강현;김명규;김혜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5-142
    • /
    • 2016
  • 본 연구는 4종의 재래닭인 연산오계,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의 일반성분, 카르노신, 안세린 함량 및 면역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백색 레그혼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닭을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13주간 사육하여 도계한 후 화학적 성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에서는 4종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조지방 함량이 높았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현인흑계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고 횡성약닭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면역증진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재래닭 4종의 가슴육에서만 대식세포 증식 및 NO 억제 효능이 있었다. 대식세포 탐식작용은 현인흑계와 횡성약닭가슴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IL-4, IL-10, $IFN-{\gamma}$) 유전자 발현은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4종의 재래닭에서 억제효과가 컸다. 결론적으로 4종류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하여 면역증진 효능이 높았으며, 특히 가슴육에서 효능이 있었다. 재래닭 품종 간에도 일반성분 및 면역조절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계통 재래종 닭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at in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이승규;;백기호;박영현;한재용;이성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5-345
    • /
    • 2015
  • 본 연구는 4종의 재래닭인 연산오계, 현인흑계, 횡성약닭, 황봉의 육량과 육질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대조구로 백색 레그혼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닭을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56주간 사육하여 도계한 후 48시간에 이화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4종의 재래닭은 모두 부위와 상관없이 백색레그혼에 비해 전단력이 높았다. 또한 4종류의 재래닭의 가슴육은 백색레그혼보다 n6/n3 지방산 비율과 보수력이 낮고 가열감량이 높았다(p<0.05). 생체중과 도체중은 황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맛과 관련이 있는 올레산 함량은 횡성약닭의 가슴육이 39.6%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n6/n3 비율도 횡성약닭의 가슴육이 8.93, 다리육이 12.57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연산오계는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에서 지방함량이 높았고, 품종 특성 때문에 $L^*$, $a^*$, $b^*$가 낮아 어두운 경향을 보였다(p<0.05). 조직감을 보면 황봉의 가슴육과 다리육에서 전단력,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높았다(p<0.05).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향기는 황봉의 가슴육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종합기호도에서 황봉과 횡성약닭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4종류의 재래닭이 백색레그혼에 비해 공통적으로 조직이 단단하고 보수력이 낮은 특징을 보였고, 재래종간에도 조직감, 지방산 조성(n6/n3 비율), 육색, 관능검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Free Iron Content and Lipid Oxidation in Four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Meat

  • Utama, Dicky Tri;Lee, Seung Gyu;Baek, Ki Ho;Kim, Hye-Kyung;Cho, Chang-Yeon;Lee, Cheol-Koo;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4-5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association betwee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free iron content and lipid oxid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ur lines of KNC (Yeonsan ogye, Hyunin black, Hoengseong yakdak and Hwangbong) were raised under similar conditions. A total of 16 roosters were randomly sampled and slaughtered at the age of 12 mon. The breast and thigh meats were stored aerobically for 10 d at 4℃. Although thigh meat had higher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t was more susceptible to lipid oxidation and released more iron during storage than breast meat. Aerobic refrigerated storage for 10 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and increased the amount of free iron and malondialdehyde.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pid oxidation, whereas that of catalase was not. The amount of free ir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pid oxidation. We concluded that chicken line did not affect strongly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lipid oxidation in breast meat of KNC. However, the thigh meat of Hwangbong and Hyunin black had higher SOD and GSH-Px activity, respectively, and lower malondialdehyde contents than that of other chickens. SOD, GSH-Px and free iron play significant roles in meat lipid oxidatio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orphological defects of sperm and their association with motility, fertility, and hatchability in four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 Feyisa, Shiferaw Garoma;Park, Young Hyun;Kim, Young Min;Lee, Bo Ram;Jung, Kyung Min;Choi, Seong Bok;Cho, Chang Yeon;Han, Jae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160-116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morphological defects, viability, motility (MOT), fertility (F), and hatchability (H) in four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KNCBs), and to evaluate whether defective segments of spermatozoa are associated with MOT, F, and H. Methods: Four KNCBs, including Korean Ogye (KO), Hwangbong (HB), Hyunin Black (HH), and Hoengseong Yakdak (HY) were used. White Leghorn (WL) was used as a control. Nine cocks from each bree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Semen was collected by abdominal massage method. Eosin-nigrosin staining method was used to identify live-dead spermatozoa. Different segments and specific morphological defects of spermatozoa were identified using 4', 6-diamidino-2-phenylidole and MitoTracker Red CMXRos. F and H rates were evaluated following artificial insemination (AI). Results: KO had the highest MOT rate compared to HY. Viable normal sperm rates of KO and HH were high and comparable with WL. HY spermatozoa had the highest viable abnormal sperm (VAS) or morphological defect rate followed by HB. Likewise, HB spermatozoa had the highest dead sperm (dead) rate compared to KO, HY, and WL. Bent, coiled, detached, broken, and knotted were common identified specific morphological defects for all breeds. Most morphological defects were at the head and tail in all breeds. VAS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 (r = -0.697) and F (r = -0.609). Similarly, defective tai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 (r = -0.587), F (r = -0.797), and H (r = -0.448). The F and H rates of KO and WL were comparable.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most identified specific morphological defects are at the head and tail. VAS and defective tail were associated with poor motility, F, and H. KNCBs showed more morphological defects than WL. Finally, these results will facilitate successful AI and semen cryopre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