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document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18초

Digitalization System of Historical Hanja Documents using Mahalanobis Distance-based Rejection

  • Kim, Min-Soo;Kim, Jin-Hy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2호
    • /
    • pp.313-325
    • /
    • 2005
  • In Korea, there exists a large corpus of handwritten historical documents that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Most of them are hand-written by the King's chroniclers and secretaries. Recently, the historical archives of Lee dynasty have been digitalized. Sinc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utilize conventional OCR system, most of the processes have been performed manu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OCR-based digitalization system using Mahalanobis distance-based rejection and interface for eye inspection about historical Hanja documents. Compared with our previous work,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help enhanc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process.

  • PDF

문헌자료와 유물의 과학적 조사를 통한 신여주렴(神輿朱簾)의 연구 (Study on Shinyeojuryeom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and Scientific Analysis)

  • 김선영
    • 복식
    • /
    • 제62권8호
    • /
    • pp.19-27
    • /
    • 2012
  • Shinyeojuryeom is a set of bamboo blinds[Juryeom] enclosing the Korean litter for transporting a mortuary tablet of royal family[Shinyeo] in Joseon dynasty. The blinds were made up of twigs laid horizontally which were joined together by vertical threading, then they were lined and backed with silk fabric. A number of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Gukjosangryebopyeon(1758), JeongjoGukjangdogameuigwe(1800) and Gukjangdogam- myeongseseo(1905) provide information on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litter and blinds. How- ever, detailed dimensions or specific ingredients of some of the materials were not clearly explained. In order to complement these missing or unclear parts, a close examin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litter's material was undertaken. The result newly identified materials of the gold tip tassels and pigments used on twigs as well as partly confirmed information on historical records. This new information will help further understanding and future production of a replica.

고전 문서의 효과적인 검색 결과 하이라이팅 (Effective Highlighting Retrieval Results of Historical Documents)

  • 정창후;최윤수;김광영;서정현;윤화묵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3-54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고전 문서가 XML 형태로 전산화된 이후에, 의미적 특징을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고 검색 결과를 효과적으로 하이라이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히, 고전 문서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하이라이팅 문자열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XML 문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하이라이팅 태그 삽입 시에 다양한 처리를 수행하였다.

  • PDF

다산의 『서경(書經)』인식 (Dasan Cheong Yagyong's perspectives on The Shoo King(『書經』))

  • 임헌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297-324
    • /
    • 2015
  •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경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서경" 인식을 고찰,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산의 과제는 요순(堯舜)-주공(周公)-공자지도(孔子之道)라고 하는 본원유학의 원형과 정신을 복명(復命)하고, 그를 통해 질곡된 현실을 극복하는 데에 있었고, 그의 "서경"에 대한 관심과 해석 역시 여기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육서오경에 대한 방대한 식견과 청나라의 고증학적 경향, 심지어 일본의 유학연구에도 정통했던 다산은 "서경"에 대한 단순한 의문제기를 넘어, 체계 전반을 문제로 삼았다. 그래서 그는 후대 위작으로 간주된 고문(古文)의 유출경위를 증명하고, 방대한 자료를 검토하여 원 자료의 수집과 채록을 통해 "서경"의 본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했다. 이 글은 다산의 이러한 시도에서 드러난 "서경"에 대한 인식과 그 특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서경"이란 어떤 책이며, 왜 다른 어떤 경전보다 유독 판본과 진위 문제가 항상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다산의 "서경" 연구과정을 서술하고, 거기서 나타난 다산의 관점과 특징을 대표작인 "매씨서평" 및 그 뒤의 저술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다산은 "서경"을 정치의 표준이 제시되어 있는 옛 성인의 정사를 알려주는 역사책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표준을 제대로 알아 소통하기만 하면 곧바로 현실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그는 "서경"을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자구에 대한 훈고(訓?)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자구에 대한 훈고를 이루려 하면 우선 경문(經文)이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서경"은 잔결(殘缺)이 가장 많은 경전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는 당시 통행되고 있던 "상서" 중에서 후대에 위조된 부분을 변별한 다음, 그 본 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한다. 다산이 회복하려고 했던 원형 "상서"란 공자가 직접 산정하고 서(序)를 썼다고 말한 100편("우서(虞書)" 20편, "하서(夏書)" 40편, "주서(周書)" 40편)이었다. 그러나 그는 공자가 편집했던 "상서" 100편의 원형회복이란 진본이 망실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그는 우선 방대한 문헌적 지식을 원용하여 한대 이전의 경전 가운데 신뢰할 수 있는 것을 채록 배열한 다음 여러 학설을 모으고("상서고훈수략(尙書古訓蒐略)"), 수집된 고훈들의 동이(同異)를 대비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합본한다("상서고훈(尙書古訓)") 다산은 이런 시도의 목표는 "상서"를 해석하기 보다는 옛 원형을 보존하여(존고(存古)), "상서"의 본래 모습 혹은 대체(大體)을 알게 해 주는 단서를 제시하려는 것이었다.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의 분류와 평가 (Archival Appraisal and Classification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on Related to Urban District Planning)

  • 이송순
    • 기록학연구
    • /
    • 제14호
    • /
    • pp.53-89
    • /
    • 2006
  • 현존 총독부 공문서는 이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영구보존문서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 문서의 실태는 부분적이고 불균등하여 기록(archives)으로서의 가치평가와 활용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고에서 살펴본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 역시 이를 통해 일제 시기 진행된 시가지계획의 모든 상을 도큐멘테이션하는 데는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 이에 이러한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에 대해서는 당대의 정책 제도 변화에 대한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이를 수행한 조직의 핵심기능을 종합하여 거시 평가의 틀을 만들어, 여기에 현존 문서를 배치하는 도큐멘테이션 과정, 이 과정에서 가치가 높은 기능과 관련된 기록이 소수라는 점, 즉 기록의 재현성이 불완전한 것을 보충하기 위한 다른 역사적 자료의 적극적 이용과 적극적인 기록수집 방안을 함께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일제시기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 중에서도 시가지계획관련 문서라는 하나의 문서군(series)에 대한 기록 평가를 시도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총독부 공문서 전반에 대한 평가 방법을 도출하기는 한계가 있으나, 시가지계획이라는 총독부 식민정책의 집행과정에서 생산된 문서의 맥락을 이해하여 기록의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문서 활용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총독부 공문서와 같이 이미 영구보존기록으로 결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처분을 위한 평가로서의 기능은 갖지 못한다. 이에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향후 기록의 접근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DB화나 정보콘텐츠화와 연계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 기록 문서에서 효율적인 유사도 및 클러스터링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imilarity and clustering measure in Historical Writing Document)

  • 한광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4-101
    • /
    • 2002
  • Web상에 있는 문서들이 다양하고, 복잡 그리고 대형화함에 따라 문서의 표현과 전달체계에서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문서(Annal of The chosun Dynasty)는 역사적 사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문서이고, CD-ROM으로도 출판되었다. 그러나 문서의 접근 방법에 대해 검색의 단순성 그리고 내용 기반(content-based)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문서의 구성요소들 간의 사건연관 (event-relationship)를 엮어주는 데는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 문서들간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유사성 및 클러스터링 방법을 실험하여 문서들간의 사건연관을 찾아내도록 연구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조선왕조실록 문서들간의 유사도 방법들을 시뮬레이션하여 역사적 기록문서에 가장 적합한 유사도 방법을 찾아내고, 유사도 확률에 따라 그 문서들을 클러스터링 하였다. 평가결과 클러스터링을 한 문서들을 실제 확인해본 결과 사실과 거의 같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PDF

17-18세기 서양 남자바지 패턴변화 (Evolution for Construction of Trousers in the Western World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 김양희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68-84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e of trousers worn by males in the western world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volution in construction. it mainly examined engravings from these era because they provided me fine and detailed portrayals of what it needed to observe. Then, it classified them into models according to each era. it supplemented a flaw of depending on single type of studying material by examining other types of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paintings and documents for comparative analysis of materials and decorations and previous studies on preserved historical documents to observe the examples of structures of trousers. Secondly, it studied both historical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on the trousers patterns used back in those day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signing method by actually draping these patterns, and observed the differences in these completed patter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fashion design skill. As for the changes in length, these patterns show only a slight difference around above and below the knee line. However, the widths of waist, hip, girth and hem were significantly altered over the years to reduce wrinkles and the cutting lines became more refined to make the clothes fit to the body. As a result, a simple but fine patterning technique was born. In particular, new methods in cutting and sewing were invented for detailed parts such as waist, pocket, front and slit.

사부주제의 DDC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n.0, pplication to DDC of historical documents division)

  • 현영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39-157
    • /
    • 1994
  • This paper is intended to help librarians to classify the traditional oriental material of the dissertation concerned with that, to serve researched user that literatures which have been field among various traditional bibliographies. S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overviewed the methods of classification in the DDC that to promote current classification and to use flurishing of historical documents division.

  • PDF

Analysis of Historical Documents from a Viewpoint of Paper Science

  • Han, Yoon-Hee;Enomae, Toshiharu;Isogal, Akira;Yamamoto, Hirofumi;Hotate, Michihisa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1
    • /
    • pp.147-152
    • /
    • 2006
  • Restor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arts has become important to inherit cultural properties. Most of historical documents were recorded on paper. Therefore, restoration of ancient papers is demanded and techniques for this purpose must be developed and sophisticated. In our study, several nondestructive methods for analyzing ancient paper have been developed. Image analysis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with suitable modifications was applied to optical micrographs of traditionally-handmade Korean and Japanese papers. This analysis determines the angle and anisotropy of fiber orientation of paper surfaces. Fiber orientation of traditionally-handmade Korean and Japanese papers was found to show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of a papermaking screen made of bamboo splints. Consequently, the information on fiber orientation was found to be possible to distinguish the flow-sheet forming typical of Japanese paper and still-sheet forming typical of Korean paper. Moreover, the anisotropy was always higher for the screen side than for the top side, thus meaning that surface fiber orientation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two sides of paper of which papermaking history is unknown. An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to actual historical documents evidenced that wrapping papers were used as envelops with a lateral side up, namely, after rotating 90 degrees. A variety of cultural habits in writing letters was revealed by discrimination of the two sides.

  • PDF

근대개혁기 창원지역과 공문서 (Changwon Area and Official Documents during the Modern Reform Period)

  • 최규명
    • 기록학연구
    • /
    • 제78호
    • /
    • pp.285-336
    • /
    • 2023
  • 이 연구는 근대개혁기에 제정된 공문서 제도와 지방관청에서 생산한 공문서를 분석하여 당시 지방관청에서 이루어진 공문서 관리 실상을 들여다보고, 그 특징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대개혁기에 존재했던 지방관청 중에서 근대관청으로서 기능을 하고, 그 관청에서 생산된 공문서가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는 창원감리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창원감리서가 설치된 창원지역의 역사를 개괄하였다. 지난한 역사에서 창원의 마산포가 개항되고 감리서가 설치된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창원감리서의 기능을 법적 관점에서 분류하고 그 업무활동에서 생산된 공문서의 주요 내용과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 제정된 공문서 제도와 생산된 공문서의 형식을 비교 분석하여 근대개혁기 지방관청에서 생산한 공문서와 지방관청에 관한 공문서 제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