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 Divis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53초

역사지역에서 도시저층집합주택의 건축요소별 이미지 비교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Envelope Component for the Multifamily Housing in the Historical Urban Context)

  • 김병진;손승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9-124
    • /
    • 2008
  • In Korea, most of the historic city became a deteriorated area with low-rise settlement. It is revaluated as a s great potential in spite of slum clearance and redevelopment for a long while after 1970s. A great achievement for low rise multi family housing, in spite of these social change,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and social commonness. In the view points, this article deals a ideal model in historic areas, and the model should be get the understanding from the people, because acceptance from people is the beginning for making historic housing areas. The facade model for evaluation prepared as three types, and responses for the models processed by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

  • PDF

프랑스 일드 프랑스 지역 내 교육시설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olution Historic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region Ile-de-France - Study Focus on the High School Facilities -)

  • 염대봉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3권1호
    • /
    • pp.35-45
    • /
    • 2003
  • This study purpose is the consideration of the processing evolution historic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20s century at the grand view in the region Ile-de-France. Specially, by thepart of Educational Politic, Urban Geographic and the Urban Planning. This study purpose is to take a data base and study direction on 'A study of the role educational facility in the urban development'. So I was arrived these conclusions, First, the educational politic of the france was aimed for the democratization of the education and the popularization. After execution of the decentralization in the 1986, high school facilities was more popularized. Second, in the view point of the urban geographic, before 1975 years, high school facilities in the region ile-de-france was unbalanced in the situation regional and in the division social on the urban space. But after law of the Decentralization(1986) in the France, by effort of the regional conseil has take the regional balance. Third, high school facility has a potential force as a center of the development of the city. Forth, the facility has a possibility potential for a working of the important role in the urbanization. specially, the movement of population, the augment prix of the terrain, appartement and the division social in the urban space. as element that important relation with a development of the city.

  • PDF

일제가 심은 전나무와 우리가 항일 사적지에 심은 전나무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Abies holophylla Planted by Japan and Korea in Temple, Public Sites and the Historic Sites for Anti-Japan Fighter)

  • 박찬우;정미애;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87-99
    • /
    • 2017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일제가 수호신으로 전나무를 심었다는 가설의 증명에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우리가 항일인사 사적지에 심은 전나무에 대한 문제제기에 있다. 일제는 신공왕후의 삼한출병을 보살펴 주었다는 스와신사의 신을 현신시키기 위해 전나무를 심었다. 통영 충렬사, 양주 권율장군 묘소, 경주문화원에서 일제가 심은 전나무의 실체를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기 사찰과 공공장소의 전나무 사진, 전나무 양묘회사, 총독의 식수목, 판결문에 있는 전나무 훼손 사건 등의 사실을 근거로 전나무가 일제의 수호신으로 심어졌다는 가설을 입증코자 하였다. 금후 관련 분야의 공동연구에 의해 일제의 전나무 식재 의도를 더 명확히 밝혀야 한다. 항일인사 사적지의 전나무에 대해 논의하여야 한다. 노거수가 되면 칭송되고 경외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20세기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 (II) (Historic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20th century (II))

  • 선은미;장계선;손현덕;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0-252
    • /
    • 2019
  • 20세기초 한반도에서 채집된 고표본들은 한국전쟁 동안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일본 도쿄대학교 표본관(TI)에 소장된 한반도 고표본들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북한 식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현 상황에서 TI의 한국산 고표본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TI 수장고에서 최근 확인된 미동정 상태의 한반도 고표본을 동정하여 목록을 작성했으며, 중복채집품(duplicate)을 확보했다. 곤충학자인 Ikuma Yoichiro는 1913년 8월 1일부터 23일까지 청진에서 백두산을 거쳐 혜산진에 이르는 일정 동안 60과 177속 240종류의 식물을 채집했다.

김해(金海) 대성동(大成洞) 환호유적(環濠遺蹟) 연구(硏究) (A study on enclosure in Daesoeng-dong Site, Kimhae)

  • 정의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5권
    • /
    • pp.28-56
    • /
    • 2002
  • There is no definite theory, which archeologists have believed to be built either for the protection or ceremonial purpose, of enclosure historical site exhibited from Bronze Age to Samhan era in Korea. The main conditions of choosing right enclosure were natural levee-backswamp-plateau, which all found in village on a hill. For this reasons Kimhae Daesoeng-dong enclosure discovered in 2001 is not an exception, and therefore this enclosure has been believed to be a beginning point of the farming society. In Korea there have been 2 types of enclosure. One is that enclosure entirely surrounds whole historic site itself and the other is that enclosure partially does. Although Kimhae Daesoeng-dong historic site has been discovered only part of it, it's not believed to have the first type-which surrounds the whole enclosure historic site In this research, 3 developing steps of enclosure historic site were defined. Enclosure surrounds only a part of the historic site is 1st step. Enclosure surrounds all around the site is 2nd step. The site discovered with big round clay pottery and developed into multiple enclosure is 3rd step. Since some researches have not been accomplished, the hypothesis above was suggest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enclosure historic site. The purpose of enclosure has been separately explained for the protection or for the ceremony.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excavation sites could be applied to only one of two purposes. But it is possible that both purposes of enclosure such as protection and as division from ceremonial area could be applied together. Kimhae Daesoeng-dong enclosure was shown for the purpose of division from ceremonial area. But we can not ignore that since Kimhae Daesoeng-dong enclosure exposed to the Sea and dwelling area was not shown from village hill, it would be probably for the protection. However enclosure of Gujibong village area in Daesoeng-dong had used for ceremonial purpose since the Bronze Age, even this enclosure would be possi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of being a center of legend of Gaya foundation. Many unsolved questions are still lying ahead. The enclosure was used for a short time, even if dwelling area was found in and out of enclosur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although duplicate and triplicate enclosure were found, we could not sure which were before and after. Also we could not confirm the type of enclosure with location condition which was the flat land or the top of hill on floodplain. We should not divide the types of enclosure historic site due to differences from cross section of stratum. And I expect that we will have much data such as distribution of enclosure historic site in Yeongnam area where is concerned with origin and diffusion of Japan and China.

일제강점기 부여고적의 재해석과 고적관광의 성격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interpretation and Tourism on Historic Sites of Buyeo Regi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김종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84-97
    • /
    • 2016
  • 일제는 일선동조론에 바탕을 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우리의 역사를 식민사관에 맞춰 재구성하는 한편 고고학적 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이를 증명하려고 하였다. 경주, 부여 등 고도(古都)에 대한 고적조사 및 고적의 재해석 그리고 고적관광은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었다. 특히, 부여지역의 경우 고적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백제 사비기와 일본 고대 아스카(飛鳥)시기와의 밀접한 관련과 친연성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고적을 식민지 조선인에게 보여주는 고적관광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부여지역에 대한 고적조사와 고적의 재해석 및 고적관광이 어떤 맥락으로 이루어졌고 그것이 일반 대중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첫째, 부여지역의 고적조사는 1909년 세키노 다다시에 의해 처음 시도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고분과 사지(寺址)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세키노는 부여의 고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대 중국(梁) 한국(百濟) 일본(倭)간의 문화적 관계와 영향을 설정하였고 사비시기의 백제문화가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다시 일본에 전달하여 아스카 문화를 형성하게 했다는 문화 전달 자설을 역설하였다. 이는 우리문화의 고유성을 부인하고 백제문화를 중국문화의 아류 또는 단순 전파자 역할로 왜곡 해석한 것으로 이러한 세키노의 관점은 일제강점기 내내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둘째, 1915년에 발족한 부여고적보존회는 부여고적에 대한 탈맥락적 해석을 통하여 고대 일본과 백제와의 관계를 동화론적 관점에서 재정립하였다. 특히 낙화암, 고란사, 청마산성 등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일본과의 친연성을 강조함으로써 일제의 동화정책을 역사적 사실관계로 확정지으려고 하였다. 셋째, 부여지역의 고적관광은 부여고적보존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주된 관광대상과 코스는 고적의 재해석을 통해 재구성된 고적들이었다. 일제는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부여를 일본 고대문화의 원형 또는 본향으로 이념화된 공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부여의 고적조사와 고적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고적관광은 서로 밀접한 관련하에서 추진되었고 그 추진 주체가 조선총독부와 친일 관변단체였다는 점에서 타자의 시선에 의해 '만들어지고' '보여진' 것이었으며 그것은 식민지 표상공간으로서 부여의 재발견이었다.

Development of a Two-Way Evacuation Route Database Based on Interviews Conducted with Historic Preservation Area Residents

  • Mishima, Nobuo;Miyamoto, Naomi;Taguchi, Yoko;Kitagawa, Keiko;Oh, Yong-Sun;Park, Sun 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2호
    • /
    • pp.48-57
    • /
    • 2013
  •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wo-way evacuation routes that connect houses to evacuation sites should be developed to protect residents of historic preservation areas from future disasters. These routes are required because traditional buildings and other historic spatial elements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residents' perceptions of evacuation routes that connect their houses to temporary safe places to develop evacuation system strategies that include effective two-way evacuation routes. This paper describes a procedure used to construct a two-way evacuation route database designed to preserve two study areas that was based on an interview survey conducted with area residents. The resulting database contained residents' perceptions of evacuation routes. The database contains categorized spatial problems related to these routes that can be used for future research.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변천과 주요정책의 국내 명승 적용 제언 (A Changes in China's Landscape Scenic Sites System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Major Policies to Scenic Sites of Korea)

  • 김동현;이건풍;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18
    • /
    • 2023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명승의 자연유산으로의 가치 확립과 내용적 범위의 확장을 위해 자국 내 법률의 국제화를 실현한 중국의 풍경명승구를 대상으로 국내와의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선용할 수 있는 부분을 변별하고자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도입과 변화과정, 관련 정책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풍경명승구는 근현대기 서양 문물의 유입과정에서 기존 명승 유람문화과 여행, 관광의 문화로 확장되었고, 여행지로서 각광받게 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풍경명승구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을 발전시켰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풍경명승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는 풍경명승구 관련 제도가 수립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풍경명승구 조례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풍경명승구의 지정은 면적에 따라 용지규모가 구분되며, 풍경명승 분류 선별, 등급 평가, 평가지표와 등급기준에 따른 종합가치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른 등급분류 결과에 따라 국가급에서부터 지방단위의 풍경명승구까지 세분화하고 있다. 셋째, 풍경명승구의 보존관리는 중앙정부에서 전국의 풍경명승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지방정부의 건설 부서에서 해당 지역의 풍경명승구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급 이상 지방정부가 설립한 풍경명승구 관리기구가 실질적인 풍경명승구의 보호와 활용, 관리 업무를 실시하는 체계를 지닌다. 또한 14가지 세부지표를 통한 풍경명승구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명승 정책의 적용을 고려해볼 때 국민의 활용적 관점에서 제도를 수립해 온 정책의 전개방식은 고려할 사항이라 판단된다. 한편, 다양한 지표 설정을 통한 지정 및 관리체계 평가는 경관에 대한 감흥이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정량화된 평가를 맹목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명승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고, 유산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성이씨 파종가 울산 근재공고택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상부가구의 유형 분석과 처마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Ul-san Geun-jae-gong Historic House of Hak-seong Lee Family -Focused on the Typological Analysis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Eaves space)

  • 배창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51-58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k-seong Lee Family's Geun-jae-gong Historic House located in Seok-cheon-ri, Ung-chon-myeon, Ulju-gun, Ulsan. The house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it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and now there are nine buildings left, including the An-chae, Sa-rang-chae, Sa-dang, storehouses and etc. This house is a large-scale house tha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in near region. The division of areas on each building is clear, and it is evaluated that it re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d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overall size and layout. In addition, the current wooden structure, which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s the composition method and space utilization method of the 3-Dori type upper structure, which have become more divers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previous survey,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hrough this paper.

석조문화재 기초부의 공학적 복원을 위한 유한요소법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Engineering Restoration of Dry Stone Wall Foundations)

  • 김성수;정영훈;목영진;이광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130-1141
    • /
    • 2010
  • Even though a number of historic structures in Korea need to be repaired, an intensive research on their engineering performance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Herein, we attempted to provide a methodological approach via the explicit finite element analysis to investigate geotechnical aspect of the performance of the dry-stone wall structures. To do so, we summarized relevant literature on the world-wide historic stone structures as well as its analysis in terms of modern geotechnical engineering. The method of the explicit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briefly summarized. The numerical results on an idealized block structure show that the displacement of blocks and the distribution of earth pressur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heory of the retaining wall because of the discrete nature of the dry-stone wall stru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