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p Rota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2초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Factors on Ankle Joint Injury during One Leg Drop Landing)

  • 이성열;이효근;권문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39-847
    • /
    • 2020
  • 본 연구는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인 발목 유연성, 성별, Q-angle이 발목 관절 상해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오른발을 주발로 사용하고 체육을 전공하는 20대 남성 16명(나이: 20.19±1.78 years, 체중: 69.54±10.12 kg, 신장: 173.22±4.43 cm), 여성 16명(나이: 21.05±1.53 years, 체중: 61.75±6.97 kg, 신장: 159.34±4.56 cm)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첫째, 발목 상해 경험에 따른 하지 관절 움직임과 관절 모멘트의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α = .05). 둘째, t-test를 통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발목 유연성, 성별의 차이, Q-angle을 독립변인으로 지정하여 선형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α = .05). 본 연구결과 발목 관절 상해를 경험한 그룹은 상해를 경험하지 않은 그룹과는 다르게 발목 관절의 내전, 무릎 관절의 내측 회전을 통한 착지 전략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은 발목 관절의 신전 모멘트를 증가시키고, 엉덩 관절의 신전 모멘트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발목의 배측굴곡 유연성은 발목과 무릎의 착지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의 차이는 발목의 신전 모멘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발 착지 시 신체적 특성 요인들이 발목 관절 상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actor Analysis of Biometric Traits of Kankrej Cows to Explain Body Conformation

  • Pundir, R.K.;Singh, P.K.;Singh, K.P.;Dangi, P.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449-456
    • /
    • 2011
  • Eighteen different biometric traits in 407 Kankrej cows from their breeding zone, i.e. Palanpur district of Gujarat, India,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o explain body conformation. The averages of body length, height at withers, height at shoulder, height at knee, heart girth, paunch girth, face length, face width, horn length, horn diameter, distance between horns, ear length, ear width, neck length, neck diameter, tail length with switch, tail length without switch and distance between hip bones were $123.44{\pm}0.37$, $124.49{\pm}0.28$, $94.68{\pm}0.30$, $38.2{\pm}0.14$, $162.56{\pm}0.56$, $178.95{\pm}0.70$, $44.09{\pm}0.10$, $15.91{\pm}0.05$, $42.47{\pm}0.53$, $26.07{\pm}0.19$, $13.34{\pm}0.08$, $31.24{\pm}0.12$, $16.10{\pm}0.05$, $50.63{\pm}0.18$, $73.21{\pm}0.32$, $111.62{\pm}0.53$, $89.34{\pm}0.34$ and $17.28{\pm}0.10\;cm$,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ifferent traits ranged from -0.806 (horn diameter and distance between horns) to 0.815 (heart girth and paunch girth). Most of the correlations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Factor analysis with promax rotation with power 3 revealed three factors which explained about 66.02% of the total variation. Factor 1 described the cow body and explained 38.89% of total variation. The second factor described the front view/face of the cow and explained 19.68% of total variation. The third factor described the back of the cow and explained 7.44% of total variation. It was necessary to include some more variables for factor 3 to obtain a reliable estimate of the back view of the cow. The lower communities shown for distance between horns, horn diameter, ear width and neck diameter indicated that these traits did not contribute effectively to explaining body conformation and can be dropped from recording, whereas all other traits are important and needed to explain body conformation in Kankrej cows. The result suggests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ould be used in breeding programs with a drastic reduction in the number of biometric traits to be recorded to explain body conformation.

평균대 옆공중돌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Kinetic Analysis of the Salto Side-Ward Tucked on the Balance Beam)

  • 여홍철;장재관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1-69
    • /
    • 2008
  • 본 연구는 평균대에서 필수요구조건(EGR)에 해당되는 동작인 옆공중돌기 동작의 성공과 실패를 운동역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가대표 선수들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기술의 실수 요인을 규명하여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과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성공시 옆공중돌기 동작의 신체중심은 평균대 중앙 중심으로 좌-우축으로 벗어나는 결과가 나타나고 동작의 특성상 회전하는 방향으로 신체중심이 이동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약구간인 event2와 3에서 성공시 상 하 변화가 크게 나타나 체공시간을 높이는 것으로 투사변인이 실패시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또한 공중 비약을 위해 다리를 차는 동작을 하는 오른쪽 고관절 각도와 속도, 각속도가 실패시 보다 성공시 동작에서 모두 크게 나타나 도약의 최적조건을 수행하고 있다. 어깨를 중심으로 상지분절의 속도와 견관절 각속도를 크게 함으로써 운동량을 증가시켰으며 그중 오른쪽 견관절 각속도가 크게 나타난 이유는 오른쪽 다리를 잡기 위한 결과이다. 옆 공중돌기 동작에서 실패시 보다 성공시 동작에서 x축을 중심으로 각운동량이 크게 나타나 공중 비행 동작은 x축을 중심으로 각운동량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옆공중돌기 특성상 y축과 z축으로 각운동량도 적정한 비율로 동작이 이루어져야 성공적인 동작을 만들수 있다.

집중 복합 물리치료 프로그램이 외상성 요통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와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Effect of Intensively Complex Physical Therapy Program on Pain, Range of Motion and Muscle Function in Traumatic Low Back pain: A preliminary study)

  • 배영현;고문주;김영범;김성신;서경주;박찬;김선미;최준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5-85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vely complex physical therapy program on pain, range of motion (ROM) and muscle function in traumatic low back injury by industrial accident. Design: Prospective study Methods: Eight patients with traumatic low back injury by industrial accid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treated the intensively complex physical therapy program including daily 60 minutes therapist supervised physical therapy at 5 times a week and 30 minutes manual therapy at 5 times a week in 12 weeks. Evaluation was perform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the training and again 4, 8 and 12 weeks. There were measured Numerical Rating Scale (NRS) for evaluating pain, ROM of trunk, and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runk, core muscle endurance, neuromuscular control ability for evaluating muscle function. Results: N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ccording to time (p<0.05). ROM of extension and rotation,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runk and hip, core muscle endurance and neuromuscular control 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ccording to time (p<0.05). Conclusion: We could confirm the superiority effect of intensively complex physical therapy program on pain, ROM of trunk and muscle function in traumatic low back pain with industrial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