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intensity exercis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4초

Skeletal Muscle Troponin I (TnI) in Animal Fat Tissues to Be Used as Biomarker for the Identification of Fat Adulteration

  • Park, Bong-Sup;Oh, Young-Kyoung;Kim, Min-Jin;Shim, Won-B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22-828
    • /
    • 2014
  •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skeletal muscle troponin I (smTnI), well-known as a muscle protein in fat tissues, and the utilization of smTnI as a biomarker for the identification of fat adulteration were investigated. A commercial antibody (ab97427) specific to all of animals smTnI was used in this study. Fat and meat samples (cooked and non-cooked) of pork and beef, and chicken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meats were well minced and extracted by heating and non-heating methods, and the extracts from fat and meat tissues were probed by the antibody used in bo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immunoblot. The antibody exhibited a strong reaction to all meat and fat extracts in ELISA test.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immunoblot analsis revealed a 23 kDa high intensity band corresponding to the molecular weight of smTnI (23786 D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istence of smTnI in all animal fat tissues. Since there are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each species smTnI, smTnI in fat tissues could be used as a biomarker to identify or determine animal species adulterated in meat products. Therefore, an analytical method to identify fraudulent fat adulteration can be developed with an antibody specific to each species smTnI.

Standardized Extract (HemoHIM) Ameliorated High Intensity Exercise Induced Fatigue in Mice

  • Lee, Hyun Jun;Kim, Sang Back;Boo, Kyung Jun;Ortiz, Darlene Mae;Sayson, Leandro Val;Custodio, Raly James Perez;Cheong, Jae Hoon;Kim, Seul Ki;Kim, Mikyung;Kim, Hee Ji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2호
    • /
    • pp.68-74
    • /
    • 2022
  • HemoHIM was used as a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effect of HemoHIM on fatigue. We examined the potential use of HemoHIM to determine whether it can induce anti-fatigue effects. Mice were administered with HemoHIM and VEH for 14 days. On the last day of treatment, mice were subjected to behavioral tests. Subsequently, their plasma and muscle were collected after the treadmill test to measure lactate, lactate dehydrogenase (LDH), ammonia, corticosterone, glycogen, and creatine kinase (CK). We found that HemoHIM moderately increased the running time (s) in the treadmill and mobility duration in the cold swimming tests. In addition, the VE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actate, LDH, and corticosterone levels in the plasma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perform the test. However, this was moderately reduced in HemoHIM treatment. Moreover, the HemoHIM-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DH and glycogen levels, an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CK levels in the muscle. HemoHIM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fatigue, given the duration of cold swimming or running time on a treadmill. Also, HemoHIM treatment resulted in reduced concentrations of blood and muscle parameter analysis.

스쿼트 동작 시 정적 스트레칭과 근막이완기법이 하지 관절의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tic Stretching and Myofascial Release Techniques on Kinematic Factors of Lower Extremity Joints during Squat )

  • Seung-Ki An;Moon-Seok Kwon;Jae-Woo Lee;Young-Tae Lim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3-62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kinematic factors according to stretching treatment, myofascial release treatment, and static stretching treatment conditions during squat. Method: Twelve males with resistance train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ed squats without treatment (Pre-Test), and performed squats after treatment with the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MRT) and static stretching (SS) on different days (post-test). Squat movements were captured using eight motion capture cameras (sampling rate: 250 Hz), and the peak joint angles of the ankle, knee, hip, and pelvis were calculated for each direction. One-way repeated ANOVA and Bonferroni post hoc analyses using SPSS 27 (IBM Corp. Armonk NY, USA) were used to compare the peak joint angle of the lower extremity joints and pelvis among the normal condition (squat without treatment), MRT condition (squat after MRT treatment) and SS condition (squat after static stretch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maximum ankle joint flexion angle during squats was statistically reduced under conditions of myofascial release and static stretching (p<.05), in comparison to the scenario where no stretching was performed. Furthermore, static stretching was found to enhance the maximum hip flexion angle during squat (p<.05), whereas the myofascial release stretching technique resulted in the minimal posterior pelvic tilt angle (p<.05). Conclusion: Employing myofascial release stretching as a preparatory exercise proved to be more efficacious in maintaining body stability throughout the execution of high-intensity squat movements by effectively managing the posterior tilt of the pelvis, as opposed to foregoing stretching or engaging in static stretching.

지역 거주 노인의 활동 체력과 신체 활동수준의 관련성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functional fitness in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 신소희;김용안;김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25-63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 PA) 수준과 활동 체력(functional fitness; FF)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피검자(남성:1,645명; 여성:2,394명)의 PA 수준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FF는 상·하지 근력,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유연성, 유산소성 능력, 협응력, 그리고 신체 구성 등 체력 영역을 대표하는 6항목으로 측정, 평가하였다. 피검자는 신체 활동 권장기준에 따라 권장량보다 낮은 그룹(low physical activity; LPA)과 권장량 기준을 충족하는 그룹(PA)으로 나누었고, PA 그룹은 다시 강도 수준에 따라 중강도 그룹(MIPA)과 고강도 그룹(HIPA)으로 분류하였다. 권장량 수준을 충족하는 피검자는 48%였고, 이들은 모든 항목에서 LPA보다 성적이 높았다(p<.001). HIPA 그룹은 MIPA 그룹보다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협응력, 그리고 하지 근력(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이 활동 체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강을 위해 권장하고 있는 신체 활동량을 충족시켜야 하며, 특히 낙상 관련 체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은 신체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일 도시지역 남자고교생들의 요통경험과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Back Pain and Developmental Factor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an Urban area)

  • 정승희;조영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21-33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adolescent back pain through analyzing connections between study environments and physical posture. The subjects were 960 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onju area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r. 17 to Mar. 22, 199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frequency, chi-square and t-test using an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rate of back pain perceived by subjects was 67.5% and by each grade: 1st-27.5%, 2nd-35.4%, 3rd-37.1%.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es and the experience of back pain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causes of back pain perceived by subjects such as 'postures are not good' was 56.7%, 'sitting too much time in a chair' was 39.1%, and 'too severe exercise' was 32.4%. 27.8% had back pain first during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23.9% had it first during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3) Intensity of subjects' back pain spread from 'moderate' at 49.6%, to 'severe' at 16.4%. Concerning the frequency of back pain, 58.6% said it was 'irregalar'. 4) Among interventions to deal with back pain: 'move by exercising my back or ask friends to beat my back' was 41.0%, 'just bear it' was 23.1%, and at home 'don't have 'any treatment' was ranked first, at 54.9%. 5)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ack pain experiences: height (t=-1.99, P=.046), sitting/height (t=-2.61, P=.009), self-perceived condition of health (${\chi}^2=23.530$, P=.000), family history (${\chi}^2=43.903$, P=.00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kinds of transportation, sleeping postures, sleeping method and smoking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6)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learning environment and back pain experiences, the height of students' desk and chai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hi}^2=23.054$, P=.000), but the sitting tim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physical postures and back pain experiences: standing postures (${\chi}^2=15.105$, P=.001), and sitting postures (${\chi}^2=20.264$X2,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lifting posture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 PDF

COPD환자에서 6분 보행검사를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예측 (Predicting Oxygen Uptake for Men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김창환;박용범;모은경;최은희;남희승;이성순;유영원;양윤준;문정화;김동순;이향이;진영수;이혜영;천은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6호
    • /
    • pp.433-438
    • /
    • 2008
  • 연구배경: COPD 환자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의 측정은 호흡재활치료에서 운동 강도의 결정과 치료 반응을 평가 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운동부하 심폐기능 검사는 공간및 비용 등의 문제로 우리나라에서는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 한편 6분 보행검사는 간단하게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신뢰도가 높고 운동능력의 변화를 비교적잘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COPD 환자에서 $6M_{work}$을 이용해 최대산소섭취량을 예측하는 공식을 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중등도 이상의 COPD 남성 33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다기관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초 방문시 폐기능검사, 운동부하 심폐기능 검사와 6분 보행검사를 실시하였고, 보행거리와 체중을 곱하여 $6M_{work}$을 구한 다음 최대산소섭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을 찾아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정 예측식을 구하였다. 결 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7.7세, 신체질량지수는 $22.5kg/m^2$였다. $FEV_1$의 평균값은 1.33 L (정상 예측치의 51.1%)이었고, 최대산소섭취량도 1,015.9 ml/min (정상 예측치의 50.8%)로 낮게 측정되었다. 평균 6분 보행거리는 516 m, $6M_{work}$는 32,811이었으며, $6M_{work}$가 6분 보행거리보다 최대산소섭취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FEV_1$, 폐확산능, FVC가 최대산소섭취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으로 얻어진 예측식은 [최대산소섭취량(ml/min)=($274.306{\times}FEV_1$)+($36.242{\times}DLco$)+($0.007{\times}6M_{work}$)-84.867]이었다. 결 론: 최대산소섭취량 검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의 대안으로 시행이 간편한 6분 보행검사를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추정공식의 타당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The Effect of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 Lee, Seung-Jeong;Ryu, Hye-Min;Kim, Su-Gyeong;Park, Eun-Jin;Lim, Jae-Eun;Lee, Young-Jun;Song, Choon-Ho;Yoon, Hyun-Min;Kim, Cheol-Ho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129-137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Methods: Medical records of 21 outpatients were reviewed who were diagnos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unspecified (K0769) and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Dong-Eui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y $1^{st}$, 2017 to April $30^{th}$, 2018. Patients received more than 10 treatments of upper cervical manipulation and performed self-exercise therapy more than 3 times a day and wore an accurate balancing appliance in the oral cavity for more than 8 hours per day. To estimate the efficacy, visual analogue scale (VAS), numerical rating scale (NRS), maximum mouth opening (MMO), symptom intensity scale (SIS), max SIS (MSIS), symptom frequency scale (SFS), mandibular function impairment questionnaire (MFIQ) and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Results: NRS and MSI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VAS, MMO, SIS, and SF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each period, except the period from the $8^{th}$ to $10^{th}$ visit. MFIQ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to $10^{th}$ visit. In the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showed a high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cerebrospinal therapy using an accurate balancing appliance, may be useful for reducing th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태권도와 부추섭취가 남자고등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C-반응단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ekwondo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C-Reactive Protein)

  • 이상호;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5-272
    • /
    • 2011
  • 본 연구는 남자고등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태권도와 부추섭취가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C-반응단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0주간 태권도 운동과 부추환을 섭취시킨 후 운동 전과 운동 후의 신체조성, 체지방률, 혈중지질 및 C-반응단백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체지방률은 집단내 태권도+부추섭취군과 태권도군, 부추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혈중지질의 변화에서 HDL-C 농도는 태권도+부추섭취군, 태권도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태권도+부추섭취군과 태권도군이 부추섭취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DL-C 농도는 태권도+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태권도 수련과 부추섭취는 남자고등학생의 체지방률과 HDL-C, LDL-C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부추섭취에 관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북 지역 결혼이주 여성 출신국가별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이용 실태 비교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homeland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mmigrants living in Chungbuk)

  • 전미양;김현숙;김희자;이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00-351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 이용 실태를 출신 국가에 따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7개 지역 다문화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주 여성 171명이며, 자료수집은 7개 언어로 번역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2010년 9월~11월까지 3개월간 실시하였다. 결혼이주 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라 비교한 결과, 건강행태에서는 고강도 운동, 걷기 운동, 체중조절, 아침식사 횟수가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에서는 요통 발생율과 비만도가 차이가 있었으며, 보건의료 이용에서는 건강검진 경험, 주이용 의료기관, 의료기관 미방문 이유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 정책을 수립한다면 결혼이주 여성에게 가장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장년 한국 남성의 좌식 시간에 따른 영양, 식이 및 건강행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Study on nutrition, dietary and health status of middle-aged Korean men according to sedentary hours: based on the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다정;이지현;윤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59-375
    • /
    • 2022
  • 성인 남성은 주된 경제활동 인구로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이들의 좌식 시간과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의 좌식 시간과 영양, 식이 및 건강 행태의 차이와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 위험 요인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피험자 (n = 1,068)는 평소 하루 앉아서 보내는 시간 (시간 및 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가장 낮았고 허리둘레가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또한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교육수준과 White collar의 비율이 높았고, 이에 따라 업무 중 고강도와 중강도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 또한 높았다. 최근 1년의 음주 빈도는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좌식 시간이 가장 짧은 그룹과 가장 높은 그룹에서 가장 빈번하였으며, 이는 좌식 시간보다는 평균 근로시간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걷기와 근육 운동 횟수에는 그룹 간 차이가 없었지만, 유산소 운동 실시 비율은 좌식 시간이 긴 그룹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식이습관, 평일 수면시간 및 정신건강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 의사 진단을 받은 사람은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에 가장 많았으나, 골다공증, 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유병 빈도가 미미하였고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요인 중 LDL-콜레스테롤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혈중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가장 높았다.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비타민 B1과 칼슘 섭취량이 가장 적었고, 비타민 C를 EAR보다 적게 섭취한 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성인 남성의 건강 및 영양상태 등이 좌식 시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좌식 시간을 건강 위험요인으로 인지하고 이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