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Resolution Camera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28초

1200만 화소의 고해상도 360° 전방위 IP 카메라 개발 (Development of 360° Omnidirectional IP Camera with High Resolution of 12Million Pixels)

  • 이희열;이선구;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68-27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1200만 화소의 고해상도 $360^{\circ}$ 전방위 IP 카메라의 개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1200만 화소의 고해상도 $360^{\circ}$ 전방위 IP 카메라는 $360^{\circ}$ 전방위 시야각의 렌즈 부와 1200만 화소 고해상도 IP 카메라 부로 구성된다. $360^{\circ}$ 전방위 시야각의 렌즈 부는 등사영 렌즈 설계방식과 catadioptric 면 제작방식을 적용하여 어안 렌즈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주변부 왜곡현상이 없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1200만 화소 고해상도 IP 카메라 부는 CMOS 센서 & ISP 부, DSP 부, I/O 부 등으로 구성하여 카메라에 들어온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왜곡 보정, 영상 보정, 영상 압축 등의 기능 등을 수행한 후에, NVR(Network Video Recorder)에 전송한다. 제안된 1200만 화소의 고해상도 $360^{\circ}$ 전방위 IP 카메라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외부시험기관에서 실험한 결과, 1200만 화소의 영상효율, $360^{\circ}$ 전방위 렌즈 화각, 전자파 인증 규격 등이 목표값에 적합하게 측정됨이 확인되었다.

우리별 3호 탑재 고해상도 CCD 카메라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KITSAT-3 High Resolution CCD Camera System)

  • 유상근;장현석;이흥규;최순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10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1998년 중반에 발사예정인 우리별 3호의 주 탑재물인 고해상도 지구관측 카메라시스템의 구성, 기능 및 운용방법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리가 개발한 카메라시스템은 남아 프리카공화국의 Stellenbosch 대학교와 국제공동연구로 수행중이며 1996년말 현재 엔지니어링 모델을 완성하고 환경시험중이다. 본 CCD 카메라는 기술시험용 시스템이며 기술습득 및 운용 시험이 주목적이고 지 상해상도는 800 Km 고도에서 약 15m 정도이다.

Three-Dimensional Flow Visualization for the Steady and Pulsatile Flows in a Branching Model using the High-Resolution PIV System

  • Suh, Sang-Ho;Roh, Hyung-W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Vascular Biomedical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27-32
    • /
    • 2004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isualize the steady and pulsatile flow fields in a branching model by using a high-resolution PIV system. A bifurcated flow system was built for the experiments in the steady and pulsatile flows. Harvard pulsatile pump was used to generate the pulsatile velocity waveforms. Conifer powder as the tracing particles was added to water to visualize the flow fields. CCD cameras($1K{\times}1K$(high resolution camera) and $640{\times}480$(low resolution camera)) captured two consecutive particle images at once for the image processing of several cross sections on the flow system. The range validation method and the area interpolation method were used to obtain the final velocity vectors with high accuracy. The results of the image processing clearly showed the recirculation zones and the formation of the paired secondary flows from the distal to the apex of the branch flow in the bifurcated model.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particle velocities at the inner wall moved faster than the velocities at the outer wall due to the inertial force effects and the helical motions generated in the branch flows as the flow proceeded toward the outer wall. Even though the PIV images from the high resolution camera were closer to the simulation results than the images from the low resolution camera at some locations, both results of the PIV experiments from the two cameras generally agreed quite well with the results from the computer simulations. Therefore, instead of using the expensive stereoscopic PIV or 3D PIV system, the three-dimensional flow fields in a bifurcated model could be easily and exactly investigated by this study.

  • PDF

고해상도 다기능 스테레오 카메라 지상 검증 및 분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Verification and Analysis System for the High-Resolution Stereo Camera)

  • 신상윤;고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1-482
    • /
    • 2019
  • 달 탐사용 고해상도 스테레오 카메라의 임무는 달 궤도선 및 착륙 선에 탑재되어 달 표면의 3차원 지형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달 착륙 후보지를 탐색하고 착륙 시에는 달 표면 근접에 따른 근거리 입체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정확한 지점에 착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달 탐사선에 탑재되는 달 탐사용 고해상도 카메라 개발을 위한 지상모델인 다기능 스테레오 카메라를 활용하여 고해상도 스테레오 카메라에 요구되는 임무를 검증하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지상검증 및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지상검증 및 분석 시스템은 임무 검증을 위한 임무검증항목과 시험계획을 제공하며, 시험 수행 후 결과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달 지형과 유사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상 임무항목시험 계획을 세우고, 항공촬영을 통해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였다. 분석장치를 통해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영상을 보정 및 매칭 후 수치표고모델(DEM)을 추출하고 3차원 영상을 생성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달 탐사용 고해상도 카메라에 요구되는 임무수행항목이 검증되었고, 스테레오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지상처리분석 시스템이 확보 되었다.

REFOCUSING FOR ON-ORBIT MTF COMPENSATION OF REMOTE SENSING CAMERA

  • Jang Hong-Sul;Jeong Dae-Jun;Lee Seungh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01-603
    • /
    • 2005
  • Refocusing methods are used to compensate optical performance degrad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camera during on-orbit operation. Due to mechanical vibration during launch and thermal vacuum environment of space where camera is exposed, the alignment of optical system may have error. The focusing error is dominant of misalignment and caused by the de-space error of secondary mirror of catoptric camera, which is most sensitive to vibration and space environment. The high resolution camera of SPOT, Pleiades and KOMPSAT2 have refocusing device to adjust focusing during orbital operation while QuickBird of US does not use on orbit refocusing method. For the Korsch type optical configuration which is preferred for large aperture space remote sensing camera, secondary mirror and folding mirror are available as refocusing element.

  • PDF

A fast high-resolution vibration measurement method based on vision technology for structures

  • Son, Ki-Sung;Jeon, Hyeong-Seop;Chae, Gyung-Sun;Park, Jae-Seok;Kim, Se-Oh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294-303
    • /
    • 2021
  • Various types of sensors are used at industrial sites to measure vibra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diversity of vibration measurement methods, vibration monitoring methods using camera equipment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However, owing to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hardware, the measurement resolution i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ensors, and real-time processing is difficult because of extensive image processing. As a result, most such methods in practice only monitor status trends. To address these disadvantages, a high-resolution vibra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image analysis of the edge region of the structure has been reported. While this method exhibits higher resolution than the existing vibration measurement technique using a camera, it requires significant amount of computation. In this study, a method is proposed for rapidly processing considerable amount of image data acquired from vision equipment, and measuring the vibration of structures with high resolution. The method is then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It wa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fast measure vibrations of structures remotely.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 of Long-rang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for Airborne IR Camera

  • Yang, Hyun-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9-4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ree compensation methods to solve problems in high-resolution airborne infrared camera and to improve long-range target information acquisition performance. First, image motion and temporal noise reduction technique which is caused by atmospheric turbulence. Second, thermal blurring image correction technique by imperfect performance of NUC(Non Uniformity Correction) or rai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mera. Finally, DRC(Dynamic Range Compression) and flicker removing technique of 14bits HDR(High Dynamic Range) infrared image. Through this study, we designed techniques to improve the acquisition performance of long-range target information of high-resolution airborne infrared camera,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result with implemented images.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이용한 고해상도 비디오 합성 (High Resolution Video Synthesis with a Hybrid Camera)

  • 김종원;경민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12
    • /
    • 2007
  • 최근들어 디지털 영상 기술의 발달로 많은 영화들이 디지털화되어 제작되고 있고, 이러한 디지털 영화를 직접 상영할 수 있는 디지털 시네마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까지 디지털시네마에서 요구하는 2K이상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촬영 장비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디지털 영화의 제작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저가의 일반 비디오 카메라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의 키프레임마다 함께 촬영된 고해상도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을 합성하는 것이다. 비디오 합성은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현재 프레임의 픽셀마다 대응되는 점의 위치를 앞뒤 키프레임들에서 찾는다. 대응점은 현재 프레임과 키프레임 간의 광흐름(optical flow)을 계산하여 찾게 된다. 대응점이 구해지면 키프레임의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대응점 위치의 이미지 블럭을 가져와 현재 프레임의 해당 픽셀 위치에 복사한다. 만일 키프레임에서의 대응점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현재 저해상도 비디오 프레임의 확대 이미지를 빈곳 채움에 이용하여 이미지를 완성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해상도 비디오 합성 외에 비사실적 비디오 렌더링 등과 같은 영상 효과의 구현에도 적용할 수 있다.

  • PDF

4K 초고속 카메라 촬영기술의 워크플로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flow of Cinematography with 4K High Speed Camera)

  • 김상일;박성철;김정호;권순철;이승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5-432
    • /
    • 2014
  • 4K 초고속 카메라 촬영은 해상도 및 셔터스피드 증가로 인해 빠른 피사체의 영상을 모션 블러 없이 Full HD 4배 해상도로 촬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해당 촬영은 데이터 량의 증가와 광량, 포커스 등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뒤따른다. 증가된 셔터스피드로 인해 광량 부족 현상을 가져올 수 있어 조리개를 개방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많아 초점 조절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증가된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로 인해 저장 공간의 한계가 뒤따르기 때문에 촬영 기록에 제한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K 초고속 카메라(Phantom Flex 4K) 제작 사례를 통해 위와 같은 한계점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디자인 하였다.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Using Orthoimage and DSM Based on Fixed-Wing UAV

  • Kim, Gu Hyeok;Choi, Jae Wa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17
  • An UAV (Unmanned Aerial Vehicle) is a flight system that is designed to conduct missions without a pilot. Compared to traditional airborne-based photogrammetry, UAV-based photogrammetry is inexpensive and can obtain high-spatial resolution data quickly. In this study, we aimed to classify the land cover using high-spatial resolution images obtained using a UAV. An RGB camera was used to obtain high-spatial resolution orthoimage. For accurate classification, multispectral image about same areas were obtained using a multispectral sensor. A DSM (Digital Surface Model) and a modified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ere generated using images obtained using the RGB camera and multispectral sensor. Pixel-based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for twelve classes by using the RF (Random Forest) metho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evaluated based on the error matrix,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classified the area compared to 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only the RGB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