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A General Mixed Linear Model with Left-Censored Data

  • Ha, Il-D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6호
    • /
    • pp.969-976
    • /
    • 2008
  • Mixed linear models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correlated data including multivariate survival data. In this paper we extend hierarchical-likelihood(h-likelihood) approach for mixed linear models with right censored data to that for left censored data. We also allow a general random-effect structure and propose the estimation procedure. The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using a numerical data set and is also compared with marginal likelihood method.

Empirical Bayes Estimate for Mixed Model with Time Effect

  • Kim, Yong-Chul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9권2호
    • /
    • pp.515-520
    • /
    • 2002
  • In general, we use the hierarchical Poisson-gamma model for the Poisson data in generalized linear model. Time effect will be emphasized for the analysis of the observed data to be collected annually for the time period. An extended model with time effect for estimating the effect is proposed. In particularly, we discuss the Quasi likelihood function which is used to numerical approximation for the likelihood function of the parameter.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한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분석 : 2014-2015 정규리그 (Analyzing records of Korean pro-basketball using general linear model)

  • 김세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957-970
    • /
    • 2015
  • 이 연구는 일반선형모형에 이원변량분석과 위계적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2014-2015 정규리그 270경기)을 분석하였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3점슛시도에서 승패와 홈원정 집단간에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변인들 (2점슛시도, 어시스트, 속공, 선수교체)은 모두 승패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홈원정경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어시스트는 3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으며, 속공은 어시스트가 2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어시스트는 2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그리고 속공은 어시스트가 3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수교체는 2점슛시도, 3점슛시도 그리고 어시스트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emplate Recovery of DWT-DFT Composite Watermarking Scheme Using Collinear Cross-Ratio

  • Sepsirisuk, Kasemsuk;Atsuta, Kiyoaki;Kondo, Shoz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225-228
    • /
    • 2005
  • According to a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and digital lifestyle, digital watermarks have been proposed for protection of copyrighted multimedia content. In blind watermark detection, which an original image is not provided, robustness against geometric distortion and compression remains challeng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erceptual blind discrete wavelet transform - discrete Fourier transform (DWT-DFT) composite watermarking scheme that is robust against both general linear transform and JPEG compression. This algorithm constructs an image-dependent watermark in the most significant DWT coefficients, which is determined by using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Strength of watermark is determined from a 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profile of a perceptual model. Furthermore, a desired template is inserted into DFT domain of the watermarked image. In new manner, a cross-ratio of four collinear points is used for detecting the templat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ed that the proposed scheme is robust against general linear distortion, JPEG compression and various general kinds of attacks in the Stirmark 3.1 watermark evaluation tool.

  • PDF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 임세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29-50
    • /
    • 2016
  • 본 연구는 주거비과부담 결정요인을 가구와 주거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세가구일수록, 주거환경에 만족할수록, 주거비과부담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기초보장가구일수록, 최저주거기준미달일수록, 전세가구일수록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주거비과부담여부에는 유의미한 지역간 분산이 존재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임대료와 중위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만을 추가분석한 결과 지역의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증가하면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비과부담 위험에 노출된 가구 및 주거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주택가격 상승 억제 및 임대료 규제의 필요성과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구직자의 취업스펙이 실제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선별이론 및 이중노동시장이론을 중심으로 (The Differentiating Effects of Job Seekers' Spec on Actual Employment: Focusing on Screening Hypothesis and Dual Labor Market Theory)

  • 박지성;옥지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24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ob seekers' spec influence their actual employment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fferentiating effects of applicants' specs depending on whether general or decent job employ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on 54,443 samples that incorporated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for three years (2017-2019)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linear probability model and logit model 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Findings -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most job seekers' spe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employment status. Interesting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predicting employment for a general job and a decent job. This study sugges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selection/ recruitment field by clarifying the critical factors to influence applicants' employme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the screening hypothesis which explains that the applicants' spec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actual employment. Also, the dual labor market theory, which explains that applicants' specs differently affect actual employment between general and decent jobs, was reaffirmed.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차원 범주형 분석 (Multi-dimension Categorical Data with Bayesian Network)

  • 김용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9-174
    • /
    • 2018
  • 일반적으로 자료의 효과 연속형인 경우 분산분석과 이산형인 경우 분할표 카이제곱 검정을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사용한다. 다차원의 자료에서는 계층적 구조의 분석이 요구되어지며 자료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통계적 선형모형을 채택하여 분석한다. 선형모형의 구조에서는 자료의 정규성이 요구되어지며 일부 자료에서는 비 선형모형을 채택할 수도 있다. 특히, 설문조사 자료 구조는 문항의 특성상 이산형 자료의 형태가 많아 모형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자료구조의 차원이 높아질수록 인과관계, 교호작용, 연관성분석 등에 다차원 범주형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분포의 계산을 이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형이 범주형 자료 분석에서 분석절차를 줄이고 교호작용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Influence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Lee, Sang-Yi;Kim, Chul-Woung;Kang, Jeong-Hee;Yoon, Tae-Ho;Kim, Cheoul Si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7권5호
    • /
    • pp.258-265
    • /
    • 2014
  • Objectives: To examine whether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t the hospital-level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Among the 11 731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s educational program, 5654 responded to our survey. Data from 3096 nurses working in 185 general inpatient wards at 60 hospitals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Results: Having a standardized nursing process (odds ratio [OR], 4.21; p<0.001), adequate nurse staffing (OR, 4.21; p<0.01), and good doctor-nurse relationship (OR, 4.15; p<0.01), which are hospital-level variables based on the Korean General Inpatients Unit Nursing Work Index (KGU-NWI),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es' job satisfaction. However, no hospital-level variable from the KGU-NWI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es'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Favorabl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are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particular, having a standardized nursing process, adequate nurse staffing, and good doctor-nurse relationship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nurses'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not related to nurses' turnover intention.

일회용 약물주입기로 가정에서 항암치료 중인 대장암 환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at Home 5-Fluorouracil Chemotherapy with Disposable Elastomeric Infusion Pumps)

  • 이충은;김나영;박미희;이윤정;김진라;백민주;김효진;변은성;길윤경;김희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1호
    • /
    • pp.76-8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distress related to quality of life (QoL)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receiving 5-fluorouracil (5-FU) chemotherapy at home with disposable Elastomeric infusion pumps. Methods: In this study, 179 colorectal outpatients were recruited between September 2019 and January 2021. National Cancer Center Psychological Symptom Inventory scores,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EORTC QLQ-C30 scores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ith Bonferroni post hoc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6.0 programs.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psychological distress was 52.0% in colorectal patients. In multiple regression, psychological distress (β=-.20, p=.005), appetite loss (β=-.20, p=.001), chemotherapy cycles (β= .19, p=.002), fatigue (β=-.16, p=.035), physical functioning (β=-.16, p=.024), and emotional functioning (β=-.15, p=.025) were significant factors of QoL, and the final model explained 45.0% of the total variance of QoL. Conclusion: Supporting patients toward decreased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creased physical and emotional functioning, especially in the first or second cycle of chemotherapy, could be used to improve their QoL. To consider the thresholds for clinical importanc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rpretat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일화기억을 구성하는 맥락 요소에 대한 탐구: 시공간적 맥락과 구분되는 사회적, 행동적, 의도적 맥락의 내측두엽-대뇌피질 네트워크 특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contextual factors of episodic memory: dissociating distinct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episodic encoding from spatio-temporal contexts based on medial temporal lobe-cortical networks)

  • 박종현;나윤진;유수민;이승구;한상훈
    • 인지과학
    • /
    • 제33권2호
    • /
    • pp.109-133
    • /
    • 2022
  • 일화기억은 핵심 이벤트와 그에 연합된 맥락으로 구성된다. 해마와 해마 주변 영역이 일화기억의 부호화에서 맥락을 표상하는 역할에 관해 연구되어왔지만, 시공간적 맥락 외에 다양한 맥락-특이적 정보들에 대한 표상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자기기능공명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맥락정보(예, 육하원칙 - 누가, 왜,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의 부호화에 관여하는 내측두엽 및 대뇌피질 신경연결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명의 얼굴과 하나의 사물로 구성된 실험 이벤트를 보면서 여섯가지 맥락 부호화 과제를 수행하였다. 휴지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정보를 활용해 내측두엽의 세부 영역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였고 맥락 기억 과제별 기능적 신경연결성 네트워크를 탐색하였다. 일반선형화 모델 분석을 통해 시공간적 맥락정보를 처리할 때보다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을 연합할 때 내측두엽의 세부영역,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영역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활성화를 보이며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 영역들과 내측두엽 영역이 맥락조건간 차이에 관여하는 기능적 연결성 특징을 탐색하기 위하여 맥락부호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해마세부영역들과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등 간의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정보들을 다변량 패턴분석의 주요입력변수로 선정하였고, 기계학습을 통해 맥락 조건 간 연결성 패턴분류를 시도하였다. 네트워크 패턴분류에서도 시공간 맥락 조건과 각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처리 조건 간에는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화기억에서 특정 맥락을 처리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특성과 맥락 조건 간 차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