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speridi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1초

Anti-diabetic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nhibitory Activity of Schizonepeta tenuifolia Spikes on the Diabetogenesis by Streptozotocin in Mice

  • Kim, Chang-Jong;Lim, Jung-Sik;Cho, Seung-K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441-446
    • /
    • 1996
  • The Schizonepeta tenuifolia spikes (STS)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for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spasmodic purpose in Korea. Phytosterols (mixture of campesterol 3.68%, stigmasterol 2.30% and ${\beta}$-sitosterol 94.02%) and hesperidin were isolated by chromatography from ether and n-BuOH fractions of STS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significantly reduced the blood glucose level and lessened the loss of body weight and water consumption dose-dependently when administered at a i.p. doses of 10 and 20 mg/kg for 4 days after the i.v. injection of streptozotocin (I 80 mg/kg). In the morphologic study, these compounds showed protective activity on the pancreatic islets, especially .betha.-cells, from the degenerative changes by streptozotocin.

  • PDF

Natural Products for Cancer-Targeted Therapy: Citrus Flavonoids as Potent Chemopreventive Agents

  • Meiyanto, Edy;Hermawan, Adam;Anindyajati, Anindyajat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2호
    • /
    • pp.427-436
    • /
    • 2012
  • Targeted therapy has been a very promising strategy of drug development research. Many molecular mechanims of diseases have been known to be regulated by abundance of proteins, such as receptors and hormones. Chemopreven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are continuously developed.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in chemoprevention field yielded many valuable data in preventing the onset of disease and suppressing the progress of their growth, making chemoprevention a challenging and a very rational strategy in future researches. Natural products being rich of flavonoids are those fruits belong to the genus citrus. Ethanolic extract of Citrus reticulata and Citrus aurantiifolia peels showed anticarcinogenic, antiproliferative, co-chemotherapeutic and estrogenic effects. Several examples of citrus flavonoids that are potential as chemotherapeutic agents are tangeretin, nobiletin, hesperetin, hesperidin, naringenin, and naringin. Those flavonoids have been shown to possess inhibition activity on certain cancer cells' growth through various mechanisms. Moreover, citrus flavonoids also perform promising effect in combination with several chemotherapeutic agents against the growth of cancer cells. Some mechanisms involved in those activities are through cell cycle modulation, antiangiogenic effect, and apoptosis induction.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angeretin suppressed the growth of T47D breast cancer cells by inhibiting ERK phosphorylation. While in combination with tamoxifen, doxorubicin, and 5-FU, respectively, it was proven to be synergist on several cancer cells. Hesperidin and naringenin increased cytotoxicitity of doxorubicin on MCF-7 cells and HeLa cells. Besides, citrus flavonoids also performed estrogenic effect in vivo. One example is hesperidin having the ability to decrease the concentration of serum and hepatic lipid and reduce osteoporosis of ovariectomized rats. Those studies showed the great potential of citrus fruits as natural product to be developed as not only the source of co-chemotherapeutic agents, but also phyto-estrogens. 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citrus fruits in overcoming cancer.

한국산 감귤류의 가공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Quality of Korean Citrus Fruits)

  • 이종욱;신두호;윤인화;한판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28-32
    • /
    • 1979
  • 증산되고 있는 한국산 온주계통 감귤의 품질향상을 도모하여 새로운 수요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제주산 감귤의 품종별 가공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1. 과실 맛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당도는 $9.0{\sim}10.0^{\circ}Bx$였고 산도는 $1.43{\sim}l.70%$로써 당산비는 $5.3{\sim}6.6$수준으로 비교적 낮은 품질 수준을 나타냈다. 2. 감귤 통조림의 백탁 현상의 원인이라고 알려진 과육의 hespeidin 함량은 조생종에 비하여 만생종으로 갈수록 낮아져 45mg%정도였다. 3. 외피율은 만생종이 될수록 높아져서 25%정도였고 착즙율은 50%이었다. 그러므로 저장에는 만생종이 유리하며 착즙율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착즙액의 비중은 평균 1.040정도였고 혼탁도는 만생종이 될수록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vit. C 및 hesperidin 함량은 $25{\sim}30mg%$를 유지하였다.

  • PDF

In Vitro 에서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활성과 HepG2 세포증식에 미치는 Hesperidine, Naringin 및 그 Aglycone Flavonoid의 영향 (Effects of Hesperidine, Naringin and Their Aglycones on the In Vitro Activity of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nd on the Proliferation and Growth in Cultured Human Hepatocytes HepG2 Cells)

  • 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77-582
    • /
    • 1997
  • 감귤류에 포함되어있는 성분중, 생리활성물질로 거론되어지고 있는 citrus flavonoid 즉, hesperidin, hesperetin, naringin 및 naringenin 4종류를 가지고 간장triglyceride합성의 율속효소로 알려져 있는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활성에 대하여 in vitro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flavonoid가 HepG2 세포의 생존율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flavonoid 는 $10{-4}M$ 농도까지는 세포생존율 및 증식이 최고에 도달하였으나, $10{-3}M$ 농도에서 aglycone flavonoid는 현저한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naringin 및 hesperidin의 glycoside flavonoid는 첨가한 모든 농도에서 PAP활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glycone flavonoid인 hesperetin은 PAP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naringenin은 $10{-2}M$ 농도에서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aglycone flavonoid가 생체내에서 세포 생존율, 증식 및 지질대사에 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Can Daily-use Lipstick Make Lips More Fresh and Healthy\ulcorner - A New Lipstick Containing $\alpha$-Glucosyl-hesperidin Can Remove the Dull-color from Lips

  • Iwai, I.;Yamashita, T.;Ochiai, N.;Masuda, Y.;Hosokawa, K.;Kohno, Y.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162-177
    • /
    • 2003
  •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lor of skin reflects the blood flow within. In lips, the capillaries close to the skin surface are numerous; hence lips are redder than the rest of face. However, dermatological research on lips is not as advanced as research on facial or body skin, and little wa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ly dull-colored lips and skin blood flow. The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olorful and dull-colored lips were studied by a two-dimensional laser Doppler blood flow analyzer, a spectrometer for the measurement of the degree of oxygen saturation, and a confocal microscope for observing inside lips non-invasively. Dull-colored lips and the corner of lips (dull-colored compared to the center) showed relatively poor blood flow and lower oxygenated hemoglobin. It was found that colorful lips (generally the young) had a blood flow that tended to run straight in parallel with the skin surface. This unique blood-capillary structure can express clear red blood. Those with dull-colored lips had lost this unique structure. Their blood ran perpendicularly from the deep of the skin and down back again into the deep part as like the blood circulation patterns of facial skin. Therefore, the lips of the latter group had fewer blood capillaries near skin surface in the lips than that of the colorful-lips group. A lipstick containing a-glucosyl-hesperidin, which is derived from certain citrus fruits and can enhance blood circulation, was applied for evaluating its effects. Blood flow was increased 30 min after the application. After two weeks of daily application, the lips' condition became noticeably less du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crease of blood flow in dull-colored lips is caused by the loss of the unique capillary structure and the use of the lipstick to increase blood flow can give a vivid color to lips.

  • PDF

감귤착즙박의 화학성분과 플라보노이드 (Chemical Constituents and Flavonoids in Citrus Pressed Cake)

  • 양영택;김미실;현관희;김용철;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4-98
    • /
    • 2008
  • 감귤착즙박의 자원화를 위하여 감귤 착즙박과 완숙기에 수확한 궁천조생의 유용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채취시기에 따라 감귤착즙박의 성분 함량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수분 82.23%, 무질소화합물 16.94%, 조단백질 1.27%, 조지방 2.5%, 조회분 0.58%였다. 일반성분은 온주 밀감의 과육보다 껍질 부위의 특성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감귤 착즙박의 pH는 3.57, 산 함량은 0.43%, 펙틴 1.49% 그리고 비타민 C는 온주밀감의 껍질 부위가 87.1mg/100g로 가장 높았으며, 감귤 착즙박에는 46.4mg/100g을 함유하였다. 총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감귤 착즙박, 온주밀감의 껍질 및 과육에 각각 512.2mg/kg, 2,649.5mg/kg, 199.4mg/kg으로 과육보다는 껍질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감귤 착즙박은 펙틴 및 카로티노이드의 소재원으로 이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되었다. 감귤 착즙박에 주요 무기성분은 칼륨 201.3 mg/100g, 칼슘 47.9mg/100g, 인산 19.4mg/100g, 마그네슘 17.8mg/100g이었다. 감귤 착즙박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3.06%, glucose 2.91%, sucrose 3.94%였으며, 총 유리당은 9.91%로 무질소화합물의 58.5%였다 온주밀감의 주요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며 주로 narirutin, hesperidin, rutin 이었으며, 이 외로 neohesperidin, hesperetin이 검출되었다. 감귤 착즙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플라보노이드는 hesperidin과 narirutin이었으며, hesperidin이 194.6mg/100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발아에 따른 팥의 유리형 및 결합형 기능성분 변화 (Changes in Free and Bound Forms of Bioactive Compound Profiles of Adzuki Bean with Germination)

  • 김민영;장귀영;오남석;백소윤;김길호;김경미;김홍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37-9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아에 의한 팥의 기능성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6일 동안 발아시키면서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및 안토시아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약 2.6배 및 5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 초기 감소하였다가 발아 3일 및 2일 이후 각각 증가하였다. 발아기간에 따른 구성 페놀산의 변화의 경우 ferulic acid, veratric acid, hesperidin, salicylic acid, naringenin 및 hesperidin과 총 페놀산은 유리형 및 결합형 페놀산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지만, 안토시아닌 및 안토시아니딘은 침지 및 발아과정에서 손실되어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팥을 발아시킬 경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팥에 함유된 기능성분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발아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감귤 과피 가수분해물의 플라보노이드 조성 및 기능적 특성 (Flavonoids Compon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itrus Peel Hydrolysate)

  • 이명희;허담;조덕조;이기동;윤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358-13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감귤 과피의 Viscozyme L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의 변화를 반응표면분석하여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효소처리에 따라 aglycone 형태의 플라노보이드인 hesperetin 및 naringenin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aglycon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최적 효소처리 조건은 효소농도 1.5% 및 반응시간 18 hr으로 설정되었다. 일반진피의 경우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 48.49%이고, 플라보노이드는 hesperidin 58.85 mg/g만 검출되어졌으나, 최적 효소처리 조건에서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72.97%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naringin 1.56 mg/g, hesperidin 31.31 mg/g, naringenin 2.58 mg/g 및 hesperetin 3.90 mg/g으로 각각 나타났다. 일반진피와 효소 처리한 감귤 과피의 전자공여능 및 AC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효소 처리한 감귤 과피가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의 종류별 수확시기에 따른 유리당, 헤스페리딘, 나린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 변화 (The Change of Free Sugar, Hesperidine, Naringin, Flavonoid Contents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Yuza Variety according to Harvest Date)

  • 황성희;장재선;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1-1058
    • /
    • 2014
  • 재래유자(C. junos I), 개량종 I(C. junos I+Poncirus trifoliata), 개량종 II(Citrus junos I+C. junos II) 세 가지 유자의 종류별 수확시기에 따른 유리당, 헤스페리딘, 나린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산도는 감소하고 당도는 증가하여 당산비는 증가하였고, 포도당, 서당은 수확시기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과당은 유자가 충분히 익는 11월에 급격히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개량종 II는 10월 수확한 과피에서, 재래종은 10월 수확한 과즙에서 다른 품종보다 총 플라보노이드가 높았으며, 유자 과피의 hesperidin과 naringin은 유자가 미성숙했을 시기인 7월에 가장 높았고, 급격히 감소하고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중에서 hesperidin과 naringin이 차지하는 비율도 미숙과인 7월보다 11월에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효과는 과즙과 과피에서 모든 수확시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즙보다 과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품종별, 수확 시기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제철 11월에 수확한 재래종 과피에서 ACE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hesperidin과 naringin을 이용하고자 할때는 미숙과를, 당도나 ACE 저해 효과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완숙과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Lactobacillus로 발효한 자음강화탕의 생물전환 성분분석 (Analysis of Bioconversed-components in Fermented Jaeumganghwa-tang by Lactobacillus)

  • 이광진;송나영;노주환;량춘;마진열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31-135
    • /
    • 2013
  • 자음강화탕(Jaeumgangwha-tang, JGT)은 전통적인 한방처방으로, 만성 기관지염과 염증 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자음강화탕을 10종의 균주로 발효한 후, HPLC-DAD를 이용하여 발효 전, 후의 자음강화탕에서 생물활성을 가지는 5-hydroxymethylfurfural(5-HMF), paeoniflorin, nodakenin, hesperidin, nodakenetin, palmatine, berberine, glycyrrhizin을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변화를 관찰하였다. 8종의 지표성분에 대하여 정성, 정량적인 동시분석을 수행하였고 머무름 시간($t_R$)과 UV 최대 흡수파장을 비교하였다. 이 결과 paeoniflorin이 6.95 mg/g으로 자음강화탕의 주성분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45으로 발효된 자음강화탕에서 nodakenetin의 함량이 $0.47{\pm}0.01mg/g$으로 관측되어 nodakenetin이 발효 후의 자음강화탕에서 발효 전보다 2,250%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KFRI 162으로 발효된 자음강화탕에서 paeoniflorin과 hesperidin을 제외한 가장 많은 화합물들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