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icide treatment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5초

천연 Naphthoquinone계 Juglone의 KAPAS 저해 및 제초활성 특성 (Herbicidal Activity and KAPAS Inhibition of Juglone with Potential as Natural Herbicide)

  • 최정섭;임희경;서보람;김진석;최춘환;김영섭;류시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0-249
    • /
    • 2011
  • 식물 유래 naphthoquinone계 juglone의 신규 제초제 작용점 KAPAS에 대한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활성 평가를 통해 천연물 유래 제초제로서의 가능을 검토하였다. Juglone은 농도의존적인 반응으로 KAPAS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50% 저해농도는 $9.5{\mu}M$이었다. 바랭이(Digitaria sanquinalis)에 대한 경엽처리에서 juglone 125, 250, 500 및 $1000{\mu}g\;mL^{-1}$ 농도에서의 활성정도는 각각 70, 95, 100 및 100%이었다. 또한, 8종의 화본과 및 광엽잡초에 대한 juglone 2,000 및 $1000{\mu}g\;mL^{-1}$ 농도에서의 살초력은 완전하였으며(100%), $500{\mu}g\;mL^{-1}$에서도 90~100%이었다. Juglone을 처리했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고사(desiccation) 또는화염상(burndown)이었다. Juglone 처리에 의한 전해물질 누출은 광조건에 관계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일어났으나, 엽록소 함량 감소 정도는 광조건에서도 경미한 수준이었으며, 암 조건에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Juglone에 의해 억제되었던 애기장대 종자의 발아율은 biotin 공급에 의해 뚜렷하게 회복되었다. 이상의 실험에 결과에 의하면 천연 naphthoquinone계 juglone은 신규 제초제 작용점 KAPAS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친환경적인 천연물 유래 제초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지에서 제초제 사용에 의한 광대나물 방제 (Weed Control of Henbit Deadnettle Using Herbicide on Cultivating Field of Italian Ryegrass)

  • 김기용;최기준;이상훈;이기원;김원호;정민웅;서성;김맹중;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9-394
    • /
    • 2011
  • 본 논문은 국내육성 IRG 신품종 "코윈어리" 재배지에서 광대나물의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연구한 결과이다. 잡초 억제율은 원호프 2회 처리구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나, IRG 피해도 커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다음으로 MCPP 2회 처리구에서는 잡초 억제율이 82%로 방제효과가 높고 IRG 피해도 적으며 잡초방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나물 방제를 위해 MCPP를 10일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경우, 건물생산량은 ha당 11,427 kg으로서 무처리구의 1,658 kg에 비해 598%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MCPP를 처리하지 않으면 조사료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포장에서 월년생 잡초 광대나물을 방제하려면 3월 중순에 MCPP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되며, 조사료 생산량도 ha당 11,427 kg으로서 정상적인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Occurrence Inhibition by Seed-Mulching in Wet Seeded Rice

  • Yang, Woon-Ho;Kim, Jae-Hyun;Kim, Je-Kyu;Han, Hee-Suk;Lee, Moon-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0-84
    • /
    • 2002
  • In spite of simple and cheap cultivation method, water broadcast-seeded rice demonstrates uneven and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per unit land area and requires more herbicide and labor-input for weed control.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phytotron at 18$^{\circ}C$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seed-mat mulching cultivation technologies in water seeded rice for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Five different kinds of mat with different mesh sizes and fabric properties were tested. The emergence of rice was the highest in Lawn-mat treatment, being comparable with the control, in which seeds were sown without mat. The Lawn-mat also exhibited the lowest mat tension. Mat tension may influence the emergence of rice. And once it was soaked in water, it didn't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y more. The emergence rate of rice was the lowest in Safer-mat treatment. In Lawn-mat treatment,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or rice emergence in the first study, the differences of emergence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depending on the seeding position (upper, beneath, and between mats) treatments were negligible, while they were higher in dry seeds than in pre-germinated seeds treatment. The emergence as affected by the kinds of mat also showed the same trend when tested using barnyard grass. Depending on the kinds of mat, the inhibition effect of weeds was the greatest in Safer-mat and the poorest in Lawn-mat.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management without chemical could be achieved simultaneously by seed-mat mulch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effective mat for the emergence of rice and another efficient mat for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This possibility was also tested in the field.

환경조건 차이에 따른 밭 토양중 제초제 Napropamide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Residue of Herbicide Napropamide and Change of Microorganism in Upland Soil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한성수;정재훈;최찬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8-313
    • /
    • 1994
  • 잔효기간이 긴 것으로 알려진 토양처리형 제초제 napropamide를 밭토양중 여러 환경조전하에 처리하여 이 약제의 토양중 분해성을 검토하고, 이 제초제가 토양미생물 상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토양과 비살균토양에서의 napropamide의 분해반감기는 각각 28.3, 14.6 일이었다.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 속도는 60% > 80% ${\geq}$ 40% 순이였으며 napropamide의 처리와 무처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유의성이 없었고, 처리구내의 60% 수분함량구가 40% 수분함량구에서보다 세균수와 총균수가 많았다. pH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pH가 낮을수록 빨랐으며, napropamide처리구내 총균수는 pH5.5에서 경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27^{\circ}C$ > $37^{\circ}C$ > $17^{\circ}C$의 순으로 빨랐으며, 각 온도에 있어서 napropamide 무처리구와 처리구간의 미생물수는 $17^{\circ}C$에선 방선균이, $27^{\circ}C$, $37^{\circ}C$에선 세균이 무처리구보다 처리구에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Napropamide의 반감기는 10ppm과 20ppm처리에서 각각 16.6일과 21.1일이었고, 미생물 발생수는 20ppm처리구에서보다 10ppm처리구에서 많았다. 식양토와 미사질 양토에서 napropamide의 반감기는 27.7일, 17일이었으며,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차이가 없었다. 포장 및 실내조건에서의 napropamide의 반감기는 각각 5.4일과 19.1일로 포장에서가 실내에서 보다 분해속도가 3.5배 빨랐다.

  • PDF

고려인삼에 대한 제초제 2, 4-D의 반응연구 (Study on the Response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o the Herbicide 2,4-D Application)

  • Jo, Jae-S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91-296
    • /
    • 1990
  • Various rates of 2,4-D were sprayed on 2 and 3 year old ginseng plants as foliar spray to define the critical concentration. No apparent plant injury was noticable for those ginseng plants when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2,4-D doubled the recommended dosage (70 ml/10a). Neither abnormal foliar change occurred nor any inhibition in leaf and stem growth was resulted for the plants treated with 2,4-D concentrated two times of the recommended dosage. When the rates of 2,4-D application were increased greater than this level, injury rating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rates of 2,4-D application and plant you was inhibited. Ethylene gas was not produced from the ginseng plant treated with 2 times concentrated 2,4-D, however the ginseng plants produced 0.03 to 0.09 ppm ethylene gas when the rate of application were increased 3 and 4 time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oybean treated with the recommended amount of 21-D produced ethylene gas of 10-20 times higher compared with ginseng plants and died. Photosynthesis ability of the ginseng lea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4-D foliar application but it was recovered 4 weeks after 2,4-D foliar treatment. The herbicide 2,4-D was applicated to 2,3 and 4 years old ginseng plants as foliar spray with the rates of 0.5, 1.0, 1.5 and 2.0 times of the recommended dosage to define the effects of 2,4-D on the plant growth and root yield of the ginse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f and stem growth between untreated and 2,4-D treated plant. Berry maturing of 3 and 4 year old ginseng was not influenced by 2,4-D. The root weight of 4 years old ginseng plant was not reduced by application of 2,4-D concenrated 2 times of the recommended dosage, Application time of the herbicide 2,4-D had no effects on the leaf or stem growth of 2,3 and 4 year old year old ginseng plants. When the ginseng seedling was treated with 2,4-D, detrimental phenomena as stem bending and docoration of seedling leaf margin occurred, but stem bending was recovered in a few day s. Keywords Panax ginseng C.A. Meyer, 2,4-D , herbicide.

  • PDF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통한 수도내성(水稻耐性) 카루스 선발(選拔) (Selection of Herbicide - Tolerant Rice(Oryza sativa L.) Callus by Tissue Culture)

  • 신동현;키이쓰 무디;프란시스코 제이 쟈파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5-293
    • /
    • 1990
  • 제초제(除草劑)에 내성(耐性) 또는 저항성(抵抗性)을 지닌 수도(水稻) 카루스를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유묘기(幼苗期)에 제초제(除草劑)에 반응(反應)을 달리하는 품종(品種)을 대상으로 카루스의 생장(生長)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카루스 유도시(誘導時)에 thiobencarb에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던 IR28의 카루스 생장(生長)은 thiobencarb $10^{-5}$ M 및 $10^{-6}$ M에서도 억제(抑制) 되지 않아 특정(特定)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반응(反應)은 카루스의 유도기(誘導期) 및 생장기(生長期), 성식물체(成植物體)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Butachlor에 대한 IR31917-45-3-2-2의 반응(反應)도 IR28과 유사(類似)한 결과(結果)를 보였다. Thiobencarb에 내성(耐性)을 지닌 카루스를 선발(選拔)키 위하여 IR28의 카루스를 thiobencarb $10^{-6}$ M에 30일간(日間) 처리(處理)한 후(後) 고농도(高濃度)인 $10^{-5}$ M에 옮겨 치상(置床)시킨 결과(結果) 카루스의 생체중(生體重)은 전혀 억제(抑制) 되지 않아서 제초제(除草劑) 내성세포(耐性細胞)를 선발(選拔)키 위해서는 제초제(除草劑)의 농도(濃度)를 점진적(漸進的)으로 높이는 것이 유용(有用)한 선발방법(選拔方法)이 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Diphenyl Ether계 제초제 Oxyfluorfen에 대한 벼 품종간 저항성기구 (Mechanisms of Tolerance to Diphenyl Ether Herbicide Oxyfluorfen in Rice Cultivars)

  • 최성환;김노열;이증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2-371
    • /
    • 1996
  • Oxyfluorfen에 대한 감수성이 상이한 것으로 보고된 7품종을 공시하여, oxyfluorfen에 대한 내성 및 감수성의 정도를 검정하고, 약제에 대해 각 품종이 나타내는 반응성의 차이를 해명하기 위하여 살초활성발현에 관여되는 작용기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Oxytluorfen 에 대한 감수성이 다른 7 품종에 대하여 경엽 및 근부처리를 실시한 결과 Baru, Hawon 및 Hunan 31이 내성 품종으로 Weld pelly, HP 1033, HP 907 및 HP 857이 감수성 품종으로 구분되었다. 각각의 품종 중에서 내성품종으로 Hunan 31과 감수성 품종인 HP 907 및 HP 857을 선정하여 $^{14}C$-oxyfluorfen의 흡수율을 조사한 결과, 경엽처리 시에는 Hunan 31에 비하여 감수성 품종의 경시적인 흡수율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HP 857의 경우는 Hunan 31에 비하여 약제처리 120분 후의 흡수율이 3.2배에 달하였다. 2.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광증감색소인 Proto IX의 축적량을 내성 및 감수성 품종들에서 조사한 결과, 약세처리 후 0, 12, 24시간의 광조건하에서 감수성 품종은 내성 품종보다 Proto IX의 축적량이 많았다. 특히, 2시간의 약제처리후 HP 857 및 HP 907은 Hunan 31에 비하여 Proto IX의 축적량이 4.7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광조사 개시기의 Proto IX 축적량과 약제에 대한 감수성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3. 활성산소에 의한 항산화작용을 방어하는 각종의 항산화효소활성은 약제에 대한 품종간 감수성과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SOD, AP, GR 및 MDAR의 활성은, 각 품종에서 광조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손실 등의 약해가 증가중임에도 불구하고 무처리보다 처리의 경우가 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Ladino clover가 우점된 혼파초지에서 제초제 처리가 식생구성 및 초지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ricide Treatment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Yields in Ladino Clover Dominated Pasture Mixtures)

  • 김정갑;이상범;서성;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1-77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ladino clover(Trifolium repens L.)가 우점(優占)된 혼파초지(混播草地)에 제초제(除草劑) 사용(使用)이 식생구성(植生構成) 및 초지생산성(草地生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초지(草地) 시험포(試驗圃)에서 난괴법으로 4반복(反復)으로 $1983{\sim}'85$년간(年間) 실시(實施)되었다. 시험(試驗)에 사용(使用)된 공시초지(供試草地)는 클로버가 $60{\sim}65%$ 우점(優占)된 혼파초지(混播草地)로 제초제(除草劑)는 Banvel(100, 200cc), Hedonal(150, 300cc), U-46(150, 300cc) 및 Sinazin(100, 200g/10a)을 사용(使用)하였다. $1983{\sim}'85$년간(年間)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adino clover가 우점(優占)된 혼파초지(混播草地)에 Banvel, U-46 및 Hedonal 약제(藥劑)를 처리(處理)함으로써 클로버 식생비율(植生比率)은 각각(各各) $1{\sim}2%$, $11{\sim}18%$$22{\sim}31%$로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U-46 및 Hedonal 약제(藥劑)는 클로버에 대(對)한 살초력(殺草力)이 약(弱)하여 처리후(處理後) 2년차(年次)에는 클로버에 의(依)한 재우점현상(再優占現象)이 나타난다. Simazin은 기존(旣存)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에 대(對)한 약해(藥害)가 있어 사용(使用)이 어렵다. 2. 제초제(除草劑) 처리시기(處理時期)는 목초보파(牧草補播) $20{\sim}25$ 일전(日前)이 적합(適合)하다. 봄 또는 이른 여름에 약제처리시(藥劑處理時)에는 Digitaria sanguinalis, Echinochloa crus-galli 등(等)의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심(甚)하여 부실초지(不實草地)의 원인(原因)이 된다. 3. Banvel 약제(藥劑)의 토양잔류기간(土壤殘留期間)은 $7{\sim}10$일(日)로 이 기간내(期間內)의 목초파종(牧草播種)은 종자발아(種子發芽)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에 장해(障害)가 뒤따른다. 4. Ladino clover가 우점(優占)된 초지(草地)에 Banvel 약제(藥劑) 처리후(處理後) 화본과초지(禾本科草地)를 보파(補播)함으로서 년간(年間) 건물수량(乾物收量) 1023kg/10a이 생산(生産)되어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44%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다. Hedonal 및 U-46 처리(處理)에서도 건물수량(乾物收量)은 각각(各各) 811kg 및 842kg/10a으로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보였다. 5.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依)해 화본과위생형(禾本科爲主型) 초지(草地)로 개량(改良)함으로서 식생체내(植生體內)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및 net energy lactation(NEL)은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총(總) NEL 수량(收量)은 각각(各各) 5401 MJ(Banvel), 4556 MJ(U-46) 및 4323 MJ (Hedonal)이 생산(生産)되어 clover 우점초지(優占草地) 3889 MJ/10a DM에 비(比)해 현저(顯著)한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다.

  • PDF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가 콩 생육(生育) 및 근류균(根瘤菌) 착생(着生)과 VA 균근균(菌根菌)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erbicides on the Growth, Nodulation and VA Mycorrhizal Infection in Soybean (Glycine max))

  • 윤철수;허상만;손보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30
    • /
    • 1992
  • 콩 밭에 사용하는 3가지 계통(系統)의 제초제(除草劑)(alachlor, simazine, linuron)를 3 수준(水準)의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여 콩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그리고, 근류착생(根瘤着生), VA균근균(菌根菌)의 감염(感染)등에 미치는 제초제(除草劑)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포장실험(圃場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콩의 출현율(出現率)은 제초제(除草劑) 종류(種類)에 따라서 無處理區(무처리구)에 비(比)해 기준농도(基準濃度)에서는 통계적(統計的)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제초제(除草劑)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으로써 감소(減少)하였다. Triazine계 계통(系統)인 simazine은 기준농도(基準濃度)에서도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출현율(出現率)이 저조(低調)하였으며 特(특)히 simazine 약제(藥劑)의 3배농도(倍農度)에서는 약 50%의 출현율(出現率)을 보였다. 2. 초장(草長)은 기준농도(基準濃度)에서는 거의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초제(除草齊)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으로서 감소(減少)하였다. 특(特)히 3주(週) 후(後)에 고농도(高濃度)에서 뚜렷한 감소현상(減少現狀)을 보였다. 3. 경태(莖太)의 경우 약제간(藥劑間)에 차이(差異)를 보여 simazine구가 가장 저조(低調)하였고 2주(週)째 alachlor, linuron 약제(藥劑)의 사용권장농도(使用勸奬濃度)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시기(時期)가 경과(經過)함에 따라 사용권장농도(使用勸奬濃度)에서도 대조구(對照球)에 비해 감소(減少)하였다. 4. 엽면적(葉面積)과 생체중(生體重)은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사용권장농도(使用勸奬濃度)에서도 감소현상(減少現狀)을 보였으며 농도(濃度)가 증가함으로서 감소(減少)하였다. 5.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주당근류중(株當根瘤重)은 제초제(除草濟) 농도(濃度)의 증가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특히 simazine 처리구(處理區)에서 심(甚)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6. 除草劑 처리(處理)시 VA균근균(菌根菌) 감염율변화(感染率變化)는 제초제(除草劑)의 약량(藥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감염율(感染率)이 다소 떨어졌으며 simazine 약제(藥劑)에서 가장 낮았다. 7. 콩의 생육(生育) 및 수량(數量)의 감소(減少)는 근류형성(根瘤形成)의 감소(減少)와 VA균근균(菌根菌) 감염저하(感染低下)에 유의적(有意的)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제초제(除草劑)의 과다사용(過多使用)에 의한 근류착생(根瘤着生)과 VA균근균(菌根菌) 감염율저하(感染率低下)는 콩 수량감소(收量減少)의 중요(重要) 원인(原因)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Paraquat에 의한 Escherichia coli의 Superoxide Dismutase 활성저해 (Inhibitory Action of the Paraquat on Superoxide Dismutase of Excherichia coli)

  • 김미림;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49-855
    • /
    • 1994
  • Actively growin Excherichia coli(KCTC 1039) cells were treated with paraquat (1, 1'-dimethyl-4, 4'-bipyridili-um dichloride) by cultivating them in the presence of 1.0mM paraquat. The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or without shaking to understand the effect of oxygen on paraquat action to thebacterial superoxide dismutase (SOd). By the treatment with vigorous shaking , population growth of the organism almostly stopped and specific activities of SOD of the cells drastically decreased. On contrast ot it, the herbicide showed only l limited inhibitory action on bacterial growth and SOD activity by stationary treatment. Proteins prepared from parquat-treated cells divided into two peaks by Sephacryl column chormatogrpahy, while proteins from the intact cells formed a single peak. Cytoplasmic proteins and plasma membrane proteins of intact cells formed separated three peaks by Sephadex G-75 column chormatography. respectively. Among them the second peak disappeared by paraquat treatment , while the third peak became more apparent. Fractions from the first and the third peak showed SOD activity. Paraquat was detected from the same fra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