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al fermentatio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6초

환상박피된 '캠벨얼리' 포도의 최소 수확시기 설정 (Establishment of Minimum Harvesting Time for the Girdled 'Campbell Early' Grape)

  • 박서준;정성민;김승희;류명상;이한찬;정석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2-507
    • /
    • 2009
  • 본 연구는 환상박피된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과실 품질을 조사하고, 최소 수확시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경북 김천에서 개량일자형으로 재배된 8년생 나무의 주간 약 1.0m 높이에 7월 5일에 5~7mm 폭으로 환상 박피한 후 7일 간격으로 과실의 착색, 당도, 산함량, 유기산 및 유리당을 분석하였다. 과피색은 환상박피후 14일부터 Hunter L, b 값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Hunter a 값은 증가하여 무처리보다 약 14일 이상 빠르게 변화되었다. 산함량은 환상박피후 14일부터 환상 박피가 무처리에 비해 빠르게 감소되어 수확기에 0.85%로 되었으나, 무처리는 1.10%로 높았다. 당산비는 환상박피후 21일부터 빠르게 상승되어 수확기에 환상박피는 15.1까지 증가된 반면에 무처리는 10.8로 낮았다. 환상박피에 의하여 유리당 함량은 환상박피후 14일부터 과당과 포도당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무처리보다 약 7일 정도 빨리 증가하였으며, 수확기에는 그 함량이 각각 $64.5mg{\cdot}g^{-1}FW$$61.0mg{\cdot}g^{-1}FW$로 무처리 $56.1mg{\cdot}g^{-1}FW$$53.7mg{\cdot}g^{-1}FW$보다 높았다. 또한 유기산 함량은 사과산이 무처리에 비해 착색기 동안은 빠르게 감소되었으나, 수확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주석산은 환상박피가 무처리보다 빠르게 감소되어 수확기에도 $4.13mg{\cdot}g^{-1}FW$로 무처리 $5.96mg{\cdot}g^{-1}FW$ 보다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과피색 기준으로 환상박피 후 35일에 수확하면 신맛의 포도가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당산비가 15 이상 되는 환상박피후 42일 이후에 수확해야만 한다.

족욕이 수험생의 스트레스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아로마 오일과 발효추출물의 비교연구- (Effects of Foot Baths on Stress and exhaustion for high school senior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oma oil and fermentation extract-)

  • 오희선;강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02-408
    • /
    • 2010
  • 21세기에, 사람들은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자극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스트레스가 지나치면 문제가 될 수 있고 결국 질병을 불러오게 된다. 족욕은 발부터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혈액순환과 자율신경계를 조절한다. 이 연구는 아로마 오일과 발효추출물과 함께 족욕이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의 스트레스와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실험기간은 2009년 3월 30일부터 4월 18일까지 20일간 천안 C여고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싸주아리쑥 발효추출물 입욕제를 넣은 족욕 그룹 실험군 1과 아로마 오일 중 그레이프프루트, 사이프러스, 시더우드를 블렌딩한 족욕 그룹 실험군 2, 무 처치를 한 족욕 그룹 대조군으로 나누워 각각 7명씩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의 차이는 발효추출물군의 경우 1.23, 1.09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아로마군의 경우 0.71, 0.63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0.03, 0.02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발효추출물이나 아로마를 통한 족욕이 대조군에 비해 신체적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p<.01). 피로도의 차이는 발효추출물군의 경우 1.27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아로마군의 경우 0.77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나 대조군의 경우 0.03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발효추출물이나 아로마를 통한 족욕이 대조군에 비해 피로도가 낮게 나타났다(p<.01). 발효추출물군(M=3.71)의 경우 족욕 후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로마군(M=3.28), 대조군(M=2.22)순으로 나타났으며, Duncan의 사후검정결과 실험군과 대조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p<.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입욕제에 따른 족욕이 입시로 인한 스트레스, 피로도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냉식 냉장고의 과냉각 저장을 위한 항온 특성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Temperature Constancy of Direct Refrigerator for Supercooled Storage)

  • 김진세;남소영;정현경;손재용;최동수;김용훈;이수장;박천완;김하윤;박석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4호
    • /
    • pp.270-277
    • /
    • 2019
  • 0℃로 설정 시 최저온도 -9℃ 최고온도 1℃로 온도편차가 10℃ 발생하는 직냉식 냉장고 내부에 단열재와 전도체를 배치하여 온도편차를 목표온도에서 ±0.3℃ 이내로 유지하는 조건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고, 상용 판매되는 직냉식 냉장고에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온 특성이 개선된 직냉식 냉장고에 -2℃의 과냉각 상태로 절임배추를 저장할 경우 2℃의 저온저장 대비 유산균과 효모의 증식이 완화되었고,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환원당도 높게 유지되었다. -2℃ 과냉각으로 절임배추를 저장할 때 발효가 지연되는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김치를 저장할 경우에도 발효 지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용 직냉식 냉장고를 단열재와 전도체의 추가만으로 경제적으로 항온냉장고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HepG2 및 PC12 세포에서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 평가 (Effect of Fermented Herbal Mixtur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epG2 and PC12 Cells)

  • 이윤정;김난슬;손명수;김교남;황용일;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1057-1064
    • /
    • 2016
  •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OS)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체내의 항산화 효소와 물질에 의해서 소거되지만, ROS가 과도하게 생성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ROS를 경감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각종 질병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이 전략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그리고 산수유를 공통으로 한 혼합 한약재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에 따라 하고초와 쇠비름이 추가된 FHM-A 및 석창포와 산해박이 추가된 FHM-B로 구분하였으며, 혼합 한약재 발효물을 활용하여 차 및 음료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HM-A 및 FHM-B의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FHM-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총페놀 함량이 나타났다. ORAC value는 FHM-A가 FHM-B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ROS 생성 억제 활성은 FHM-A와 FHM-B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는 $10{\sim}100{\mu}g/mL$에서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신경세포인 PC12 세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의 분석 결과 $1{\sim}50{\mu}g/mL$에서 FHM-A와 FHM-B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H_2O_2$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FHM-B는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 C와 같은 수준의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발효액 FHM-A와 FHM-B가 간 기능 및 신경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 예방을 위한 식품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장뇌삼 첨가 탁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Ginsenosides 함량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s Compositions of Makgeolli Added with Mountain Ginsengs)

  • 최강현;손은화;김성준;이제혁;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43
    • /
    • 2013
  • Rice wine (makgeolli)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mountain ginsengs (MG) are being prepared with nuruk and yeasts,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ginsenosides in MG-makgeolli were analyzed. Average particle size of MG powder is $29.1{\mu}m$. MG slice (20 g) or powder (0~20 g) and rice (3,000 g) were used for 12 days fermentation of makgeolli, makgeolli containing slice of MG (SW-makgeolli), makgeolli containing 2 g (PW1-makgeolli), 10 g (PW2- makgeolli), 20 g (PW3-makgeolli) of powder of MG, respectively. Soluble solids and pH levels show no differences between five kinds of makgeolli groups, whilst the presence of high amounts of MG (PW3-makgeolli) caused decreases in ethanol and acidity. Major free amino acids in MG-makgeolli are glutamic acid and arginine. Total contents of 14 ginsenosides are approximately 2.5 g/100 g of dried MG powder and major ginsenoside were ginsenosides Re, Rb1, Rb2, Rg1, Rc and Rf. During the propagation of makgeolli containing MG, the ginsenosides Rb1, Rb2, Rb3, and Rc decreased, whilst ginsenosides Rg3 and compound K increased highly. It indicates that ginsenosides in MG are metabolized to different forms of ginsenosides by brewing microorganisms.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의 발효 및 열처리 후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 박서영;김재수;이봉효;임성철;이세나;임강현;이경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91-98
    • /
    • 2009
  • 목적 : 상지, 상백피, 상엽은 모두 뽕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의학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왔다. 최근 이들의 미백효능이 발견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은 자선에 대한 정상적인 방어기전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은 심각한 미용적 문제를 가져온다. 최근 약침이 피부 미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효와 열처리는 미백화장료 가공의 최신 경향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이 발효와 열처리 후에 피부 미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상지, 상백피, 상엽을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 비발효, 비열처리, (2) 비발효, 열처리, (3) 발효, 비열처리, (4) 발효, 열처리한 그룹들에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가 대체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결론 : 주근깨, 흑색종, 간반(肝斑) 등 비정상적인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 제조에 있어, 발효 및 열처리 방식을 적용하면 보다 나은 미백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tifungal Effect of Phenyllactic Acid Produced by Lactobacillus casei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 Yoo, Jeoung Ah;Lee, Chan-Jung;Kim, Yong-Gyun;Lee, Byung-Eui;Yoon, Min-H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2-167
    • /
    • 2016
  • Lactic acid bacteria (LAB) producing phenyllactic acid (PLA), which is known as antimicrobial compound, wa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and the isolated LAB was identified to Lactobacillus casei by 16 rRNA gene sequence analysis. Cell-free supernatant (CFS) from L. casei was assessed for both the capability to produce the antimicrobial compound PLA and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ree fungal pathogens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and Collectotricum aculatum). PLA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to be 3.23 mM in CFS when L. casei was grown in MRS broth containing 5 mM phenylpyruvic acid as precursor for 16 h. Antifungal activity demonstrated that all fungal pathogens were sensitive to 5% CFS (v/v) of L. casei with average growth inhibitions ranging from 34.58% to 65.15% (p < 0.005), in which R. solani was the most sensitive to 65.15% and followed by C. aculatum, and B. cinere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for commercial PLA was also investigated to show the same trend in the range of 0.35 mg mL-1 (2.11 mM) to 0.7 mg mL-1 (4.21 mM) at pH 4.0. The inhibition ability of CFS against the pathogens were not affected by the heating or protease treatment. However, pH modification in CFS to 6.5 resulted in an extreme reduction in their antifungal activity.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antifungal activities in CFS was caused by acidic compounds like PLA or organic acids rather than protein or peptide molecules.

스테비아 잎차의 제조 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via (Stevia rebaudiana Bert) Leaf Tea according to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 이웅수;김근식;최원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6-163
    • /
    • 2014
  • In order to develop tea by using the leaves of stevia, which is a herbal plant, an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stevia dried leaf tea, we have manufactured the steamed tea, stir-fried tea and fermented tea by changing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s, the steamed tea, stir-fried tea and fermented tea received higher evaluations than the dried leaf tea. In terms of efficiency, it is desired that the total number of steaming and stir-frying is only once, but the fermentation is found to be the most desirable for 2 days. There are no trends for changes in the general ingredients, mineral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tevia leaf teas by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As a result for the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the steamed tea and dried leaf te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stir-fried tea and the fermented tea show significantly low antioxidant activities as compared to the steamed tea. The contents of stevioside in both the stir-fried tea and the fermented tea were less than that in the dried leaf tea, but in the steamed t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stevioside. Base on the present observations, this study supports high potentials of steaming process in order to produce new stevia leaf tea.

Bark Constituents from Mushroom-detoxified $Rhus$ $verniciflua$ Suppress Kainic Acid-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Mouse Hippocampus

  • Byun, Jong-Seon;Han, Yoon-Hee;Hong, Sung-Jun;Hwang, Sung-Mi;Kwon, Yong-Soo;Lee, Hee-Jae;Kim, Sung-Soo;Kim, Myong-Jo;Chun, Wan-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5호
    • /
    • pp.279-283
    • /
    • 2010
  • Urushinol, a plant allergen, has significantly restricted the medical application of $Rhus$ $verniciflua$, although it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a wide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ons. To reduce the urushinol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mushroom-mediated fermentation of $Rhus$ $verniciflua$ was carried out and this method resulted in significantly attenuated allergenicity [1].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neuroprotective properties of mushroom-fermented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two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mushroom-fermented bark and their neuroprotective properties were examined in a mouse model of kainic acid (KA)-induced excitotoxicity. KA resulted in significant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in the CA3 region of mouse hippocampus. However, seven daily administrations of RVH-1 or RVH-2 prior to KA injection significantly attenuated KA-induced pyramidal neuronal cell death in the CA3 region. Furthermore, pretreatment with RVH-1 and RVH-2 also suppressed KA-induced microglial activation in the mouse hippocampu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RVH-1 and RVH-2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and detoxified using mushroom species possess neuroprotective properties against KA-induced excitotoxicity. This leads to the possibility that detoxified $Rhus$ $verniciflua$ can be a valuable asset in herbal medicine.

백미발효 화장품(Whitecrow)의 임상적 미백효과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Fermented-C. Atrati Radix Cosmetic (Whitecrow) for Skin Whitening)

  • 손창규;장은수;이삼근;방기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2호
    • /
    • pp.60-67
    • /
    • 2020
  • This study evaluated the Skin Whitening effects of 'fermented-C.' for Atrium cosmetics using a single-arm clinical trial. Twenty female adults (mean age 42.1 ± 6.6 year) were enrolled, all participants used this cosmetic product on their face for 4 weeks. The change of brightness (L-value)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while subjective assessments were also obtained to find the participants opinions on whitening and their general satisfaction measured by a 5-point scale (5 for very satisfactory, 5 for satisfactory, 3 for moderate, 2 for unsatisfactory, 1 for very unsatisfactory). The participants were also questioned about any adverse effects by filling out a self-monitoring report. The average L-value increased from 62.55 ± 2.14 on day 0 to 63.22 ± 1.96 after 4 weeks corresponding to a 1.1% brightness improvement (p < 0.01). The average scores for subjective whitening and general satisfaction were better than moderate with scores of 3.6 ± 0.5 and 3.7 ± 0.7, respectively. No notable complaints were reported regarding any kind of adverse effects such as erythema, itching or burning. The clinical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supports that fermented-C. from Atrium cosmetics has whitening potential in a safe Functional Cosmetics package.